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22 Page 11/73

검색
  • 622

    2009.12.04

    혁신적인 원자력 반응기와 연료 주기에 관한 국제 프로젝트(INPRO: International Project on Innovative Nuclear Reators and Fuel Cycles)는 지난 2000, IAEA(국제 원자력 기구)의 총괄 컨퍼런스(General Conference)의 결정 내용을 토대로 출범되었다. INPRO 21세기에 원자력 에너지를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기술 보유 국가 및 기술 이용 국가 등 모든 유관 회원국들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아 바람직한 혁신을 일궈낼 수 있는 공동 행동을 고려하도록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INPRO는 개도국들의 요구 사항도 해결하고 있다.

     

    IAEA 문서는 INPRO의 제 1 단계(Phase)의 일부이다. 본 문서는 원자력 연료 주기 기술의 역사, 현황, 향후 전망 등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이러한 개괄적 소개는 기술적 문제에 중점을 두었으나, 경제학, 환경, 안전성, 확산 방지 등의 측면은 연구의 중요 배경 문제들이었다. 본 문서는 INPRO 프로젝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기존 및 향후의 반응기 설계에 대해 평가를 내린 후, 원자력 연료 주기의 문제들을 상세히 다룬다.

     

    본 문서는 2002 ~ 2004년 사이에 캐나다, 중국, 프랑스, 인도, 일본, 대한민국, 러시아 공화국 등이 준비하였던 문서인데, 원자력 에너지의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2008년 업데이트를 실시하였다.

     

    본 문서는 IAEA 회원국들과 회원국들이 보유한 원자력 공학자와 설계자, 정책 입안자 등에게 유용한 원자력 연료 주기 기술의 현황 및 경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본 문서는 혁신적인 원자력 연료 주기 기술에 주안점을 둔 채, 사실상 모든 종류의 반응기 및 원자력 연료 주기 옵션들을 다룬다. 2 장은 원자력 발전소의 역사, 현황, 향후의 전망 등을 다룬다. 3 장은 제 2 장에서 다룬 이슈와 동일한 이슈를 다루나, 원자력 연료 주기 시설의 기술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 선정 국가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원자력 연료 주기도 짤막하나마 소개한다. 4 장 및 제 5 장은 각각 연료 주기의 프런트 엔드와 백 엔드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다. 6 장은 INPRO가 원자력 연료 주기 문제와 관련해 특히 개도국의 요구 사항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은지에 대한 권고를 제공한다.

     

    부록 A는 지속 가능한 세계 및 국제 원자력 에너지 시스템에 관하여 러시아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부록 B는 다자 원자력 연료 주기 센터들의 현황을 요약해 소개한다.

     

    목차

    1 장 도입

    2 장 원자력 발전의 역사, 현황, 전망

    3 장 원자력 연료 주기의 옵션

    4 장 원자력 주기 연료의 프런트 엔드(front end)

    5 장 원자력 주기 연료의 백 엔드(back end)

    6 장 최후의 숙고

    참고문헌

    약어

    초안 작성과 검토에 기여한 인물의 명단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21

    2008.07.25

    공장 및 사업장외에서의 핵연료 물질 등의 운반에 관한 INES의 정식운영에 대해

     

    문부과학성은 2008년7월10일부터, 공장 및 사업장외에서의 핵연료 물질 등의 운반에 관한 국제원전사고•고장분류지침(INES)의 정식운영을 개시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개요

     

    1992년 국제원자력기구(IAEA) 및 경제협력개발기구 원자력기구(OECE/NEA)에서 수립된 원자력시설 등의 사고고장 등의 관련 지침(INES:International Nuclear Event Scale) 사용자 매뉴얼에 관해, 2004년 방사선원 및 수송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관한 INES평가 추가적 가이드라인을 시범 운영하였으며 2006년에 추가 지도지침 개정판이 합의되었다. 문부과학성은 이를 시범 운영한 결과, 다음과 같이 INES를 정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2. 운영 방법

     

    (1) 적용범위

    INES의 운영은 ‘공장 및 사업장 외에서의 핵연료 물질 등의 운반에 관한 규칙 제26조’에 입각하여 문부과학성에 보고된 사고· 고장(이하’법령보고 사고·고장’)에 적용.

