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82/1,246

검색
  • 11643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전자파의 생체시계교란 및 퇴행성 뇌질환 발병 연관성 기전 연구 ○ 전체 내용 1차년도 - 생체시계교란에 대한 전자파 역할 탐구 ▶ 송과체와 SCN의 분석을 통해 전자파가 생체시계를 조절하는데 중 추적 역할을 하는 표적 발굴 2차년도 - 생체시계신호전달 체계에 대한 전자파 작용 기전 탐구 ▶ 전자파에 의한 생체시계 교란이 SCN과 송과체의 신호전달 체계에 미치는 영향 확인 3차년도 - 전자파에 의한 생체시계교란과 퇴행성 뇌질환 발병 기전 연구 ▶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과 전자파 생체시계교란 양상 비교 분석 및 장기 전자파 노출이 생체시계교란에 미치는 영향 평가 ○ 1단계 ● 목표 전자파의 생체시계교란 및 퇴행성 뇌질환 발병 연관성 기전 연구 ● 내용 전자파와 퇴행성 뇌질환 발병과의 인과 관계 평가 □ 연구개발성과 본 연구는 일주기 시계와 퇴행성 뇌 질환에 대한 무선 주파수 방사선 (RFR)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 됨. 본 연구를 통해 RFR이 건강한 동물에서 SCN의 신경 전달 물질 및 생체 시계 유전자를 조절 가능성을 관찰함. 또한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 인 5xFAD 마우스에서 뇌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조절 인자인 장내 미생물 군과 대사체의 조성이 RFR에 의해 변화됨을 관찰함.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RFR이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치료 표적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함. 연구 3 년 동안 RFR 연구와 관련된 세 개의 SCI 논문이 제 1 저자로 출간 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전자파 노출이 일반 동물에서 생체시계의 교란을 가져 올 가능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전자파의 유해성으로 평가 될 수 있음. 하지만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동물의 장내 미생물 군집 변화 및 대사체 변화를 유발하여 뇌질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본 연구 결과는 전자파와 장내 미생물 생체시계 연구 및 대사체 연구에 활용 될 수 있고 전자파 노출 조절을 통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방법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혜선
    •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자파;미생물;생체시계;퇴행성뇌질환;시상교차상핵; 2. Radiofrequenc electromagnetic radiation (RFR);microbacteria;Circadian clock;Neurodegerative disease;Suprachiasmatic nucleus(SCN);
  • 11642

    2021.11.30

    □ 연구내용 ○ (실용화기술 개발) 지역산업 연계 원전해체 핵심기반 기술 실용화 - 핵심기반기술 중 지역산업과 연계된 제염, 절단, 폐기물 처리의 실용화 기술 개발 -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역내 산업체 참여를 통한 기술이전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향후 해체시장해체산업 기술 고도화 지원의 허브 역할 ○ (기업 기술지원) 원전해체 중소기업 기술고도화 지원 및 육성 - 원전해체 기술분야별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지원 및 육성 - 원전해체 핵심기술 및 실용화 기술 검증을 위한 실증 시설, 장비 등을 활용한 시험·분석 지원 □ 연구개발 성과 ○ 정성적 성과 -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원전해체 관련 기술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한 부품 국산화와 국외 수출을 통한 동남지역 부품소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정량적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환경오염물질 저감 및 제거 기술 - 에너지 생산 및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폐수 중에 포함된 환경오염물질을 제거, 저감 및 폐기하는 기술 ○ 극한로봇 솔루션기술 - 사람이 작업하기 어려운 제조환경이나 조작하기 어려운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한 기술 ○ 안전보호 제품화 및 소비재 안전보장기술 - 미래산업현장의 위험요소로부터 인력을 보호하는 제품을 제조하고, 유통 및 사용환경에서 소비재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기술 □ 성과활용 계획 ○ 산업적 성과 - 전문가 신속연계 지원을 통한 현장애로기술 해결 - 공동장비의 활용으로 수익성 제고 및 실용화 기술과제의 발굴, 민간수탁과제 활성화 - 고부가가치 창출형 글로벌 기업으로의 체질 개선 ○ 기술적 성과 -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원전해체 관련 기술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한 부품 국산화와 국외 수출을 통한 동남지역 부품소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원전해체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기여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남대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원전해체;원전산업;제염;절단;폐기물 처리; 2. Nuclear Decommissioning;Nuclear Industry;Decontamination;Cutting;Waste Treatment;
  • 11641

