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80/1,246

검색
  • 11668

    2021.05.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방사선 치료계획에 필요한 인체조직특성 추정을 위한 고정밀 이중에너지 CT 재건방법 개발 전체 내용 1. 불연속 스펙트럼 모델을 이용한 다색 이중에너지 CT 재건 모델 개발 - 불연속 스펙트럼 기반 이중에너지 CT 재건 모델 개발 - 스펙트럼 정보 및 물질정보 학습에 필요한 팬텀 제작 - 개발된 재건 알고리즘의 빠른 최적화를 위한 병렬 알고리즘 개발 2. 유효원자번호 및 유효전자밀도 영상 분별 알고리즘 개발 - 이중에너지 CT 영상을 이용한 기저 분별 알고리즘 개발 -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경쟁기반의 군집 알고리즘 개발 - 이중에너지 CT 영상 기반 분별 알고리즘 고도화 3. 시뮬레이션을 통한 알고리즘 수렴성 검증과 조직 유사 물질을 통한 실험 및 평가 - 수치적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알고리즘 수렴성 검증 - 다양한 모양 및 물질에 대한 팬텀 실험 및 평가 - 조직 유사 물질에 대한 실험 및 평가 연구개발성과 - 동시 업데이트 기법을 통해서 스펙트럼의 정확도에 대한 알고리즘 민감도를 저하하여 실사용에 용이하게 함 - 기존의 재건 알고리즘에서 나타난 인공물을 크게 저하함으로써 인체 대체물질의 정량평가의 정확도를 향상함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스펙트럼 이용한 재건방법을 딥러닝 기술과 접목하여 물질분별 정확도 향상 연구 계획 - 단일 광자 검출기 시스템에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물질분별 개수 및 정확도 향상 연구 계획 - 치과용 CT 장비에 해당 재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면 신경과 같이 진단이 어려운 부위의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동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이중에너지 X선;물질분별;재건;영문핵심어; 2. Dual-energy X-ray;Material decomposition;Reconstruction;
  • 11667

    2020.12.31

    국제 핵비확산 신뢰성 제고를 위한 핵비확산 및 핵안보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과제를 통해 IAEA 회원국지원프로그램( MSSP )을 통한 국가 연구개발 주요 과제에서의 핵비확산/핵안보 기술 니즈 파악 및 확보, 다자간 국제 협의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핵비확산/핵안보 협력 강화 및 네트워크 구축, 한미 공동연구의 핵비확산수용성 평가 지원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주요 성과를 달성하였다. • 핵연료주기 시설모델의 준실시간계량관리( NRTA ) 프로그램 IAEA 전문가 상호 교차검증 • IAEA 물리적 모델 개정 전략 수립 및 사용후핵연료관리 분야 개정 ( 의장 수행 개정작업 주도 ) • 파이로 기술에 대한 핵확산저항성 강조한 물리적 모델 보완 • IAEA INPRO의 핵비확산(PR)분야 Case study( TFMF, TRU 핵연료 제조시설 PR 방법론 분석 ) TECDOC 검토자료 생산 및 운영위원회 참여전략 수립 • GIF PRPPWG 연례회의 참석 및 우리나라 현황 보고, GIF PRPP 평가 방법론 번역보고서 발간 등을 통한 핵비확산 네트워크 강화 • GIF 노형별 PRPP 특성 분석 백서 개정 작업 협력 및 SFR 분야 POC 역할 수행 ( 백서 개정본 생산 ) • HEU 최소화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계 최초로 고밀도 U3Si2연료 제조 성공 발표, 실무그룹 의장 역할 수행을 통한 국제 핵안보 네트워크 활성화 • 국제 핵감식 추진 방향 설정을 위한 전략 수립 및 국제회의 참석 • 한미공동연구 핵비확산수용성 확보 전략 수립, 최종보고서 목차 개발, 중간보고서 작성 및 최종보고서 초안 개발 국제 핵비확산/핵안보 기술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 주요 연구개발 과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국제투명성/핵비확산 위상 및 신뢰성을 제고함으로서 국가연구개발 주요 과제의 핵비확산 ( 안전조치 ) 및 투명성과 관련된 필수 확보 기술 및 신기술을 제시하고, 미래 대비 핵비확산/핵안보와 관련된 각 과제의 추진역량을 고도화하는데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15p)
    • 연구책임자 : 안성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안전조치;준실시간 계량관리;고농축우라늄 저감화;핵감식;핵연료주기 모델링 시뮬레이션;IAEA 회원국지원프로그램; 2. GIF PRPP;IAEA INPRO;safeguards;NRTA;HEU reduction;nuclear forensic;modeling and simulation;IAEA MSSP;
  • 11666