     

    (2) INES 평가 WG

    연구로 등 안전규제 검토회 산하의 INES 워킹 그룹(이하 ‘INES 평가 WG’)에서 원자력 규제실이 법령보고 사고·고장에 대해 잠정 평가한 INES 레벨(이하’INES잠정치’)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실시.

    원자력 규제실은 INES 평가 WG의 검토 결과를 참고하여 INES 레벨의 정식 수치(이하’INES 정식치’)를 확정.

    또한 INES 평가 WG는 원칙적으로 6개월에 1회 개최하나, 필요한 경우 임시개최가 가능.

     

    (3) 사고•고장에 관한 보도 발표 등

    ① 사업자로부터 첫 보고를 받은 원자력 규제실은, 신속히 INES 잠정치를 검토해 그 결과를 보도발표문에 포함시켜 공표.

     INES 정식치를 확정했을 때에는 문부과학성 홈페이지에 공표.

     

    (4) INEA에 연락 (레벨 2 이상의 경우)

    ① INES 잠정치가 레벨 2 이상으로 분류되거나 국제적으로 대중의 관심이 높은 사건•고장에 대해서는 해당INES잠정치를 IAEA에 보고.

    ② INEA 정식치를 확정한 후, 해당 INES 정식치를 IAEA에 보고.

     

    참조 : 국제원전사고·고장분류지침(INES)

     

     *참고사례는 INES의 정식평가를 받지 않은 사례도 포함

     

    레벨

    참고사례

    사고

    레벨 7

    (심각한 사고)

    체르노빌 사고(1986)

    레벨 6

    (대사고)

     

    레벨 5

    (시설외에 리스크를 동반하는 사고)

    스리마일섬 원자력발전소사고(1979)

    레벨 4

    (시설외에 큰 리스크를 동반하지 않는 사고)

    JCO임계사고(1999)

    이상 사태

    레벨 3

    (중대한 이상 사건 고장)

    구동연(動燃)도카이 사업소 아스팔트 고체화 처리장 화재폭발 사건(1997)

    레벨 2

    (이상 사건 고장)

    미하마 발전소2호기 증기 발생기

    전열관 선상(1991)

    레벨 1

    (일탈)

    A형 수송 용기 분실(2004)

    척도

    이하

    레벨 0

    (안전상 중요하지 않은 사고•고장)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20

    2008.03.21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은 지난 3월 18일 대전 베스트웨스턴 레전드 호텔에서 개최된 ‘제6회 원자력대학생 연구논문 발표대회(NtUss Forum 2008)'에서 한국과학기술원 이유호 학생의 논문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원자력대학생 연구논문 발표대회'는 원자력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원자력ㆍ방사선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분야 심화학습과 기초 연구개발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지난 2002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원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2007년도에 지원한 67명의 원자력 전공 대학생들이 1년간 창의적으로 연구한 결과물로 포스터 47편, 구두 20편으로 총 67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동 발표회는 구두발표 부문과 포스터 발표 부문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 결과 우수성, 연구수행 성실성, 원자력대학생논문연구회 주요 연구 활동 참여도 등을 대학별 사전평가, 논문연구회 평가 및 최종발표평가 등의 3단계 심사 과정을 거쳐 평가하였으며, 총 7개 우수 논문이 선정되었다.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의 주제는 「수소생산용 원자로의 직·간접 열 교환기의 열 유체 분석 및 최적화 설계 변수 개발」로, 수소 생산 원자로의 핵심 이라 할 수 있는 열교환기, 그 중 최근에 고안된 직접 열 교환기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열 교환기가 가지는 문제점 중 하나를 보완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인 Valve control을 제시하였다는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동 연구회 관계자는 대학생들의 원자력과 방사선 분야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열정으로 다수의 우수 논문이 발표되어, 친환경적 에너지로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사선기술의 발전에 대한 미래를 밝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원자력대학생 논문연구회(NtUss*)는 세계적으로 원자력 전문 인력이 고령화되고  대규모 인력수요가 요구되어 국내적으로 이공계 기피현상이 확대됨에 따라, 선진국으로 기술인력 유출에 대비하고 원자력분야의 축적된 기술력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가 원자력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 NtUss : Nuclear Technology Undergraduate Student Society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은 2002년 6월부터 원자력 및 방사선 분야 전공대학생의 연구개발능력의 조기함양, 연대강화 및 자긍심 고취 등을 목적으로 원자력 및 방사선 분야의 전공대학생들에게 연간 7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또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원자력대학생 논문연구회를 구성・운영하여 연구현장방문, 원자력발전소 견학, 연구결과발표회 등 각종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19

