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84/1,246

검색
  • 11628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정상 수명이 기대되는 한국인에서 전산화단층촬영 (CT, computed tomography) 피폭 여부에 따른 발암 위험도를 측정 ❍ 전체 내용 (1) 1차년도 (2018) ■ 연구 목표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한 대규모 환자 코호트 구축 ■ 연구 내용 및 범위 - 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에서 암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정의(definition) 확립에서 암진단 코드와 산정특례 코드, 치료 약물 청구코드를 이용함. - 역인과성(reverse causation)을 통제하기 위해 정상 기대수명의 충수염 환자로 연구 대상군을 한정하여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함. (2) 2차년도 (2019) ■ 연구 목표 CT 방사선 피폭에 따른 발암 위험도 비교 측정 ■ 연구 내용 및 범위 - 구축된 코호트를 이용하여 심층 통계 분석을 시행함. - Clinicaltrials.gov 에 연구를 등록함 (등록번호: NCT03776435). - Primary outcome measure: Age - and sex-standardized incidence rate ratio for hematologic malignancies 측정함. - 민감도 분석: CT 노출 후 암 발생 잠복기를 고려하여 CT 방사선 피폭 후 이후 다양한 lag period 기간을 고려함. - 하위그룹 분석: 연령, 성별, 충수절제술 시행 년도, 의료기관 종별, 보험료, 차후 CT 검사 시행 유무를 보정한 incidence rate ratio를 측정함. (3) 3차년도 (2020) ■ 연구 목표 CT 방사선 노출 관련 심층 분석 ■ 연구 내용 및 범위 - 연간 단위로 age - and sex-standardized incidence rate ratio for hematologic malignancies를 측정함. - 혈액암과 관계가 큰 골수 피폭 선량에 중점을 두어 피폭량을 정량화함. - 충수절제술 당시의 CT 피폭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CT 검사를 횟수를 세어 CT 검사 횟수와 발암간의 용량-반응 관계를 규명함. - 나이 및 성별 이외에 추가 교란 변수를 보정한 incidence rate ratio를 측정함. - CT 방사선 노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주 인용되는 5가지 clinical scoring system을 사용하여 환자 분류(patient triaging)시 CT 검사 감소율 및 진단 정확도를 측정함. □ 연구개발성과 ■ CT 방사선량 진단참고기준 설정에 활용 실증적 발암확률 제시함으로써 방사선량 진단참고기준의 참조치로 활용함. ■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연구의 결과를 JAMA Surgery (Impact Factor 13.625) [2021년 1월 JAMA Surgery Editor's choice로 선정]와 Radiology (Impact Factor 7.931)에 출판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민 건강 증진 효과 - 암은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실제적 위험일 뿐 아니라 의료비 국민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임. -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에서의 과도한 CT 남용을 제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 ■ 임상 진료에 활용 - CT는 높은 진단능으로 임상진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정상 수명이 기대되는 환자에서 방사선량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MRI와 같은 다른 진단기법의 사용을 권장할 수 있음. ■ CT 방사선량 설정 가이드라인 제정 - 발암 확률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적정 방사선량을 설정 및 권장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훈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산화단층촬영;인구 집단 연구;발암 위험도;방사선 피폭;빅데이터; 2. Computed tomography;Population based study;Carcinogenic risk;Radiation exposure;Big data;
  • 11627

    2021.11.30

    1. Research Purpose Both UAE and ROK are putting more emphasis on nuclear power plant safety. Traditionally, nuclear power plants were considered to be “safe” by meeting safety requirements under design basis accident scenarios (core non-metling cases).