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47 Page 82/1,245

검색
  • 11637

    2021.02.28

    연구개요 ◦ SRSF11은 텔로머라제와 결합하여 텔로미어 길이 연장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SRSF11과 텔로머라제 간의 결합을 제어하는 기술개발을 제안하였으나 SRSF11 의 RRM과 RS 도메인이 비특이적인 분해에 의하여 단백질의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대체하기 위하여 연구수행 초기부터 텔로머라제 활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단백질로 HSP60를 발굴하였고 HSP60이 텔로머라제가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하여 HSP60이 암세포에서 텔로머라제 활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항암표적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텔로머라제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NOL1을 발굴하였고 NOL1 단백질 안정성이 tankyrase 1에 의한 poly-ADP ribosylation에 의하여 조절됨으로써 cyclin D1의 전사조절을 통하여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기작을 규명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텔로머라제 결합단백질로 HSP60을 발굴하였고 암세포에서 HSP60 발현을 억제하면 텔로머라제의 역전사 활성 단백질인 hTERT가 핵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세포질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HSP60이 세포질에서 hTERT 구조를 안정화시켜 핵으로 이동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hTERT와 HSP60의 특이적 결합 억제가 새로운 항암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HSP60에 결합하는 hTERT 도메인을 결정하였으며 다양한 세포주에서 HSP60에 의하여 TERT의 핵 내 이동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 hTERT는 핵으로 이동하여 텔로미어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 외에 미토콘드리아에서 ROS 생성을 감소하는 세포사멸 억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hTERT가 미토콘드리아에서 ROS 생성을 억제하는 기작에서 HSP60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HSP60 발현을 억제하면 ROS 생성과 세포사멸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hTERT와 결합하지 못하는 HSP60 돌연변이체를 사용하여 세포사멸 억제에 hTERT-HSP60 결합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 HSP60 발현억제에 의하여 hTERT의 핵 내 이동이 억제되어 텔로미어 길이감소가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hTERT의 핵 내 이동 억제는 nuclear localization signal이 작동하지 못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 hTERT와 HSP90-p23 간의 결합이 텔로머라제의 핵 내 이동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HSP60의 기능을 조사한 결과 hTERT가 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HSP60과 결합하여 단백질 폴딩이 우선 이루어져야 하며 그 후에 HSP90-p23과 결합하여 핵으로 이동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 텔로머라제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NOL1을 발굴하여 텔로머라제-NOL1 복합체가 cyclin D1의 전사를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NOL1이 tankyrase 1에 의하여 poly-ADP rybosylation되면 RNF146에 의하여 유비퀴틴화되어 단백질 분해가 일어나며 암세포에 tankyrase 1을 과발현하면 NOL1 발현양이 감소하여 cyclin D1의 전사가 감소하고 세포주기 G1/S transition이 정지함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tankyrase1/NOL1/cylin D1 regulatory axis가 암세포의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기작임을 규명하였다.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텔로머라제 활성 억제제는 텔로미어 길이감소를 유도하나 hTERT의 세포보호 기능을 함께 억제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항암제로 FDA에 승인된 약물은 없다. hTERT와 결합하는 단백질로 HSP60를 발굴하였으며 HSP60 발현억제에 의하여 hTERT가 핵으로 이동이 억제됨을 밝혔다. HSP60 발현억제는 hTERT의 non-telomeric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새롭고 이상적인 항암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 텔로머라제와 결합하는 NOL1이 cyclin D1의 전사조절자로 작용하며 tankyrase 1에 의하여 poly-ADP ribosylation되어 NOL1 단백질 안정화가 감소되면 암세포에서 세포주기 G1/S transition이 정지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NOL1 기능 제어 기술개발을 통하여 암세포에서 세포주기를 정지하는 새로운 항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인권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텔로머라제;암세포의 노화 유도; 2. Telomrease;HSP60;Senescence induction of cancer cells;NOL1;tankyrase 1;
  • 11636