    2021.01.31

    최근 유용 생명연구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적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생명연구자원으로서 미생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극한 미생물의 일종인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은 방사선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견디기 위해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방사선저항성 미생물 324종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 분양할 수 있는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은행(RAD-BioBANK) 시설을 구축하였고, 자원 공개를 위하여 과기정통부 생명연구자원 통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하였다. 대표적인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인 Deinococcus 11종의 게놈 염기서열과 방사선 반응 전사체 2종 및 단백질 3종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유래기능성 생물소재를 확보하기 위하여 Deinococcus가 생산하는 수용성 폴리머 DeinoPol을 정제하여 방사선 방호 및 세균감염 억제효능을 규명하였다. 또한, 바이오소재의 항알러지, 항면역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 평가 법을 통하여 Deinococcus의 세포벽 성분(DeinoWall), 세포막 성분(DeinoMem)의 생리활성 기능을 규명하였다. 국내의 한정된 미생물자원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서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및 방사선 돌연변이 기술을 이용하여 산업용 미생물 균주의 성능을 개량하였다. Deinococcus의 유전자를 대장균에 도입하여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물질인 PHB를 고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하였다. 식물의 신품종 개발에 활용되는 방사선 육종기술을 미생물 개량 기술에 도입하여 삼투압 스트레스 및 DNA 손상 유발 물질인 MMC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 Deinococcus 균주를 제작하였다. 또한, 당분해/전환 효소의 고생산 균주를 개발함으로써 방사선 돌연변이 기술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RAD-BioBANK를 국내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연구의 중심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방사선 기반 미생물 개량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데이터는 산업용 균주 개량을 위한 예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55p)
    • 연구책임자 : 임상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은행;데이노코쿠스;기능성 바이오소재;방사선 돌연변이 기술;미생물 개량 기술; 2. Radio-resistant microorganisms;RAD-BioBANK;Deinococcus;functional biomaterials;radiation mutation technology;microbial engineering technology;
  • 11665

    2020.12.31

    제조 부품과 고반응성 희토류 성분의 반응에 의한 핵물질 손실은 핵물질 회수율을 감소시키고, 주조잔탕과 불합격 스크랩 등의 미활용 손실연료는 제조수율 감소의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응저감 소재개발을 통한 주조부품 반응손실을 제어하고, 미활용 핵물질의 재사용을 통한 제조수율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도가니 용탕 반응방지 기술개발로 반응저감 성능을 비교평가하여 LaYO3, 8-YSZ 반응저감물질을 선정하고 유도용해 적용을 위한 세라믹 라이너 도가니를 개발하였다. LaYO3, 8-YSZ 반응저감 도가니 시제품을 각각 제작하고, 핵물질 반응저감 성능을 80% 이상 향상시켰다. 반응방지 주형 제조기술 개발로 석영관 주형의 표면조도개선을 통하여 코팅액 도포법을 변경하여 주형반응손실율을 약 78%저감하고 석영관 주형의 3회 재활용에 성공하였다. 또한, 대체주형을 재활용하기 위한 연료심 인출기를 개발하고 대체주형을 이용한 연료심 제조에 성공하였다. 핵연료 제조수율 향상기술 개발로 최적의 연료심 건전성 유지를 위한 공정조건을 도출하고 잔탕의 재활용 요건을 도출하였으며, 표면오염 처리기술을 개발하였다. 잔탕 재활용 기술을 활용하여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건전한 재활용 연료심 주조에 성공하였고 핵물질 미활용 손실율을 0.1%이하 제어에 성공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후 핵연료 제조기술의 타당성 및 제조기술성, 그리고 경제성 확보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다양한 원자로에 확대적용이 가능한 핵연료 제조공정의 손실제어 핵심기술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반응방지 기술의 확장을 통한 비원자력분야(내열, 내화학 소재개발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320p)
    • 연구책임자 : 국승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금속연료;제조기술;손실제어;반응방지;수율향상; 2. Metallic Fuel;Fabrication Technology;Loss Control;Reaction Prevention;Yield Improvement;
  • 11664