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assessing nuclear power plant’s safety under various severe accident scenarios (core being severely damaged accident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it is becoming a new global norm of nuclear safety. Prediction,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severe accid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are thus essential in both UAE and ROK nuclear industries. Since, complex two phase flow phenomena occur and govern the consequences under a severe accident, a conventional one-dimensional system analysis code used for design basis accident analysis is facing a new challenge. This is because 1D system analysis code has a two phase flow modeling capability for limited number of geometrical configurations while severe accidents often involve more complex flow geometry and condition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pproach with full three dimensional (3D) capability to model complex two phase flow will become very important for predicting severe accident consequences, which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for severe accid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However, the accuracy of the CFD will be also bound by the physical models implemented in the code and universal physical models that can handle various flow conditions are not successfully developed yet. In this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general two phase flow,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will be applied to 3D CFD to explore potential of the technique for developing a universal physical model. By improving the modeling capability of the CFD code for severe accident simulation, the nuclear power plant safe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under highly uncertain situation which can lead to devising better strategy for preventing and mitigating the consequences of severe accid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fundamental technology for CFD two-phase flow model for the analysis of severe accidents. (source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이정익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626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방사선 내성이 확인된 Spirosoma 속(genus) 세균과 방사성 내성으로 가장 유명한 Deinococcus 속 세균의 방사선 내성 기작을 비교한다. ■ 전체 내용 Spirosoma montaniterre DY10T 균주에 방사선을 조사한 뒤 전사체를 분석하고 전사체를 분석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대표적인 방사선 내성 세균인 Deinococcus 속 세균의 방사선 내성 전사체와 본 연구의 전사체를 비교하여 계통이 완전히 다른 두 속(genus) 세균의 방사선 내성 기작이 동일한 지 규명한다. Spirosoma montaniterre DY10T 균주의 내성유전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발현을 검증한다. ■ 1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감마선에 노출된 Spirosoma 속(genus) 세균의 전사체 동력학적 연구 • 내용 : Deinococcus 속(genus) 세균과 대등한 방사선 내성을 가지는 Spirosoma 속(genus) 세균이 감마선(γ-ray)에 노출된 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간대별로 발현되는 전사체를 분석하고, Deinococcus 속세균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동일한 감마선 내성 기작을 가지는 지 규명한다. ■ 2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자외선(UV)에 노출된 Spirosoma 속(genus) 세균의 전사체 동력학적 연구 • 내용 : Deinococcus 속(genus) 세균보다 더 높은 자외선(UV) 내성을 가지는 Spirosoma 속(genus) 세균이 자외선(UV)에 노출된 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간대별로 발현되는 전사체를 분석하고, Deinococcus 속 세균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자외선 내성 기작을 규명한다. ■ 3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Spirosoma 속(genus) 세균의 내성유전자 발현 검증 • 내용 : Spirosoma 속(genus) 세균이 가지고 있는 방사선 내성 유전자들을 선정하고 Real-Time PCR로 정량하여 실제로 세포 내에서 시간대별로 다르게 발현되는 지 확인하고, Deinococcus 속 세균의 발현 양상과 비교하여 방사선 내성 기작을 검증한다. □ 연구개발성과 감마선과 자외선 조사 후 변화하는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고,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내는 유전자 목록을 확보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UvrABC pathway, RecA pathway, MutS mediated pathway 등 다양한 DNA recovery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유전자들은 다른 organism의 유전자들보다 활성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암환자 방호제, 자외선 차단 화장품, 노화억제물질 개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명겸