    2020.12.31

    유전체 내 L1 발현의 증가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발달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뇌 질환에서 L1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됨. 하지만, 인간 신경세포의 정상 분화 및 발달 과정에서 L1의 발현 변화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음. 본 연구과제에서는 신경세포의 발달에 따른 전기생리학적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신경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L1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함. 나아가 L1 발현량 조절에 따라 신경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도록 인간 신경세포 분화 및 발달 과정에서 L1의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함. (출처 : 초록 3p)
    • 연구책임자 : 한진주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L1;이동성유전인자;유전자 발현 조절;신경줄기세포;신경세포;신경세포발달;전기생리;다채널 미세 전극 어레이; 2. L1;transposon;regulating gene expression;neural stem cell;neuron;neuronal development;electrophysiology;multi-electrode array (MEA);
  • 11640

    2021.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제1세부과제 > ○ 울릉군 산채류 선도유지 기술 도입을 통한 유통 시스템 개선 및 체계 확립하고자 산채류 예냉 및 MA포장 등 수확 후 관리 기술 투입 실증하여, 저온수송 등 유통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직파를 통한 수량 증대 및 생력화, 노동력 절감. ○ 소형양배추 고온기 안정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개발. < 제3세부과제 > ○ 수박재배에 필요한 노동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박 2줄기 부분방임 재배를 현장실증하고자 한다. < 제4세부과제 > ○ 화훼 3차 우량 계통을 농업 현장에서 재배하여 꽃의 특성 및 재배 특성을 평가하고 수요자의 요구를 품종 선발 및 보급에 반영하고자 한다. < 제5세부과제 > ○ 미세조류를 이용한 복숭아 과실품질 향상을 위한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 < 제6세부과제 > ○ 최근 수출증가가 뚜렷한 포도 ‘샤인머스켓’ 품질고도화 수출상품과 포도의 소비 다양성 충족을 위한 포도 ‘홍주 씨들리스’ 신품종의 시범수출 실증 ○ 중국 문화권 사과 소비자들의 기호 충족(산함량이 적고 당함량이 많으며 독특한 향이 있는)을 위한 사과 ‘감홍’의 해외 시범수출 실증 < 제7세부과제 > ○ 원예 산업 발전 및 신기술 보급 확대를 위해 2019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인삼 터널식 해가림 재배 시 문제점으로 나타난 여름철 온도 경감 차광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을 수행하였다. < 제8세부과제 > ○ 본 연구는 신품종 시장성평가와 마케팅지원을 통해 신품종 시장 조기정착과 재배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 (품종개발단계)개발중인 계통 또는 농가실증단계에 있는 신품종을 유통종사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여 연구개발자에게 피드백한다. - (시장진입단계)상품성을 인정받아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품종을 유통 및 재배 애로사항 컨설팅, 출하약정 등을 지원한다. ○ 원예작물 재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한 농가 경제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개발성과 < 제1세부과제 > ○ 산채류 수확 후 선도 유지 기술 실증을 통하여 예냉, MA포장기술 도입을 통한 상품화율이 증가하였으며, 산채류 저온 수송 유통체계를 확립하였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수량 증대 10% 및 육묘대비 생력화 80%, 육묘 노동력 절감 80% ○ 소형양배추 고온기 준고랭지 지역 파종, 정식시기 구명하였다 < 제3세부과제 > ○ 수박 2줄기 부분 방임재배에서 착과지는 착과 절위 아래 모든 곁순을 제거한 뒤 착과 이후 방임하고, 방임지는 초기 1~2개의 곁순을 제거한 후 방임한다. 이러한 재배법으로 곁순 제거 및 유인작업 시간이 평균 60% 단축되었고, 수박의 품질도 관행재배 대조구와 동일했다. < 제4세부과제 > ○ 절화 장미 ‘15R1-17’, ‘18R19-27’, 비모란 선인장 ‘원교 G1-324’, ‘원교 G1-325’, ‘원교 G1-326’, 거베라 ‘11B3-274’, ’15B3-244’, 팔레놉시스 ‘GW112’ 등 8계통, 심비디움 ‘원교 F1-76’, ‘원교 F1-77’을 농가에서 현장 실증하였다. 장미, 비모란선인장, 거베라, 심비디움은 화형, 화색, 초장 등 품질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품종 출원이 예상된다. < 제5세부과제 > ○ 미세조류(클로렐라) 엽면살포의 복숭아 당함량 및 생리활성물질 증진 효과 실증 < 제6세부과제 > ○ 품질을 고도화시킨 포도 ‘샤인머스켓’ 규격과를 시범수출하여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우리 신품종 포도 ‘홍주씨들리스’도 해외시장 진입이 가능함을 실증하였다. ○ 우리 품종 사과 ‘감홍’ 해외시장 진입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나 원물가격 차이가 걸림돌 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제7세부과제 > ○ 인삼 터널식 해가림 시설에 고온기에 검정색 2중직 차광망 설치시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시설 내 온도와 인삼 잎의 온도 경감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광량 측정 결과 외부 차광재료가 녹색차광지 및 청백필름 모두에서 낮은 투광량을 유지하여 고온기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차광재료로 나타났다. < 제8세부과제 > ○ 유통종사자 대상 신품종 시장성평가는 배, 복숭아, 딸기 등 9품목 15품종에 대하여 실시하여 신품종의 보급확대에 기여하고 농업 R&D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 또한, 상품성을 인정받아 농가에 도입된 신품종 배, 마늘, 플럼코트 등 8품목 12품종에 대하여 컨설팅 및 대형마트 판촉행사 등 마케팅 지원을 실시하였다. ○ 신품종 플럼코트(하모니·티파니·심포니), 마늘(홍산) 도입농가의 경제성 진단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제1세부과제 > ○ 부지갱이를 시작으로 울릉군 특산 산채류 신선유통에 확대 적용하여 산채농가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울릉군의 산채가 신선하게 유통 기술정착은 물론 실증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관련 영농활용, 매뉴얼 작성, 교육 등에도 할용하고자 한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직파를 통한 수량 증대, 생력화 및 노동력 절감 ○ 소형양배추 고온기 안정생산 개발로 수출작목으로 자리 매김 및 지역 생산자단체, 농가소득에 기여. 