    2020.12.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 연구, 4. 방사선 반응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대표 연구 성과로는 1. DNA 손상반응 유전자 AGO2의 cis-element (CCACACC) 최초 규명 및 AGO2 유전자 cis-element에 결합하는 전사인자 ANAC78 규명, 2. 식물 DNA 손상반응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및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동위원소 이용 신규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 규명, 4.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바이오 소재 개발(국내 특허등록, 10-1797717)이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3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
  • 11663

    2020.12.31

    ○ 본 연구는 연구원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할 혁신 R&D 도출 및 전략 제시를 위해 국가 원자력 R&D 정책의 수립을 지원하고, 연구원 新 연구개발 방향 제시 및 내부역량 강화를 위한 체제를 마련하였으며, 사회적 수용성 기반 원자력 R&D 환경 조성 연구를 수행하였음 ○ 국가 원자력 R&D 정책 수립 지원에 있어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수립의 기본방향을 수립 ㆍ 보고하고 정부의 원자력 R&D 부문별 실행전략 수립을 지원하였음 ○ 이와 함께 정부 정책 변화 등 대외 환경변화를 적기 반영한 연구원의 신 연구개발 방향을 수립하였으며 연구원의 성과제고를 위한 기술메모(Technical Memo)를 기획 ㆍ 도입하여 과책 주도의 성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 또한, 사회적 수용성 기반의 원자력 R&D 환경을 조성하고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종합관리 전략 및 사용후 핵연료 발생지 반환 기반 구축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원자력 현안에 대한 전문적인 보고서(원자력 정책 브리프 리포트)를 작성 ㆍ 배포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1p)
    • 연구책임자 : 이종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 R&D 정책;혁신 R&D;연구개발 전략;성과 제고;기술메모;사회적 수용성;원자력정책 브리프리포트; 2. Nuclear R&D Policy;Innovation R&D;R&D Strategy;Strengthen performance;Technical Memo;Public acceptance;Nuclear policy Brief Report;
  • 11662