    • 주관연구기관 : 서울여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사체 분석;방사선 내성 세균;방사성 내성 기작; 2. Transcriptome analysis;Radiation resistant bacteria;Radiation resistant mechanism;
  • 11625

    2021.02.28

    □ 연구개요 상부소화기암 (구강암, 비부비동암, 인두암, 식도암, 갑상선암등)의 암치료를 위한 필수부위 방사선 치료의 적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방사선 조사 기법의 발전에도 상부소화기암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하는 영구적 삼킴장애 (17%)는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 발생 역시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로 손상된 상부소화기관의 재생을 위한 주사형 유전자 이입 간엽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였음. 본 연구 개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유전자 클로닝 hMSC의 제조 - 유전자 전달세포의 생물학적 평가 (유전자 이입 효율 및 줄기세포성 변화) - 방사선 조사 후 fibrosis 유도 마우스 동물모델에의 적용 및 효능 평가 - 유전자 치료 기전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유전자이입 MSC의 제조 - 식도근육 유전자의 plasmid DNA내 유전자 재조합 - Electroporation technique을 이용한 MSC내 식도근육 유전자의 이입 및 이입효율 확인완료 • 유전자 전달세포의 생물학적 평가 - MSC에 각각의 유전자 이입 후 Pluripotent gene의 발현양상을 확인완료. - Myogenesis관련 유전자의 gene expression을 real time PCR를 통해 분석완료 - MSC에 각각의 유전자 이입 후에 western blot를 통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완료 • 동물모델에의 적용 및 효능 평가 - 식도 점막층의 조직학적 변화 관찰 및 정량분석 완료 - 식도 점막하층의 콜라겐층의 분포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완료 - 식도 근육층의 morphological 변화 분포의 정량적 분석 완료 - 점막근층 (muscularis mucosa)의 재생유무 확인 완료 • 유전자 치료 기전 규명 - 재생조직내 방사선 조사관련한 fibrosis 관련 마커의 발현양상 확인 (재실험중) - Paracrine effect 및 재생조직내 분자생물학적 평가 (현재 추가적인 분석 진행중)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유전자 클로닝 줄기세포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손상 재생치료의 가능성을 밝혀, 현재 난치 영역인 영구적 삼킴장애의 치료 가능성을 확인함. • Non-viral vector를 이용한 유전자 이입된 줄기세포 제제는 기존의 viral vector에 비해 임상적인 안전성이 크며, 여러 기타장기의 활용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법을 제시함. • 본 연구를 통한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손상 재생 치료용 주사제 개발로 전세계적 광범위한 수요를 통한 경제적, 학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치료 환자군에서 유전자 이입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통한 사업화 전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은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두경부암;방사선 치료;간엽줄기세포;방사선 섬유화;유전자 치료; 2. Head and neck cancer;Radiation therapy;Mesenchymal stem cell;Radiation-induced fibrosis;Gene therapy;
  • 11624

    2021.06.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w mechanism with a directly retrograde factor for the DNA damage response under genotoxic environment by mitochondrial fission. ○ 전체 내용 ☞ Mitochondria frag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γ-H2AX accumulation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The uncompleted γ-H2AX accumulation results from the response to defect in ATM signal in mitochondrial fission cells. ☞ Together, diabetes mimic-condition induced-mitochondrial fission destroyed