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81/1,246

검색
  • 11658

    2020.12.31

    □ xZr-U(x=40~65wt%) 열전도도 측정 및 DB 구축 □ Zr-U 상평형도 내 δ-UZr₂ 상 형성 온도 및 Zr성분 범위 검증 □ 합금핵연료/피복관 확산쌍 반응층 특성 규명 □ xZr-U(x=40~65wt%) 부식저항성 평가 □ ZIRLO·HANA-6 조사저항성 비교·평가 □ xZr-U(x=40~65wt%) 미세구조 및 결정구조 분석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안상준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 추진 선박;고밀도 핵연료;상평형도;조사 물성;HANA 피복관; 2. Nuclear power propulsion;High density fuel;Phase diagram;Irradiation behavior;HANA cladding;
  • 11657

    2021.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허진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파이로;사용후핵연료;타당성;핵심격차기술;원자력; 2. Pyroprocessing;Spent Fuel;Feasibility;Critical Gap Technology;Nuclear Energy;
  • 11656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소동물에서 새로운 심근관류제제에 대한 정량적 심근혈류 측정 프로그램 개발 ○ 전체 내용 본 연구과제에서는 Phantom 실험을 통해 PET 영상 품질/정확도 평가 지표를 측정하고 소동물 심근 PET 영상에 적용, 양질의 영상을 얻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심근혈류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심근영상제제(새로운 영상제제 포함)에 대한 정량적 심근혈류 측정을 목표로 함. □ 연구개발성과 국내 심장핵의학 영상을 통한 혈류측정 분석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심근혈류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등록함 1. 심근혈류계산 소프트웨어(2019년,C-2019-019916) 2. 심장영상분석용, 심근관류와 심근혈류 측정 프로그램(2021년, C-2021-011407) 본 연구과제는 정량적 심근혈류 측정 프로그램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으며 팬텀 실험을 통하여 크기에 따른 recovery coefficient를 측정하였으며 recovery coefficient를 적용하여 심근영상에서 정량적 심근관류와 심근혈류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목표를 100% 달성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최적화된 심근 PET 영상 재구성 프로토콜 확립을 통하여 심근영상을 정량적으로 제공하고 정량화된 심근 혈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영상기반의 심근 혈류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소프트웨어 유지비용 절감이나 프로그램 개발으로 인한 가치 등,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임 ● 개발된 심근 혈류 측정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을 심근이 아닌 종양 혈류나 뇌혈류, 또는 대사 등 기타 생리학적인 지표의 측정에 적용함으로써 PET 영상을 이용한 여러 연구 분야에 자유롭게 접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 또한 심근 혈류 측정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을 통해 국내 기술적 수준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됨 ●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심장핵의학영상 가이드라인에 있어 영상 재구성 방법의 구체화된 지침을 제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현식
    • 주관연구기관 : 한국광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핵의학심장영상;심근관류;심근혈류;심장영상분석;소동물; 2. Nuclear cardiac image;cardiac perfusion;myocardial blood flow;cardiac image analysis;small animal;
  • 11655

    2020.12.31

    □ 1단계 연구결과: 본 연구진은 1단계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음. • 정상 및 저산소환경에서 환자 유래 (대장암, 두경부암) 암혈관내피세포의 방사선 민감도가 정상혈관내피세포와 비교하여 높음을 관찰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발굴함. • 환자 유래 정상 및 암혈관내피세포의 세포 표지 인자 발현에 차이가 있음을 관찰함. • 정상 및 저산소환경에서 정상 및 암혈관내피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암세포의 방사선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ECM과 cytokines의 발현양에 차이가 있음을 관찰함. □ 2단계 연구결과: 2단계 연구에서는 1단계 연구결과의 심화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함. • 정상 및 저산소환경에서 암혈관내피세포의 방사선 민감도 조절에 관련된 신호전달기전 규명과 암혈관내피세포와 cancer niche 세포간의 상호반응에 기인한 암세포의 방사선 치료 저항성 조절에 관련된 신호전달기전을 규명함. • 암혈관내피세포 특이적 세포 표지 인자, ECM과 cytokine의 기능 규명과 방사선 치료 효능 극대화를 위한 나노전달체 및 생체모사 배양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오은택
    • 주관연구기관 : 인하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방사선 민감도;암혈관내피세포;상호반응;분할방사선; 2. Radiotherapy;Radiosensitivity;Cancer endothelial cell;Cross talk;Radiation therapy fractionation;
  • 11654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온실은 내부 환경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온기엔 차광, 저온기엔 단열 성능이 요구되므로 작물재배 환경에 적합한 기능성 필름의 요구 기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분야 기능성 필름의 온실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능성 필름 종류별 광투과 특성 및 열차단 성능을 비교ㆍ분석하고, 성능이 뛰어난 제품을 유리온실에 적용하여 작물 재배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 기능성필름의 단열성능을 고려한 온실의 냉난방부하를 예측하고, 연간 에너지 소비량 비교를 통해 최적 온실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온실 열환경 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사용된 기능성필름 부착 온실은 일반 유리온실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은 일평균 약 78%, 일사투과율은 약 74%였으며, 적축면 상추의 초기 수확량은 18%, 전체 수확량은 6.9% 증가하였다. 반면 적축면 상추의 적색 발현비율은 HSV 컬러코드 분석결과 1.01%로 일반 유리온실의 7.47%보다 낮았다. 백침계 오이는 초장 81%, 엽장 67.7%, 엽폭 64.1%로 일반 유리온실보다 생육이 낮았고, 초기 수확량 및 전체 수확량도 각각 34.7%, 6.5% 감소하였으며 수확시 기도 지연되었다. 에너지소비량은 기능성필름을 부착한 온실이 일반 유리온실보다 약 4.7% 낮게 나타나 난방에너지 절감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능성필름을 부착한 유리온실의 경우, 광투과율이 80% 이하로 낮아 엽채류 및 호음성 관엽식물 등의 재배 시 주간의 일사부하 저감으로 고온화를 지연하는 효과가 있으나 과채류 및 화훼류의 색발현과 겨울철 저일조 조건에서 작물의 생육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보광 등의 추가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동온실의 열손실 분석 결과 1건을 비SCI논문 게재하였고, 온실의 열손실 측정장치와 측정방법을 특허출원하였으며, 온실 열환경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산프로그램등록 1건과 영농기술정보 1건을 제출하였다. 기타 영농기술정보 1건, 현장기술지원 4건, 국내 학술발표 4건의 성과를 본 과제 수행을 통해 달성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광투과성능이 우수한 온실용 기능성필름 개발, 보급을 통해 고품질 작물생산으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온실의 냉,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과 작업환경 개선 등의 효과가 우수한 국산 농업용 기능성필름 관련 전후방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윤남규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온실;에너지절감;광투과율;기능성필름;단열; 2. greenhouse;energy saving;light transmittance;functional film;insulation;
  • 11653