    2020.12.31

    산업계에서 친환경 바이오소재의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관련 분야 산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소재용 신품종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게 됨으로서 국내 종자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바이오 산업소재 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신산업 육성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와 동시에 방사선 육종 연구 체계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역시 목적으로 하여 본 과제를 진행하게 되었다. 성과목표 1. 『바이오소재용 유전자원 개발』 분야에서는 식물/미세조류/균이류에 대한 돌연변이 유전자원을 개발하여 소재 또는 bioremediation 쪽에서 유용 형질을 가진 우수 변이체를 선발하고, 이들 우수 형질에 연관된 분자 마커를 개발하고 돌연변이 매커니즘을 규명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성과목표 2. 『방사선육종 유전자원 바이오소재 특성 분석 연구』 분야에서는 바이오소재 자원의 물성 평가와 유용물질 생산에 관련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식물 및 미세조류 자원의 bioremediation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초연구도 수행하였다. 성과목표 3. 『유전자원 관리시스템 및 빅데이터 DB 구축』 분야에서는 작물별 신규 오믹스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고 수집한 자료들을 표준화하였으며, QR코드를 이에 연동하여 방사선육종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해당 과제의 결과물은 추후 방사선육종 신품종의 산업소재 활용을 위한 협력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바이오 산업소재를 활용하는 신산업분야 발전과 방사선육종 자원 분양을 통한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 특화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47p)
    • 연구책임자 : 안준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바이오소재;산업소재;방사선육종;바이오리메디에이션;유전자원은행; 2. Biomass;Biomaterial for industry;Radiation Breeding;Bioremediation;Genebank;
  • 11661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를 통한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 전체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1단계 목표 - 사이버공격에 의한 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내용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전출력/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을 통해 관련 디지털자산안 식별 ○ 2단계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를 통한 사이버보안 규제방안 마련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및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2016 목표 - 원전 사고관련 디지털자산 규제방법론 연구 내용 - 보안관련 원전사고규제 동향 및 원전 리스크평가 현황 분석 - 원전 디지털자산과 원전사고 연계성 분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방법론 개발 - 사고연계 시스템의 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연구 ○ 2017 목표 - 원전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방안 연구 내용 - 전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전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 취약점 평가방법 및 항목 개발 ○ 2018 목표 - 원전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 분석 및 보안평가 내용 - 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리스크평가 및 디지털연계 분석 - 정지/저출력에 대한 핵심디지털자산(안) 연구 및 식별 - 핵심디지털자산 검증방안 연구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취약점 분석 ○ 2019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안) 검증 및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연구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안)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식별을 위한 기술기준안 개발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평가방안 및 보안요건 연구 ○ 2020 목표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및 규제지침안 개발 내용 - 핵심디지털자산 보안평가 수행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기술기준안 개발 - 관련 심·검사 지침안 개발 및 연구결과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 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방법론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리스크 평가 자료 분석 - [1차년도] 사이버공격에 의해 원전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식별 방법론 개발 □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 보안성 분석 환경 개발 - [국외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1건] - [1차년도] 원전 사고연계 시스템의 사이버보안성 분석환경 개발방안 마련 - [2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검증 방안 개발 □ 전출력 및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 도출 - [국외학술발표 2건, 국내학술발표 2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 [2차년도] 전출력 내부사건 PSA 결과 분석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발전소 운전상태(POS)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개발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플랫폼 검증 방안 마련 - [4차년도] 전출력,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안에 대한 검증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성 평가 연구 및 취약점 분석 - [국외학술발표 1건, 국내학술발표 4건, 국내논문게재 1건, 안전기술보고서 4건] - [2차년도] 전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정지/저출력 핵심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과 연계된 계통적 사이버 취약점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 취약점에 대한 일반적 조치방안 마련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요구사항 개발 - [4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공격벡터 및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보안성평가 방법론 및 디지털보호계통 적용 사례 □ 핵심디지털자산 사이버보안 규제기술 연구 - [국내학술발표 6건, 안전기술보고서 3건, 정책제안서 2건]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타당성 및 규제 고려사항 분석 - [3차년도] 국내외 사이버보안 규제 지침 분석 - [3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규제 방안 제시 - [5차년도] 핵심디지털자산 식별 기술기준안 개발 및 정책제안 - [5차년도] 사이버보안 심사지침 개선안 개발 - [5차년도] 사이버보안 검사를 위한 세부지침안 개발 및 정책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보안대책 제시를 통해 최신 사이버공격에 대한 근본적인 방어 체계 수립 - 국산화 원전노형에 대한 사이버보안 안전규제제도 효율화 및 체계화를 통한 국가 위상 제고 - 국제 핵안보에 큰 위협인 사이버위협에 대한 효과적 규제시스템 개발을 통해 국제 사이버보안 규제분야 선도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권국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이버보안;핵심디지털자산;보안성 평가;리스크 평가;규제 요건; 2. Cyber Security;Vital Digital Asset;Cyber Security Assessment;Risk Assessment;Regulatory Criteria;
  • 11660