고온기 준고랭지 지역 안정 생산 기술 개발 ○ 소형양배추 작기 개발로 농가의 소득 및 연중 안정생산에 기여 ○ 소형양배추 품종 개발과 활용을 위한 기반 조성 ○ 소형양배추 시장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따른 국내 재배면적 확대 및 해외시장 개척 가능 < 제3세부과제 > ○ 현장실증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영농활용 및 홍보, 신기술 보급 사업 제안 등으로 농가에 보급하여 수박 재배 노동력 절감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제4세부과제 > ○ 화훼 3차 우량계통의 현장 실증을 통해 재배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여 품종을 출원하여, 화훼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에 기여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제5세부과제 > ○ 복숭아 품질향상 친환경 기술로 신기술보급사업 제안하며 미세조류 (클로렐라)의 과실품질 향상 효과를 타과종에서도 검토 < 제6세부과제 > ○ 시범수출을 통해 획득한 정보의 농업현장 전파 및 관련 시범사업 보급지침 방향설정에 활용 ○ 수출 대상국의 현지 맞춤형 수출상품 개발로 국산 과실의 수출경쟁력 향상 < 제7세부과제 > ○ 2021년 현장 보급 예정인 인삼 터널식 해가림 재배기술의 조기정착을 위해 현장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신기술 시범사업 기술서에 반영하였으며 원예특작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산한다. < 제8세부과제 > ○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물과 그 활용계획은 첫째, 신품종 농산물에 대한 시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대응과제를 도출하여 R&D 방향설정에 활용하고, 둘째, 신품종 도입농가 생산 효율성 증대 및 판로확보를 등을 통한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며, 셋째, 신품종 생산량 확보 및 시장조기정착으로 국내산 농산물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노정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채소;과수;화훼;특작;농업경영; 2. vegetable;fruit;flower;herbal;market testing;
  • 11639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원자력,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금속용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을 위한 레이저 가공시스템 구축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을 이용한 금속 표면의 특성변화 연구 ○ 금속의 친수성(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강화 방법 연구 ○ 금속(지르코늄)의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 CHF) 개선 방법 연구 ○ 접촉각 90° 이상 ○ 임계열유속 10% 개선 ※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연구개발 성과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을 위한 피닝 및 패터닝 가공 시스템 구축 ■ 레이저 광원 ~ 가공 헤드 까지의 빔 전송 광학계 설계 및 개발 ■ 빔 성형 및 전송을 위한 레이저 가공 헤드 설계 및 개발 ■ 레이저 가공 스캐닝 및 제어 시스템 개발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기술을 이용한 금속(지르코늄) 표면의 친수성 (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강화 방법 ■ 금속(지르코늄)의레이저피닝 가공 및 표면 특성 ■ 금속(지르코늄)의 레이저패터닝 가공 및 표면 특성 ○ 금속(지르코늄)의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CHF) 개선 방법 ■ 금속(지르코늄)의 표면 특성 및 CHF 개선을 위한 가공변수 확립 (2)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학술/과학기술성과 ■ 전문학술지 논문게재(SCI 2건) - Applied optics, 58(9), 2429-2437 - Applied Sciences, 9(12), 2396 ■ 지식재산권 -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20-0011913, 2020년) ■ 학술대회 논문발표실적(6건) -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18 (2018) 2건 - 대한용접접합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2021) 2건 ○ 인력양성 ■ 학위 배출인력(박사 4명, 석사 1명) ○ 국제협력 ■ 국내외 과학자 교류(해외파견 1명) (HiLASE, 체코)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과제의 연구개발성과를 원자력,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금속용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유태준
    • 주관연구기관 : 한동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레이저 표면개질;친수성;소수성;임계열유속; 2. laser surface modification;Hydrophilicity;Hydrophobicity;Critical Heat Flux;
  • 11638