    2020.12.31

    우리나라 INIS국가센터는 IAEA/INIS 사무국과의 상호협력 및 접촉창구로서 INIS 데이터베이스의 운영과 관련한 정책적, 기술적 협조를 하며, 국내 이용자에 대한 기술적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NIS 데이터베이스는 회원국이 제공하는 INIS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축ㆍ활용하므로, 국내에서 간행되는 원자력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INIS 입력 기술규칙에 따라 입력 및 송부하였다. INIS 입력 결과물인 INIS Collection Search, INIS ATOMINDEX를 이용한 INIS SDI 서비스, 원문헌제공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INIS DB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다. INIS 입력량은 2018년 4,282건, 2019년 4,296건, 2020년 995건이다. 이용자에게 INIS DB에 대한 홍보와 SDI 서비스 이용자 확대를 통하여 국제원자력정보의 확산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전자정보인프라 사업으로 연구논문, 연구보고서에 대한 원문DB를 구축하였다. Web DB 및 전자저널 등 디지털콘텐츠 정보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79p)
    • 연구책임자 : 이희원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원자력정보시스템;데이터베이스 구축;정보인프라;맞춤형서비스;전자도서관;지식경영;연구노트;원자력정보 콘텐츠; 2. INIS;Database Construction;Information Infrastructure;SDI;Digital Library;Nuclear Information Contents;
  • 11652

    2021.01.31

    GIF 국제공동연구 참여계획 및 전략 마련, GIF회원국으로서의 의무사항 이행, GIF 국제공동연구의 효율적 참여 지원 및 성과확산 등을 통하여 GIF 국제공동연구의 체계적 지원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안명숙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GIF 국제공동연구;협력활성화; 2. Generation IV Nuclear System;GIF Joint Researches;Cooperation promotion;
  • 11651

    2020.12.31

    • 충돌, 지진, 유체, 압력, 화재 등 원전 격납건물의 내·외부에서 작용하는 복합하중을 견딜 수 있는 원전 격납건물의 내력평가 및 설계방법에 대한 강구 • 강풍, 쓰나미 등 자연재해, 항공기 충돌 등 인위적 재해로 인한 중량 비상체, 비산물의 충돌에 대한 원전 격납건물의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자연/인위적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 충돌 사고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포스트텐션 원전 격납건물의 충돌저항/파괴 거동에 대한 실험적/해석적 연구 데이터 확보 • 기존 철근콘크리트(RC) 부재에 대한 충돌저항 성능평가/설계 기법을 넘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격납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성능평가/설계 방법 개발 • 지진, 유체, 압력, 화재 등 격납건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복합하중에 대한 해석기법 연구, 전산유체역학(CFD), 유한요소해석(FEA)을 이용한 복합하중에 대한 격납건물 및 부재 거동 연구 • 포스트텐션 구조의 역학적 특성을 반영한 격납건물 해석 및 극한/복합하중에 대한 설계 절차 및 최적 설계방향에 대한 연구 • 복합하중을 받는 원전 격납건물의 실험적/해석적 연구 데이터 축적을 통한 격납건물 설계 및 안전성 평가방법 제안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현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전 격납건물;포스트텐션;콘크리트;복합하중;충돌; 2. Nuclear Containment;Post-Tension;Concrete;Complex Loads;Collision;
  • 11650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허진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파이로;사용후핵연료;타당성;핵심요소기술;원자력; 2. Pyroprocessing;Spent fuel;Feasibility;Core elemental technology;Nuclear energy;
  • 11649

    2020.12.31

    - 100 MWth 급 가속기 구동 토륨 미임계 원자로 개념 설계 - 최소의 빔출력으로 구동 가능한 현실적인 100MWth 급 토륨 미임계로를 개념 설계 - 토륨 기반 소형 모듈형 임계로 개념 설계 - 핵연료주기 분석 - 토륨 및 가속기를 이용하여 사용후핵연료의 장반감기 초우라늄을 핵변환 소멸처리 가능함을 보임 - 사용후핵연료의 장반감기 초우라늄의 핵변환 소멸처리 가능성 제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홍승우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토륨;가속기 구동 미임계로;토륨-소형모듈형 원자로;핵주기 분석;토륨 미임계 원자로; 2. Thorium;Accelerator-Driven system subcritical reactor;Th-SMR;Fuel Cycle Analysis;Thorium-Fueled Subcritical Re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