    2006.05.10

    고도 경제성장을 구가하면서 에너지 수급문제를 겪고 있는 중국은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30기 이상의 원자로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중국은 사용후 연료 재처리 공장의 건설을 포함하는 우라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핵연료 사이클 달성을 위한 정책 작업을 벌이는 한편 고속증식 실험로를 건설 중에 있다.

    중국의 원자력 개발은 구소련과 원자력에너지 협력에 관한 협정을 체결한 195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구소련과의 협정 체결 이후 중국에서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부문에서는 거의 진전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1982년 중국 정부는 원자력에너지 개발을 담당하는 기구로서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를 출범시키면서 원자력에너지 개발에 적극 착수했다. 그후 중국은 1980년대 중반에 원전 건설에 착수했으며, 다야 베이 1호기와 진산 1호기가 1994년에 가동을 시작했다.

    현재 중국에는 실험로를 제외한 발전로로서의 원자로 9기가 가동 중에 있다. 지앙수성(省)의 티안완에 건설 중인 티안완 원전은 올해 후반에 운전개시를 목표로 현재 건설중이며, 중국 정부는 추가로 8기의 원자로 건설을 이미 승인했다.

    그와 같은 적극적 원자력 개발 정책에도 불구하고 2000년 현재 중국의 전체 전력생산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1.2%에 불과하다. 이는 78%를 차지하는 석탄 화력과 16%를 차지한 수력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수치이다.

    지난 3월 중국 정부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제 11차 5개년 전력개발 계획에서 원자력 발전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계획임을 천명했다. 중국은 2020년까지 원자력 설비용량을 4천만 KW까지 증강시킬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중국은 적어도 100만 KW급 원자로 40기를 가동해야 한다. 동 계획이 완료되면 중국은 미국(103기), 프랑스(59기), 일본(54기)에 이은 세계 네 번째의 원자력 설비 대국으로 발돋움하게 된다. 중국은 야심적 원자력 발전설비 용량의 구축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15년 이내에 30기 이상의 신규 원자로를 건설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은 20MW급 고속증식 실험로인 CEFR(The China Experimental Fast Reactor)을 베이징 외곽에 현재 건설 중에 있다. 이 실험로는 2010년에 가동을 개시할 예정이다. 중국은 핵연료 사이클을 실현하기 위해 연간 50톤의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할 수 있는 핵연료재처리 공장을 간수성에 건설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중이다.

    *techtrend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18

    2006.11.14

    국제에너지기구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세계 에너지 전망에 관한 보고서, 'World Energy Outlook 2006'를 통해서 바이오 연료(biofuel)와 원자력 에너지(nuclear energy)가 미래 에너지 수요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역량을 가졌다고 확인하고 있다.

    보고서의 작성자들은 에너지 정책에서 보수적인 접근이 채택된다면 세계 에너지 수요가 얼마나 요동치며 증가할 수 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연구원들은, 그렇지만 만약 당국이 현재 고려되고 있는 정책을 실행시킨다면 에너지 수요는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World Energy Outlook 2006' 보고서는, 현재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우리가 오늘날 준비하고 있는 에너지의 미래가 얼마나 오염되고, 불안정하며 비싼 비용을 치루어야 할 것인가를 보여주고 있다'고 국제에너지기구의 Claude Mandil 사무총장은 확인한다. '보고서는 다른 한편, 새로운 공공 정책을 적용한다면 어떻게 깨끗하고 지능적이며 경쟁력있는 새로운 에너지 미래를 탄생시킬 수 있는지를 입증해보이고 있다. 바로 이것이, 국제에너지기구에서 G8지도자들과 국제에너지기구 회원국 장관들에 의해서 던져진 도전인 것이다'