DNA damage whereas releasing from high glucose restored the amount of γ-H2AX. □ 연구개발성과 Here, we report that the ablation of mitochondrial fusion causes a defect of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signaling in response to DNA damage. Mechanistically,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itochondrial fusion machinery (MFN1 and MFN2), Sab (or SH3 binding protein 5-SH3BP5), and JNK are required for JNK activity and nucleus translocation and the subsequent engagement of JNK activation-tethered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DNA damage response.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1st Year: Regulation of DDR by mitochondria dynamics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2nd Year: Molecular mechanisms on the cross-talk between mitochondria dynamics and DDR - 3rd Year: Its physiological role in high glucose-induced mitochondria fragmentation model Evaluate the physiological relevance in the DDR. (source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NGUYEN THI KIM OANH
    •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 11623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차세대소형위성1호 우주환경관측 과학탑재체 ISSS의 운용과 자료 활용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최종 연구 목표이며, 이를 위해 ISSS 탑재체 운용 시나리오 생성, 관측자료 수신, 전처리 및 자료배포 시스템 구축/운영하고,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관측대상에 대한 학문적 분석 연구를 수행한다. 더불어, ISSS 활용위원회의 운영, 관리를 통해 국내외 우주과학 연구자들의 ISSS 자료 활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 연구개발 내용 ◎ 차세대소형위성1호 과학탑재체 ISSS의 운용 ▷ 차세대소형위성1호의 궤도와 위치를 고려한 ISSS 운용 시나리오 생성 및 전달 ▷ 관측자료 수신이후 세부 탑재체별 자료 분류 및 전처리 소프트웨어 작성 ▷ 자료배포를 위한 관측자료 표준화 및 자료배포 서버 구축/운영 ◎ 우주환경관측 과학탑재체 ISSS 자료 활용 연구 ▷ 주요 관측/연구 대상인 마이크로버스트 (Microbursts), 버블 (Bubble), 블롭 (Blob), Positive 혹은 Negative Storm 등에 대한 과학분석 연구 수행 ▷ 동시관측이 가능한 해외 미션 자료와 연계한 분석 연구. 우주방사선 폭풍의 경우 RBSP, THEMIS, 및 ERG와의 연계분석. 이온층 폭풍 관측의 경우 SWARM, DMSP, 및 C/NOFS 위성과 자료 교환을 전제로 연계분석 공동연구 수행 ◎ 우주환경관측 과학탑재체 ISSS 자료 활용 지원 ▷ 국내외 과학관측 자료 활용을 위한 사용자 매뉴얼 (ISSS User’s Manual) 작성 및 배포 ▷ ISSS 활용위원회를 중심으로 사용자 그룹을 형성하고, 근지구우주환경 워크숍과 우주과학회 및 국제학회를 통해 ISSS 관련 발표와 활용 논의 ▷ 국내외 ISSS 사용자의 자료 활용 (자료사용 및 분석 소프트웨어) 지원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우주방사선 폭풍관련 관측자료 활용의 경우 극궤도 관측이라는 장점을 살려, 해외 미션과의 연계연구가 기대되며, 국내 RBSP 자료수신과 정지궤도복합위성의 우주 기상 탑재체와의 연계연구로 우주환경연구의 선진화를 도모하며, 이온층 폭풍자료의 경우 국내에 설치된 Coherent Scatter 레이더의 관측 자료와 연계하여 이온층 폭풍의 결과로 형성되는 중위도 지역의 이온층 교란연구에 이해수준을 심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유광선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우주환경;우주폭풍;우주방사선;이온층;플라즈마;소형위성;고에너지 입자;자기권; 2. space environment;space storm;space radiation;ionosphere;plasma;small satellite;hjgh energy particle;magnetosphere;
  • 11622

    2021.10.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국악 전용 공연장의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전체 내용 : 국악기와 국악의 음향특성 조사 및 이를 활용한 국악 전용 공연장의 최적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1단계 ● 목표 : 측정 및 녹음기술 개발, 악기편성 및 배치 연구, 건축음향 설계 지표 도출 ● 내용 악기의 주파수 대역별 방사특성과 음향적 특성 측정, 연주법에 의한 악기군 별 앙상블, 국악기에 대응하는 마이크 시스템 개발, 합주와 병주시 mode 별 소리의 밸런스 측정, 오케스트레이션의 청감테스트, 공간의 음장특성 등을 고려한 악기 배치방식과 편성 방법을 제안, 기존 국악 공간의 물리적 음향 특성 평가, VR 환경에서의 가청화를 통한 주관평가 반응 조사, 국악 공간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연구개발성과 가. 국악기의 주파수 대역별 방사특성·음향특성 측정 나. 