    2021.05.31

    □ 연구개요 • 표적항암 치료는 화학적 치료요법에 주요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수술이 불가능한 조기 폐암 환자의 치료에 주요한 방법인 방사선 치료에는 맞춤형 치료 방법이 적용된 사례가 없음. • 이를 위하여 조기 폐암으로 진단된 (2기 폐암 환자) 234명 중 수술이 불가능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99명의 환자를 치료 반응성을 보인 환자와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하였음. 또한 99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폐암 조직을 이용하여 Targeted NGS를 수행하여 KEAP1/NFE2L2 유전자 돌연변이가 방사선 저항성에 주요한 인자 일 수 있다는 배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과제를 수행하였음. • KEAP1/NFE2L2 기작과 방사선 저항성 여부의 직접적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세포 생물학, RNA-Seq 및 생물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동원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궁극적으로 KEAP1/NFE2L2의 항산화 기작이 저항성의 주요한 인자이며 또한 해당 저항성의 극복 방안을 모색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본 연구는 1차적으로 KEAP1/NFE2L2의 기작이 방사선 저항성에 직접적인 인자인지를 밝히고 이에 더하여 해당 기작에 근간한 방사선 저항성을 극복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증명 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제시하고 연구하였음. • 상기 내용을 증명하고자 세포생물학 방법을 이용하여 KEAP1 및 NFE2L2 유전자를 CRISPR Knock-out 시킨 폐암 세포주에 환자유래 KEAP1 혹은 NFE2L2 유전자 돌연변이를 Reconstitution 시켰음. 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 analysis, qRT-PCR 및 RNA-Seq을 이용하여 NFE2L2 downstream target 유전자들을 조사하였고, Ionizing radiation 혹은 과산화수소를 treat한 세포주를 Cell survival assay 및 clonogenic assay등을 이용하여 KEAP1 돌연변이의 activity를 측정하였음. 또한 다양한 생화학 방법을 동원하였음. 상기의 연구 방법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와 해당 환자를 방사선 치료 후 예후별로 분류하고, 인과관계를 조사하였음. 그 결과 KEAP1-NFE2L2 기전이 방사선 저항성의 주요한 인자임을 밝힘. • KEAP1/NFE2L2 의존적 방사선 저항성 암 세포 극복방안을 연구하고자 기존에 연구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화학 항암제를 실험하였고, 그 결과 Glutamine metabolism 저해제인 CB839 이 KEAP1유전자 근간 방사선 저항성 극복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 개발 성과: 제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진은 세계최초로 표적화된 항암 치료 개념을 확립하였음. 즉, 화학적 요법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표적 항암치료개념이 방사선 치료에도 적용 될 수 있다는 생물학적 / 의학적 / 임상학적 근간을 최초로 제시함. • 기대효과 및 활용 계획: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연구결과를 통하여 방사선 치료환자의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선행하여 효과를 치료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개념을 폐암이 아닌 다른 종류 암종으로 확대 적용하여 다른 암종의 방사선 치료저항성 근간 돌연변이를 발굴 하는 연구에 대한 기반을 제시하였음. 뿐만 아니라 KEAP1/NFE2L2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에 방사선 치료를 실행하고자 할 때, CB-839과 같은 화학요법을 병행하여 효과를 증 시킬 수 있다는 임상학적 활용이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전영준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폐암 맞춤형 치료;방사선 저항성;항산화 기작;암 생물학;생물정보학; 2. Lung cancer precision medicine;Radiation resistance;Anti-oxidant pathway;Cancer Biology;Bioinformatics;
  • 11637