    보고서는, 원자력 에너지가 가스의 수입으로의 의존도를 약화시키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보고서의 저자들은 그렇지만, 정부가 민간의 투자를 더욱 부추길 때만이 원자력 에너지가 자신의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자력 에너지는 에너지 수급의 안전성을 더 높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잠재적 이점을 가지는 선택이다. 그러나 선 투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자금 조달이 장애가 될 수 있다'고 Mandil 사무총장은 선언한다.

    바이오연료는 수송분야 에너지 수요에 부응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에너지에 대한 새로운 정책이 정착되지 않는다면 바이오연료는 아마도 2030년까지 도로 교통 연료 소비의 4%를 차지하는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현 시점에서 연구된 정책들이 적용될 경우, 현재의 1% 수준에 불과한 바이오 연료의 비중을 7%까지 증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기술은 그러나 한계성을 갖기는 한다. 식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경작지와 목초지를 위한 경쟁이 생겨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늘날 개발되고 있는 새로운 바이오 연료 - 특별히 목질계(lignocellulosic) 에탄올(ethanol) – 기술은, 바이오 연료에게 부과된 중요도를 괄목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기본적인 기술적 상업적 어려움들이 극복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고 국제에너지기구의 한 보도자료는 기술하고 있다.

    관련 보고서는 다음을 참조: the World Energy Outlook 2006
    http://www.iea.org/textbase/weo/index.htm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17

    2019.05.05

    중국 Fujian성 Fuqing 원자력발전소 5호기에서 상온수압시험이 시작됐다. Fuqing 5호기는 최초로 입증을 위해 건설 중인 2기의 시연용 Hualong One 원자로 중 첫 번째다. 이번 시험은 원자로 계통이 보조계통과 처음으로 같이 작동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상온기능시험을 수행하여 안전에 중요한 부품과 시스템이 적절히 설치되고 상온 상태에서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이번 시험의 목표다. 이 시험의 주된 목적은 1차측인 원자로 측과 2차측인 터빈-발전기 측에 있는 각종 압력용기, 배관 및 밸브 등 주 회로 및 구성품의 누설 기밀성을 확인하고 주배관을 청소하는 것이다.

    Fuqing 5호기 시험은 2019년 4월 27일 시작되었다.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는 이는 예정보다 50일 앞당겨진 것이며 해당 원전이 기기 설치단계에서 시운전 단계로 전환된 것을 뜻한다고 밝혔다. 시험 중 원자로 계통 검사는 2.7MPa, 7.0MPa, 10.0MPa, 15.4MPa, 16.5MPa, 17.13MPa 및 22.3MPa 수압에서 수행된다. 2.7 MPa에서의 시험은 4월 28일 오전 2시 36분에 완료되었다.

    2014년 11월 CNNC는 Fuqing 5, 6호기로 중국이 자체 개발한 Hualong One 가압경수형 원자로를 최초로 설치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원래는 ACP1000 원자로를 설치할 것으로 계획했었지만 중국 원자력산업 재조직에 따라 계획이 수정되었다. 중국 국무원은 2015년 4월 Fuqing 5, 6호기 건설을 최종 승인했다.

    Fuqing 5호기 첫 콘크리트 타설은 2015년 5월 시작되어 공식적인 건설 착수를 알린 바 있다. 6호기는 같은 해 12월에 착공되었다. 2017년 5월 5호기의 격납건물 돔이, 2018년 1월에는 원자로 압력용기가 설치됐다. 2019년 1월 5일 Fuqing 5호기에 3번째와 마지막 4번째의 원자로냉각재펌프 설치가 완료됐다. Fuqing 5,6호기는 각각 2019년과 2020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한편, 중국 Guangxi 자치구 Fangchenggang 신규원전에서 Hualong One(HPR1000) 원자로 2기의 건설이 진행 중이다. 이 원전은 각각 2019년과 2020년에도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파키스탄 Karachi 원자력발전소에도 2기의 HPR1000이 건설되고 있다. 2015년 Karachi 2호기와 2016년 3호기가 착공되었으며 각각 2021년과 2022년 상업운전에 들어갈 계획이다.

