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88/1,246

검색
  • 11588

    2020.12.31

    ○ Hypoxic condition에서 endothelial cell이 tumor cell의 HIF-1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규명 및 기전 연구 ▪ 저산소 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증가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 지표 관찰 ▪ 저산소 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종양세포의 악성화에 기여하는 인자 및 기전 발굴 연구 ▪ 저산소 환경에서 발굴된 종양세포 악성화 관련 인자의 표적화에 따른 방사선 치료 저항성 극복 연구 ○ 방사선 조사된 대식세포에 의한 종양세포의 성상변화 연구 ▪ 방사선 조사에 의한 대식세포의 생리활성물질 생성 변화를 유발하는 표적 유전자발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성대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대식세포;혈소판;저산소;기질세포;혈관내피세포; 2. macrophage;platelets;hypoxia;stromal cell;endothelial cell;
  • 11587

    2020.12.31

    1) 히스톤 변형체인 mH2A2에 의한 유방암 악성화 제어 기전 연구 - mH2A2의 발현 패턴과 유방암 악성화간의 상관관계 조사 - mH2A2의 조절이 유방암줄기세포에 미치는 효과 조사 - mH2A2에 의한 유방암 악성화에 관여하는 하위 표적 유전자 발굴 2) 후성유전학 조절 인자인 G9a에 의한 유방암 전이 변화 연구 - 유방암에서 G9a 발현 저하에 의한 BMP5 단백질의 발현 증가 관찰 - 유방암에서의 BMP5의 증가로 인한 이동성/침윤성 감소함을 관찰 - BMP5 증가로 인한 MCF-7 세포주의 방사선 저항성 감소 관찰 3) BRD4와 콜레스테롤 조절 인자의 종양 악성화 제어 기전 연구 및 방사선 치료 효율 증진 연구 - 간암세포주에서 BRD4에 의한 콜레스테롤 조절인자인 HMGCS1 및 HMGCR 발현비교 - 간암세포주에서 BRD4 조절에 의해 지방산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확인 - BRD4 발현 조절에 의한 지방방울(Lipid Droplet)형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4) Rg3의 FM3A 마우스 유방암 세포주에서 방사선 민감성 유도 효능 평가 - 유방암 세포주에서 Rg3가 방사선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방암 세포주에서 Rg3의 방사선에 의한 세포사멸 영향 연구 - 유방암 세포주에서 Rg3의 세포 침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유진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종양줄기세포;후성유전학;암대사;면역세포; 2. cancer stem cell;epigenetics;cancer metabolism;immunotherapy;
  • 11586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분류체계와 명명체계가 혼란스러운 산형과 식물 중 약용가치가 우수한 약용작물에 대한 유전체/대사체 정보기반 명확한 분류체계 정립 및 대규모 종판별 기술을 확립하고 우리나라 고유자원식물인 식방풍의 작물로서의 개발을 위해 우수 계통을 육성하고 유전체/대사체 기반 분자육종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1차년도에 생산한 산형과 20종에 신규 NGS 분석 데이터에서 나머지 15종에 대해 엽록체 유전체를 완성하였다. 기등록된 산형과 엽록체 유전체를 포함하여 유연관계도를 구축하였고, 종특이 변이지역을 다수 발굴하였다. 식방풍 수집자원들의 형질 조사를 통해 우수 계통(2년생 85계통, 1년생 84계통)을 선발, 재배 및 평가하였으며, 식방풍 인공자가수분 방법을 확립하였다. 엽록체 기반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원내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며 10개 계통의 잎과 뿌리의 항염활성, 세포독성, 자외선 차단효과 정도의 다양성을 Bio assay 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대사물질 관련 후보유전자들의 발굴과 식방풍 핵내에 존재하는 유전자 추정 부위에서 다양성을 확인 할 수 있는 SNP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산형과 식물들의 NGS 및 대사체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산형과 종 분류 체계를 확립하고, SNP Chip을 이용한 대규모 종판별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기술 이전한다. 이는 한약재 및 건강기능식품, 나아가 천연물 의약품 원소재의 품질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한약재 유통 체계 확립 기반 구축 및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다양한 식방풍 유전자원들에 대한 주요 질적/양적 형질 평가결과 및 유전적/대사체 다양성 분석은 향후 식방풍 우수 품종을 육성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양태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산형과;대사체;식방풍; 2. Apiaceae;NGS;Metabolite;SNP chip;Peucedanum japonicum;
  • 11585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용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파이로;사용후핵연료;전처리공정;핵심요소기술;원자력; 2. Pyroprocessing;Spent fuel;Head-end process;Core elemental technology;Nuclear energy;
  • 11584