    2021.10.31

    Ⅳ. 연구개발결과 - 방사광가속기 기반 소재 분석 고도화) 금속, 세라믹. 기능성 나노 박막 소재 등 다양한 재료에 대한 미세 구조 평가 및 비파괴 내부 구조 가시화 가능성 평가 실시. 특히 국내에서는 시도된 적이 없는 금속 소재 결정립 가시화 장치 최적화 및 데이터 분석 수행 프로세스 마련 - 방사광기반 분석 기법의 소재 개발 확대 적용) 상용화된 장비에서 제약을 가지는 실시간 구조 분석 기술의 자기 냉각 소재에의 적용 가능성 평가 완료. 또한, 고종회비의 3차원 미세 패턴 제작이 가능한 방사광 기반 X-선 리소그래피 기법을 기능성 소재 성형 공정에 필요한 미세 패턴 제작에의 적용 가능성 평가 완료 - KIMS-PAL 협업 플랫폼 구축) 방사광 기반 분석 기술 이해도 제고를 위한 기술교류회 및 방사광 분석 가능 정보 가시화 추진. 또한, 방사광가속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소재 이해도 제고 및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 협의 추진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이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방사광;X-선 이미징;소각 X-선 산란;X-선 회절 이미징;고분해능 분말 회절;X-선 리소그래피; 2. Synchrotron radiation;X-ray imaging;Diffraction computed tomography;Small angle X-ray scattering;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ion;X-ray lithography;
  • 11636

    2021.02.28

    □ 연구개요 동물의 번식생리 및 성장 그리고 인간에서 성장관련 유전자의 작용기전과 영향 등을 규명하기 위해, 개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함과 동시에 이를 유전자 교정기술과 체세포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성장유전자가 조절된 형질전환 복제견을 생산하고 이를 토대로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개의 품종 간 성장관련 유전자를 탐색 및 선발하고, 개 체세포 복제 기술과 유전체 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성장 조절 유전인자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NP을 비교 분석하여 대형견, 중형견, 소형견에서 IGF1, IGF1R, GHR1/2, STC2, HMGA2의 경향이 다름을 확인함 ❍ GHR-1과 HMGA2를 타겟 유전자로 선정 ❍ 새로운 유전자 편집 기술인 prime editor vector를 구축하여 형질전환 세포주 생산하는 방법을 구축함 ❍ 삽살개세포를 이용하여 FGFR3유전자가 point mutation한 세포주 구축하고, 성장관련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재구성 수정란 생산 및 GFP발현을 확인함. ❍ 성장관련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복제견 생산하였지만, 사산됨. 그러나 사산된 복제견에서 GFP발현과 성장관련 유전자가 교정됨을 확인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 유전체 교정 기술 및 개 체세포 복제 기술 등에 관련한 우수한 학술적 성과를 국내·외 학술지 게재 ❍ 형질전환 복제견 생산 효율 향상을 통한 복제견 연구분야의 세계적 우위를 지속적 유지 ❍ 도출 및 개발된 연구결과를 향후 형질전환 질환모델 생산연구의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 <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 ❍ 기존의 근친교배에 의한 품종고정을 새로운 유전체 교정기술과 복제 기술을 활용하여 단기간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개의 유전체 탐색을 통한 품종 간 육종자료를 수집할 수 있으며, 계통별 형질,마커 등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향후 유전자 교정기술을 이용한 질병 치료 및 인간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함 ❍ 가축 개량 및 품종 개발에 안전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혜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성장관련 유전자;유전자 교정기술;체세포 핵이식;형질전환;유전자 가위; 2. growth related gene;gene editing;somatic cell nuclear transfer;transgenic;CRISPR/cas9;
  • 11635