    HPR1000 원자로는 영국규제기관의 일반설계평가(Generic Design Assessment)를 받고 있으며 영국 Bradwell 신규원전에 건설이 제안된 바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Hualong One 원자로,상온수압시험,누설 기밀성 2. Hualong One reactor,cold hydrostatic testing,leak-tightness
  • 616

    2018.11.08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와 러시아 국영원자력기업인 Rosatom은 중국 Jiangsu성에 Tianwan 원전 7,8호기 건설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2018년 11월 6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중국국제수입엑스포에서 체결된 이 계약은 러시아와 중국이 지난 6월 8일 북경에서 맺은 기본협약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기본협약에는 Tianwan 7,8호기로 2기의 러시아 설계의 VVER-1200 원자로 건설 및 Liaoning성 Xudabao 부지에 추가 2기의 VVER-1200 원자로를 건설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Rosatom은 엔지니어링 부문 자회사인 AtomStroyExport사가 Tianwan 7,8호기 건설을 위해 4건의 계약을 CNNC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계약의 세부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Tianwan 원전 1단계사업인 1,2호기는 1992년 중국과 러시아 간에 체결된 협력협정에 따라 건설되었다.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1999년 10월에 있었으며 2007년 6월과 2007년 9월 상업운전에 돌입한 바 있다.

    Tianwan 원전 2단계인 3,4호기는 1단계와 원자로 구성이 같은데 러시아 Gidropress사가 설계하고 Rosatom이 공급한 AES-91형 VVER-1000 원자로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2월 최초 콘크리트 타설이 이뤄진 3호기는 2018년 2월 15일 상업운전에 들어간 바 있다. 4호기는 2013년 9월 건설이 착수되어 2018년 10월 말 송전망에 연결되었다.

    Tianwan 원전 3단계인 5,6호기는 원래 2011년 초 착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인해 중국 정부가 신규원전 건설승인을 보류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Tianwan 원전 3단계 건설을 위한 5개년 계획 추진에 가속이 붙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Tianwan 원전 3단계인 5,6호기 건설허가를 2015년 12월 16일 발급했으며 중국이 설계한 1,080 MWe급 ACPR1000 원전이 들어갈 예정이다. 최초 안전성관련 콘크리트 타설은 5호기가 2015년 12월 27일, 6호기는 2016년 9월 7일이뤄진 바 있다. CNNC는 5,6호기 모두 2021년 말 경 상업운전을 계획하고 있다.

    2018년 11월 6일 다른 계약도 동시에 체결되었다. 이 중에는 중국이 Fujian성 Xiapu 부지에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600 MWe급 고속로 프로젝트를 위한 실시계약도 포함되어 있다. 이 계약에는 기기 및 용역 제공, 소프트웨서 사용 라이센스 부여, 문서검토 용역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CFR-600 나트륨냉각 수조형 고속원자로에 대한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2017년 12월에 이뤄졌으며 2023년 상업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Tianwan 원전 4단계,VVER-1200 원자로,CFR-600 나트륨냉각 수조형 고속원자로 2. Tianwan phase 4,VVER-1200,CFR-600 sodium-cooled pool-type fast reactor
  • 615

    2007.05.18

    지난 2001년 5월 28일 스웨덴에서 열린 국제학회에서 전세계적으로 방사성 물질의 국제적인 밀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각국은 이러한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해 더 많은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말했다. 이 회의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모하메드 엘바라디 총장은 '불법거래되는 방사성물질 대부분이 원자폭탄 제조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불법거래 수가 증가하는 것은 우려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 학회에서 세계 각국의 약 300여 전문가들이 모여 핵물질의 불법거래 현황과 방지를 위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GTB2001060066).