국악기 오케스트레이션 다. 국악기 전용 마이크로폰 개발 라. 합주/병주 모드에 따른 소리 밸런스 측정 마. 국악기 음향특성 및 공간 음장특성을 고려한 악기 배치 방식과 편성 방안 조사 바. 기존 국악 공연장의 물리적 음향특성 평가 사. 국악전용 공연장의 무대용적에 따른 음향 특성 조사 아. 국악 공연장의 객석 간 음향편차 및 건축음향지표 변화에 따른 청감인식 평가 자. 국악 공연장의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개발의 성과는 현재 존재하는 모든 국악 전용 홀들의 음향환경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하며 동시에 앞으로 설계될 국악 전용 공연장의 음향환경 설계 방향성을 제시한다. 또한 청감평가를 통한 국악 오케스트라 편성/배치 방안의 제시는 기존의 배치방식을 수정하여 관객의 입장을 더욱 대변할 수 있는 관객친화적 국악 공연을 가능케 한다. 국악기 전용 마이크로폰 시스템의 개발은 서양의 비슷한 악기군 전용 마이크를 국악기에 병행 사용하던 기존의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국악기 본연의 소리를 더 정확하게 입력/녹음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국악의 대중화, 세계화, 또한 다른 장르와의 결합적인 측면에서 기여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춘기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국악기;소리 방사특성;오케스트라 편성;가청화;주관평가; 2.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ound radiation;Orchestration arrangement;Auralization;Subjective evaluation;
  • 11621

    2021.05.31

    ◆ 연구 목표 ♦ 2015년 미국 및 유럽에서 항암 바이러스(Oncolytic virus)의 상업화 성공 이후, 이 분야의 많은 투자와 다국적 제약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종양면역 및 면역독성 조절을 할 수 있는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후보 물질군 제작 및 최적화, 비임상 연구 진행, 공정개발, 임상시험 승인 획득 후 초기 임상시험에 진입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개념증명 임상시험을 통해 종양면역의 패턴을 파악하여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치료제 중 면역조절이 가능한 물질을 탐색해서 항암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작용기전 중 종양면역 증가는 생존율 증가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지만, 바이러스 자체의 면역 활성으로 체내 보상적인 억제성 면역이 발생하여 임상적 유효성을 제한할 수 있음. ▶ 본 연구책임자는 제작된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 면역반응의 질적, 양적변화 분석 및 면역조절제를 탐색하여 항암 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시험에 적용하기 위한 중개연구 및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과 1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바이러스 엔지니어링 ♦ in vitro : 역가시험, 세포독성시험, Flow cytometry, Immunohistochemistry, qPCR,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icroarray, Co-culture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동종 종양 동물 모델, 토끼 종양 모델, 토끼 독성 모델 ♦ 경동맥화학색전술 ◆ 연구결과 1) 암세포 특이적 항암 바이러스 제작 및 최적화 •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바이러스 증식 조절 유전자 및 종양 면역 활성인자를 도입하여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제작 완료(OTS-412, OTS-C412, WOTS-418, WOTS-408) • 항암 바이러스 제어기능 검증 및 제어시스템에 의한 추가 항암 효과 확인 완료 • 항암 바이러스 감염 시 면역 조절의 중요성 확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mOTS-412)에 의한 항암 효과 증가 확인 - in vitro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 동종 종양 동물 모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의 항암 효과 작용기전 연구 및 후천성 면역 조절 기전 연구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mOTS-412)와 면역관문억제제 추가 투여에 의한 항암 효과 증대 확인 • 다양한 항암 바이러스(OTS-C412, WOTS-418)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에 의한 항암효과 증가 확인 • Herpes simplex virus, Measles virus, Adenovirus와 면역조절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암효과 확인 • 바이러스 제조 공정 개발 완료 • 항암 바이러스 대량 생산 Process Development 기술이전 및 임상시험물질(CTM I, CTM II) 제조 완료 • CMC 분석법개발(identification – PCR based, 역가측정법, chemosensitization shift assay, 바이러스 정량 – PCR based) 및 밸리데이션 • 임상시험물질(CTM) 품질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안정성 연구 • 임상시험물질(CTM I) 출하승인 완료 