    2020.12.31

    본 세부과제의 최종목표인 개량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개념 개발, 프로세스 기반의 종합성능평가체계 개발, 불확도평가 방법론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 파이로공정 최신 물질수지를 바탕으로 전공정 폐기물 특성을 분석하여 폐기물별 국내 적용 가능한 처분방안과 개념을 도출하고 고방열 장반감기 폐기물에 대한 대안 처분개념을 설정하였다. • 국내 발생 모든 사용후핵연료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처분을 위한 기준 사용후핵연료를 설정하여 기존 처분개념 대비 처분면적과 재료 절감 측면에서 효율이 향상된 개량 처분시스템을 개발하고 성능/안전성 평가를 완료하였다. • 처분용기당 붕괴열 조합 알고리즘과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내 가압경수로 사용후핵연료를 대상으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 국내 고시에 규정된 회수요건에 근거하여 처분장 운영 중에 가능한 회수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회수기술적용 방안 및 회수된 처분용기/벤토나이트/뒤채움재에 대하여 지하/지상 시설에서의 관리 방안을 설정하였다. • 처분환경 진화를 고려하여 처분용기 부식, 핵종 누출, 공학적방벽 열-수리-역학 거동, 천연방벽 수리지질 특성, 지화학적 반응을 고려한 핵종이동 특성 등에 대한 단위 해석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연계하여 프로세스 기반의 종합성능평가체계(APro-α버전)를 개발하였다. • 베이지안 갱신을 불확도 정량화 방법론으로 선정하고, 안전성평가 불확도 정량화 프로그램인 GSTSPA-BU를 개발하여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 불확도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406p)
    • 연구책임자 : 조동건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개량형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붕괴열 조합;운영 중 회수;프로세스 기반 종합성능평가체계;불확도 정량화; 2. Improved disposal system for spent nuclear fuels;Combination of decay heat;Retrievability during operation;Process-based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framework;Uncertainty quantification;
  • 11583

    2021.01.31

    ○ 맥류(보리, 밀)에 대한 일조부족(차광) 정도에 따른 수량 감소 기준 설정 ○ 일조부족에 의한 맥류의 수량감소 원인 구명과 생육특성 구명 ○ 일조부족에 의한 맥류의 생리적 특성 변화 구명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배희수
    • 주관연구기관 : 국립식량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일조 부족;차광;보리;밀;생산성; 2. Shading;Low radiation;Barley;Wheat;Yield;
  • 11582

    2021.01.31

    3D 프린팅 기술을 원전 부품제작에 아용하기 위해서는 제조한 소재의 건전성 및 원전환경 적용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원자력 부품소재 가운데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및 코발트 합금을 3D 프린팅 장치로 제작하고, 그 소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원자로 제어봉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카드의 주요 소재인 스테인리스강 304L 및 제어봉구동장치 부품소재인 코발트합금을 대상으로 생산한 물성자료 가운데 중요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두 가지 3D 금속 프린팅 (PBF, DED) 방식으로 제작한 스테인리스강 304L 특성을 비교·평가하여, DED 방식으로 제작한 소재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인장 및 내마모)과 조사 저항성(내방사선)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공극의 최소화를 위하여 프린팅 공정 조건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후처리 가공기술도 평가하였다. PBF 방식의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축소된 노심부품 (가이드카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 대상소재(스테인리스강 304L 및 Haynes 25)는 제어봉구동장치와 관련된 소재로 마모 특성이 중요하다. 부품 적합성 평가에 활용할 목적으로 ASTM 기술기준에 따른 Pin-on-disk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3D 프린팅 제작 소재의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의 원전 적용을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시험으로 소재의 손상거동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ANSTO 기관과 공동으로 헬륨 이온조사 시험을 수행하여 조사특성 평가자료를 생산하였다. 특히 이온조사 시편의 얇은 손상층에서 미소시험편을 정밀 가공하여 기계적특성을 평가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89p)
    • 연구책임자 : 권준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3D 프린팅;후처리;내마모;내방사선;조사시험;제어봉구동장치;가이드카드; 2. 3D printing;post-processing;wear-resistance;radiation-resistance;irradiation test;control-rod drive mechanism;guide card;
  • 11581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진주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고온 안정 외가닥 DNA 결합 단백질;단백질 공학;핵자기공명분광학;단백질-DNA 상호작용;단백질 구조 계산; 2. Thermostable single-stranded DNA binding protein;protein engineering;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protein-DNA interaction;Protein structure calculation;
  • 11580

    2020.12.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 연구, 4. 방사선 반응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대표 연구 성과로는 1. DNA 손상반응 유전자 AGO2의 cis-element (CCACACC) 최초 규명 및 AGO2 유전자 cis-element에 결합하는 전사인자 ANAC78 규명, 2. 식물 DNA 손상반응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및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동위원소 이용 신규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 규명, 4.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바이오 소재 개발(국내 특허등록, 10-1797717)이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3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
  • 11579

    2020.12.31

    ○ 본 연구는 연구원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할 혁신 R&D 도출 및 전략 제시를 위해 국가 원자력 R&D 정책의 수립을 지원하고, 연구원 新 연구개발 방향 제시 및 내부역량 강화를 위한 체제를 마련하였으며, 사회적 수용성 기반 원자력 R&D 환경 조성 연구를 수행하였음 ○ 국가 원자력 R&D 정책 수립 지원에 있어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수립의 기본방향을 수립 ㆍ 보고하고 정부의 원자력 R&D 부문별 실행전략 수립을 지원하였음 ○ 이와 함께 정부 정책 변화 등 대외 환경변화를 적기 반영한 연구원의 신 연구개발 방향을 수립하였으며 연구원의 성과제고를 위한 기술메모(Technical Memo)를 기획 ㆍ 도입하여 과책 주도의 성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 또한, 사회적 수용성 기반의 원자력 R&D 환경을 조성하고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종합관리 전략 및 사용후 핵연료 발생지 반환 기반 구축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원자력 현안에 대한 전문적인 보고서(원자력 정책 브리프 리포트)를 작성 ㆍ 배포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1p)
    • 연구책임자 : 이종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 R&D 정책;혁신 R&D;연구개발 전략;성과 제고;기술메모;사회적 수용성;원자력정책 브리프리포트; 2. Nuclear R&D Policy;Innovation R&D;R&D Strategy;Strengthen performance;Technical Memo;Public acceptance;Nuclear policy Brief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