    현재 미국 연방 기관 중에서 핵물질의 밀수와 남용을 방지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미 에너지부 내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 (NNSA))이다. 이 기관은 최근 캐나다와 뉴질랜드와 그들의 핵 물질 안전 처리 작업에 협력하기로 하는 협약을 체결하였다(GTB2007050287).

    NNSA는 5월 7일 미국 내에서 15000개의 방사성 물질을 복구, 확보하는 중요한 업적을 달성하였다고 밝혔다. 이 물질들은 “더러운 폭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번 작업은 테러리스트나 기타 범죄자들이 방사성 물질을 잘못 사용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NNSA의 노력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NNSA의 빌 오스텐도르프 국장은 “우리의 가장 큰 임무 중 하나는 국가적인 안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물질들을 제거, 확보 그리고 폐기하는 일이다. 이는 위험한 물질을 위험한 사람들의 손으로부터 지키는 우리의 종합적인 전략의 일부를 보여주는 중대한 업적”이라고 말했다.

    NNSA의 국제 위협 감소 구상을 통해 방사성 물질들은 NNSA의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에 의해 이 물질들이 잉여의 것이고 필요치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다른 폐기 방법이 없다는 것이 인정되면 회사들과 학계 연구기관들로부터 수거된다. NNSA 의 물질 수거 작업은 방사성 안전 기관들과 미국 핵 규제 위원회에 대한 보고 등을 포함한다.

    NNSA의 방사성 물질 수거 프로그램은 미국 전역에서 절도 등에 의해 방사성 폭탄 혹은 더러운 폭탄으로 불리는 무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을 안전하게 수거, 관리하는 작업이다. 이 프로그램은 잉여의, 필요치 않거나 혹은 버려진 방사성 물질들과 재료들을 수거 확보한다. 이 재료들에는 플루토늄, 아레리슘, 캘리포니윰, 세슘, 코발트, 이리듐, 라디윰, 그리고 스트론틈 등 미국 전역에서 의료, 교육, 농업용, 그리고 연구 및 산업 설비에서 사용되었던 것들이다. 지난 1999년 이래로, 이 프로그램은 미국 전역에서 15,000개 방사성 물질들을 수거해 왔다.

    지난 2000년에 의회에 의해 설립된 NNSA는 핵 과학의 군사적 응용을 통하여 미국이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에너지 부내 별도의 기관이다.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14

    2008.06.10

    연구자들의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는 새로운 국가 예산안에 따라, 호주의 두 과학기관이 현재 일자리를 줄이고 연구 프로그램을 재조정하고 있다. 2007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지난 5월 중순 노동당 정부가 그 결과를 발표한 예산안의 골자는 고등 교육 기반구조 부문에 105억 달러 규모의 신탁 자금을 제공하는 등 더 많은 재정을 지원하는 대신, 호주의 핵심 과학기관인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이하 CSIRO)와 호주핵과학기술기구(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sation, 이하 ANSTO)의 예산은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감축은 놀라운데, 호주 정부는 오는 7월 1일에 시작되는 새로운 회계연도 동안 약 207억 달러 가량의 초과 세입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CSIRO의 예산 축소는 '실망'이라고 이 기구의 집행위원장 Geoff Garrett는 말했다. 이번 예산안 이전에도 이미 한 차례 예산 축소 발표가 있었으므로, 이를 합하면 2008~09 회계연도 동안 CSIRO의 예산은 대략 1,500만 달러, 총 예산인 6억 6천만 달러의 2.2% 가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핵심 역량을 보존하고 현재 진행 중인 과학기술 활동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다 ... 그러나 예산이 이리 된 이상 ... 몇 명의 직원을 내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CSIRO는 에너지 기술, 수자원 관리, 기후 변화 대응 등의 분야를 위한 연구비 지원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6350명 인력 중 100명 가량을 감원해야 할 전망이다. 한편 ANSTO는 1009명의 직원 중 80명 가량을 줄일 예정이다. 운영비는 상승하고 있으나 예산은 전년의 1억 4,400만 달러에 비해 2.6% 가량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편 호주 과학한림원의 원장 Kurt Kambeck은 이번의 결정으로 '호주 교육은 세계 수준의 고등교육 및 연구 분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며 교육 투자의 증가에 대해서 환영의 의사를 표시했다. 그는 또한 새로운 장학제도 및 중견 연구자를 위한 1000 펠로우십 제도의 신설에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밝혔다. '이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호주에 남아있을 것이며, 가장 생산성이 높은 단계에 도달한 해외 연구자들 또한 호주에 매력을 느낄 것'이라고 그는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기후 연구 부문 예산 지원 계획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향후 5년 간 청정 석탄 및 재생가능에너지 프로젝트 등을 포함한 지구온난화 연구개발에 22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한 계획에 대해 '전혀 이 문제의 심각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그는 말했다. 한림원장 Lambeck은 또한 국가혁신체제 및 대학에 대한 검토작업의 연속이 '복지부동에 대한 양해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613