    2021.01.31

    본 연구사업의 주목표는 두가지로 영상장비 기반 연구지원과 가속기를 활용하는 연구지원이다. 첫번째로, 다중-다기능 융합PET/MRI영상 이용 연구의 활성화에 필요한 최신 융합 PET장비 도입과 신개발 다기능 방사성 추적자를 이용한 융합분자영상 기초 및 임상 응용기술 개발 / 신규 방사성 분자영상의약품 개발 및 평가 및 임상적용 연구 활성화 지원이란 목표를 가지고 표준화된 성능평가 및 QC 프로토콜, 영상 획득 프로토콜, 정량화 기법, 다중 영상 정합 기법 등의 개발 및 국내 등의 개발과 국내 보급을 통한 국내 PET/CT영상의 유용성 향상에 기여와 융합 PET (PET/CT 및 PET/MRI)의 다중-다기능 영상의 정량분석을 위한 영상의 융합 처리/분석기술의 개발과 평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진단능의 향상과 치료반응의 효과적 평가를 위한 영상분석기술 개발 및 임상적용 그리고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연구성과인 신개발 PET용 방사성의약품 및 융합 다중-다기능 영상용 의약품의 임상적용 및 유용성 평가 연구 수행 및 지원을 하였다. 두 번째로, MC50 사이클로트론을 통한 이용 연구자들의 시설 활용지원은 통계에 따르면 총 17개 기관 41개의 연구를 지원하였다. 가속기 가동시간은 총 950시간이며 내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60건이고 외부 이용자 지원건수는 지원건수는 170건(내부이용: 54건, 외부이용: 116건)로 총 230건을 기록하였다. MC50 사이클로트론 관련 메인 수냉 펌프 시스템 업그레이드, Circular coil 마그넷 전원공급장치 교체, Low level RF 시스템 AD 보드 성능 개선, PLC system 업그레이드(PLC와 EPICS간 통신 구현, 차폐도어 데이터 통신 부분 업그레이드), 빔 라인 (Pump group 5) 진공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의 인프라 강화를 하는 등 MC50 사이클로트론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당해연도 목표치인 장비가동률 90%를 상회하는 97.4%의 가동률을 달성하였다. 신규 의료용 RI 생산 지원을 위한 중양성자 빔 인출관련 내부 파트의 개조 및 빔 조사 조건 최적화를 통한 중양성자 빔 성능 향상을 위해 에너지별 Ion source와 Dee tip2 간격 별 중양성자 빔 테스트 및 최적화, 중양성자 빔 용 가스 시스템 유지보수 및 교체를 통해 목표치 중양성자 빔 인출량 16 ㎂로 목표치 15 ㎂를 초과 달성하였다.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이교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융합영상시스템;다기능방사성의약품;다기능융합분자영상;임상연구사이클로트론;양성자;중성자;중양성자빔; 2. PET;hybrid imaging system;multi-functional radiopharmaceuticals;multi-functional hybrid molecular imaging;clinical study;MC-50;cyclotron;proton;neutron;deuteron beam;
  • 11659

    2020.12.31

    Ⅳ. 운영결과 ❍ 2020년에는 원자력 수출입통제 이행과 관련하여 전문판정 2,880건, 수출허가 65건 및 핵물질수출입승인 217건 등에 대한 심사를 기술적으로 지원하였다. ❍ 전문판정 업무 위탁에 따른 관련 규정을 반영하고, 세부기준을 명료화하기 위해 전문판정 지침서 및 절차서를 개정하였다. 핵물질 수출입요건확인 지침서를 개정하여 업무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 국가별 원자력협력협정 이행 DB를 구축하고, 국내 협정대상품목 보유기관에 대한 관리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선진 수출통제 선도국의 법령 및 제도를 분석하여 벤치마킹 대상을 선정하고, 국내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UAE BNPP 수출 사업 내 수출허가 위반 사업자에 대한 현장점검, 교육명령 등의 후속조치를 수립하여 실시하였다. UAE OSSA 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장검사 방안을 수립하고, 수출통제 이행현황을 확인하였다. ❍ 판정오류 및 규제당국과 피규제 간 오해발생 소지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이용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해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원력수출입통제시스템(NEPS)을 재구축하였다. ❍ 원자력 관련 전시회 2회, 설명회 13회, 홍보물 배포1회, 홍보물 발간‧배포 2회 등 총 17회의 아웃리치 이행을 통해 수출통제 제도에 대한 국내 원자력 산‧학‧연의 인식 및 이해도를 제고하였다. ❍ NSG 비대면 브리핑 회의에 참석하여 주요 NSG 현안 및 차기 회의에서 결정되어야 하는 사안을 보고받았으며, 아국의 관심 현안에 대응하였다. ❍ APR1400 MMIS 세미나, 일본 수출규제 세미나 등 원자력 및 무역정책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여 원전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대외적 현안에 따른 수출통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양승효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수출입통제;핵공급그룹;전문판정;수출허가;원자력수출입통제시스템; 2. Export Control;NSG;Classification;Export License;NE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