    2021.02.28

    □ 연구개요 본 연구과제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의 CT영상 화질 개선 능력을 전 임상 단계에서부터 평가하고 알고리즘을 수정 보완한 이후, 임상 영상에서의 평가와 함께 최종적으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 적용 가능함을 보이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최초 연구계획서에서 제시한 것처럼 총 4편의 논문을 작성함. - 현재 2편의 SCI 논문 출간, 1편의 논문은 SCI Journal에 accept 됨. - 1편의 논문은 SCI journal에 submission 함. • 연구 개시 당시 가장 최신의 알고리즘인 ADMIRE와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거나 우월함을 phantom study와 저선량 복부 CT에서 입증함. • 연구 도중 발표된 Deep learning기반의 Reconstruction 알고리즘인 TrueFidelity와 비슷한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추가로 공동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비교할만한 성능을 보임을 phantom study에서 입증함. • 3차년도 연차 계획서에서 복부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로 함. Simulated low dose cardiac CT 영상 data를 확보하였고 이 영상자료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질을 개선해놓은 상태임. • 최초 연구계획서에서 제시한 실제 환자군에서 저선량 CT의 진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 CT의 25% dose (일반 CT: 8mSv, 저선량 CT: 2mSv)인 저선량 복부 CT 자료와 이보다 낮은 선량의 simulated low dose CT (0.5 mSv) 영상을 확보하였고 각각 FBP 와 IR기법으로 재구성함. 신진 연구를 통해 우리가 개발한 딥러닝 알고리즘이 IR기법과 비교하여 다소 우수한 성능을 보임은 확인하였으나 기존 IR기법보다 최종 진단능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더욱 알고리즘을 개선할 필요가 있어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현재 0.5 mSv 영상에서 화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상태까지 진행되었으나 일부 인공물과 관련되어 추가 알고리즘을 수정 중임.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존의 화질 개선 알고리즘은 기기에 종속되어 있고 최신의 CT 기기에서만 활용 가능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입증한 영상기반의 알고리즘은 CT 기기와 상관없이 CT 영상의 화질 개선이 가능하여 구형 CT 기기에 대한 신규 시장을 창출함. • COVID-19 환자의 진단 및 치료평가에 CT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저선량 CT검사가 추천되고 있으나 구형 CT기기에서는 활용할 수 없었음. 본 연구에서 입증한 영상기반의 화질 개선 알고리즘을 활용할 경우 구형 기기에서도 저선량 CT 영상 구현이 가능하여 전체 인류에 대한 방사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원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전산화 단층 촬영;인공지능;저방사선량;딥러닝; 2. Computed Tomography;Artificial Intelligence;Low radiation dose;Deep learning;
  • 11634

    2021.01.31

    GIF 국제공동연구 참여계획 및 전략 마련, GIF회원국으로서의 의무사항 이행, GIF 국제공동연구의 효율적 참여 지원 및 성과확산 등을 통하여 GIF 국제공동연구의 체계적 지원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안명숙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GIF 국제공동연구;협력활성화; 2. Generation IV Nuclear System;GIF Joint Researches;Cooperation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