    2008.07.11

    CNRS(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이사회는, 지난 7 1일 회의에서 “Horizon 2020” 전략 계획을 승인했다.

     

    이번 전략 계획은 최대 연구원 수 보유, 매력성, 연구원의 창의력, 자유와 책임감으로 조성된 위험감수 등 CNRS가 가진 가치를 그대로 재현한다.   현재 CNRS가 수행하는 모든 연구분야를 조직화하고, 연구소를 그룹별로 통합하여 기관(Institutes)으로서 구조화할 것임을 재확인 했다.

     

    - 광범위한 학문을 영역별로 재구성할 CNRS 기관 설립을 통해 CNRS가 수행하는 지식의 지속적 발전을 보장하고,  학제 간 연구를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다.

    - 사회가 직면한 주요 과제에 공헌하기 위해, CNRS 최고 행정부 단계에서 다방면 연구에 주력할 것이다. 여러 학문 간 협력으로 발족되는 혁신적인 프로젝트 개발과 지원을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 연구원의 재능과 능력 발휘를 고무시키고 협력과 국제 경쟁이 강조되는 환경에서 우수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인적자원 정책을 강화한다.

          - 프랑스 연구 발전 맥락에서, 특별히 대학의 독자적 연구에 관한 법률을 고려한 CNRS 파트너십 정책을 마련할 것이다. 대학은 보다 적극적인 연구 활동을 할 것이고, 연구조직은 국가 차원의 가장 기초적 단계에서 조직 간 협력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CNRS 기관은 학제 간 연구 진흥을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역할을 하게 된다.

     - 연구 운영진으로서 연구 감독

     - 다른 CNRS 기관, 대학, 기타 조직으로 부터 연구 자금 조달

    기관은 위와 같은 역할 수행을 위해 두 개의 분리된, 비호환성의 예산을 갖게 될 것이다.

     

    모든 CNRS 기관은 국가가 수여한 임무를 수행할 권리를 가지게 된다. 핵 및 입자 물리학 국가 기관(National Institute of Nuclear and Particle Physics, IN2P3), 지구과학과 천문학 국가 기관(National Institute of Earth Sciences and Astronomy, INSU)의 연구 분야와 조직은 변동 없이 현 체제를 유지할 것이다.

     

    CNRS 행정부는 학문 간 상호작용을 돕기 위해 더욱 강화될 것이고, 학제 간 연구 진흥을 위해 연구 설립의 모든 단계에서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 연구실은 여러 기관에 소속되기 위해, 관리 문제를 감독하는 하나의 기관과 조정할 수 있다.

       - 학제 간 연구 프로젝트는 CNRS 캠퍼스에서 기획될 것이다.

     

    CNRS와 고등 교육 기관, 다른 연구조직, 기업, 지방자치단체는 연구와 혁신을 위한 프랑스 시스템의 질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공헌할 것이다. CNRS 기관의 조직화와 활동범위는 2008년 말에 국가와 맺을 계약서에서 구체화된다. 이 계약서에는 프랑스 연구 시스템의 현대화를 주도할 CNRS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명시될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CNRS 행정부는 금년 하반기에 여러 기관들과 계속해서 협의해 나갈 것이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