및 IND packaging 작성 완료 2) 항암 바이러스 유도 면역반응 연구 • 간암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치료에 따른 종양 면역반응의 분석 완료 • 종양 모델 생쥐에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 완료 • 토끼의 간동맥 투여를 통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non-GLP) 완료 • 토끼 모델에서의 mOTS-412에 대한 GLP 독성 시험 시행 완료 • 원숭이에서 mOTS-412 독성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생체 분포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효율 증가를 위한 특정 마커 분석 탐색 • 임상 시료 분석법 개발 •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 완료 ◆ 기대효과 •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서류 준비 완료(IND packaging) - 비임상 약리, 비임상 독성, GMP 제조 • 기술이전 혹은 창업 : 1단계 종료 전 30억 이상의 민간자본 투자 •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 기반 면역치료제의 신약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신약개발을 위한 국제적 수준의 새로운 시스템의 기반 설립 및 세계적인 연구 성과 도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의 종양면역 반응 분석법을 개발함으로써 암종에 따른 개인별 맞춤치료 근거 확보 ▶ 다양한 암의 표준치료 방법 (수술, 경간동맥화학색전술, 고주파 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제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보조치료 확보 및 맞춤치료 개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면역반응 조절제 개발의 기반 마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황태호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항암 바이러스;고형성 종양;임상시험;면역치료제;종양면역; 2. Oncolytic virus;Caner immunology;Clinical study;Immunotherapeutics;Solid tumor;
  • 11620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위성통신 송수신기용 GaN 기반 고주파 전력 반도체의 내방사선 향상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반도체 소자의 내방사선 평가 기술 조사 ○ 이온빔/방사선 조사를 통해 변화된 GaN 물성 분석 ○ GaN 반도체 소자 제작 및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 내방사선 평가 결과 분석 및 내방사선 향상 소자 구조 제안 ○ 내방사선 향상된 GaN 고주파 전력 반도체 소자 제작 및 평가 ○ GaN 소자 기반 하이브리드 타입의 PA 구현 및 내방사선 평가 ■ 1단계(해당 시 작성) • 목표 : 위성통신 송수신기용 GaN 기반 고주파 전력 반도체의 내방사선 향상 기술 개발 • 내용 ○ 반도체 소자의 내방사선 평가 기술 조사 ○ 이온빔/방사선 조사를 통해 변화된 GaN 물성 분석 ○ GaN 반도체 소자 제작 및 우주방사선 영향 평가 ○ 내방사선 평가 결과 분석 및 내방사선 향상 소자 구조 제안 ○ 내방사선 향상된 GaN 고주파 전력 반도체 소자 제작 및 평가 ○ GaN 소자 기반 하이브리드 타입의 PA 구현 및 내방사선 평가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SCI 논문: 4건, 특허출원: 2건, 국내/국제학술대회 발표: 5건/2건 ○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 내방사선 평가 기술 정리 - 이온빔 조사 전/후 GaN 물성 분석 결과 정리 - 방사선 조사 전/후 GaN 물성 분석 결과 정리 - 양성자에 의한 소자 특성 저하 원인 분석 결과 - 이온빔 기술 이용 내방사선 향상 소자 구조 설계 - 방사선 조사 조건에 따른 내방사선 평가 결과 정리(특성 저하율 30% 이하)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내 우주부품용 전자소자 개발 및 방사선 영향 평가 기술 연구의 기초데이터로 활용 가능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aN 기반 내방사선 전자소자 개발 과제를 추진할 계획 ○ 해당 소자 관련 기술을 타 분야(이동통신, 레이더 등) 고주파 전력 반도체 소자에 활용 가능 ○ 국내 GaN 기반 내방사선 전자소자 개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우주기술 자립화에 기여 ○ GaN 기반 고주파 소자의 신뢰성 평가를 통해 안정성 확보 기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동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질화갈륨;고주파 소자;내방사선;양성자;이온빔; 2. Gallium Nitride;High-frequency Device;Radiation Hardness;Proton;Ion Beam;
  • 11619

    2021.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남정현
    • 주관연구기관 : 센소허브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시간지연적분;영상 검출기;영상 소자;화소;우주급;내방사선 보증;세라믹 패키지;신뢰성 시험; 2. TDI;Image Detector;Image Sensor;Pixel;Space Class;Radiation Hardness Assurance;Ceramic Package;Reliability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