    2021.06.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ew mechanism with a directly retrograde factor for the DNA damage response under genotoxic environment by mitochondrial fission. ○ 전체 내용 ☞ Mitochondria frag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γ-H2AX accumulation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The uncompleted γ-H2AX accumulation results from the response to defect in ATM signal in mitochondrial fission cells. ☞ Together, diabetes mimic-condition induced-mitochondrial fission destroyed DNA damage whereas releasing from high glucose restored the amount of γ-H2AX. □ 연구개발성과 Here, we report that the ablation of mitochondrial fusion causes a defect of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signaling in response to DNA damage. Mechanistically,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itochondrial fusion machinery (MFN1 and MFN2), Sab (or SH3 binding protein 5-SH3BP5), and JNK are required for JNK activity and nucleus translocation and the subsequent engagement of JNK activation-tethered ATM phosphorylation-dependent DNA damage response.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1st Year: Regulation of DDR by mitochondria dynamics under genotoxic environments - 2nd Year: Molecular mechanisms on the cross-talk between mitochondria dynamics and DDR - 3rd Year: Its physiological role in high glucose-induced mitochondria fragmentation model Evaluate the physiological relevance in the DDR. (source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NGUYEN THI KIM OANH
    • 주관연구기관 : 아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 11635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차세대소형위성1호 우주환경관측 과학탑재체 ISSS의 운용과 자료 활용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최종 연구 목표이며, 이를 위해 ISSS 탑재체 운용 시나리오 생성, 관측자료 수신, 전처리 및 자료배포 시스템 구축/운영하고,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관측대상에 대한 학문적 분석 연구를 수행한다. 더불어, ISSS 활용위원회의 운영, 관리를 통해 국내외 우주과학 연구자들의 ISSS 자료 활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 연구개발 내용 ◎ 차세대소형위성1호 과학탑재체 ISSS의 운용 ▷ 차세대소형위성1호의 궤도와 위치를 고려한 ISSS 운용 시나리오 생성 및 전달 ▷ 관측자료 수신이후 세부 탑재체별 자료 분류 및 전처리 소프트웨어 작성 ▷ 자료배포를 위한 관측자료 표준화 및 자료배포 서버 구축/운영 ◎ 우주환경관측 과학탑재체 ISSS 자료 활용 연구 ▷ 주요 관측/연구 대상인 마이크로버스트 (Microbursts), 버블 (Bubble), 블롭 (Blob), Positive 혹은 Negative Storm 등에 대한 과학분석 연구 수행 ▷ 동시관측이 가능한 해외 미션 자료와 연계한 분석 연구. 우주방사선 폭풍의 경우 RBSP, THEMIS, 및 ERG와의 연계분석. 이온층 폭풍 관측의 경우 SWARM, DMSP, 및 C/NOFS 위성과 자료 교환을 전제로 연계분석 공동연구 수행 ◎ 우주환경관측 과학탑재체 ISSS 자료 활용 지원 ▷ 국내외 과학관측 자료 활용을 위한 사용자 매뉴얼 (ISSS User’s Manual) 작성 및 배포 ▷ ISSS 활용위원회를 중심으로 사용자 그룹을 형성하고, 근지구우주환경 워크숍과 우주과학회 및 국제학회를 통해 ISSS 관련 발표와 활용 논의 ▷ 국내외 ISSS 사용자의 자료 활용 (자료사용 및 분석 소프트웨어) 지원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우주방사선 폭풍관련 관측자료 활용의 경우 극궤도 관측이라는 장점을 살려, 해외 미션과의 연계연구가 기대되며, 국내 RBSP 자료수신과 정지궤도복합위성의 우주 기상 탑재체와의 연계연구로 우주환경연구의 선진화를 도모하며, 이온층 폭풍자료의 경우 국내에 설치된 Coherent Scatter 레이더의 관측 자료와 연계하여 이온층 폭풍의 결과로 형성되는 중위도 지역의 이온층 교란연구에 이해수준을 심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유광선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우주환경;우주폭풍;우주방사선;이온층;플라즈마;소형위성;고에너지 입자;자기권; 2. space environment;space storm;space radiation;ionosphere;plasma;small satellite;hjgh energy particle;magnetosphere;
  • 11634

    2021.11.30

    Ⅳ. 운영결과 1. 5개의 방사선 사용 및 생산시설에 대한 공간선량률, 2개의 RI생산시설에 대한 표면오염도, 2개의 RI 사용시설에 대한 표면오염도, 2개의 파전용 저류조에 보관된 폐수의 방사능, 1개의 RI 생산시설 및 2개의 RI 사용시설의 실내 공기중 방사성물질의 농도 및 배기중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2. 521명의 내부 직원 및 86명의 외부 직원에 대한 개인피폭을 모니터링하고, 방사선안전관리 구역에 출입하는 모든 인원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를 수행하였다. 3.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 607명에 대한 건강진단, 방사선안전교육을 수행하였다. 4. 원내 모든 방사선관리구역 출입자에 대한 출입관리, 원내 사용 선원에 대한 관리, 원내 사용 계측기에 대한 교정관리를 수행하였다. 5.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1건의 방사선발생장치 사용변경 허가, 1건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변경 허가를 득하였고, 1건의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변경허가를 준비중이다. 또한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발생장치의 생산, 사용, 운반에 대한 정기검사와 포장 및 운반에 대한 정기검사를 서면으로 시행하였고, 수검 결과 합격하였다. 6. 방사선안전관리 수행 결과를 2건의 KCI 논문과 11건의 학술대회 발표로 공유하였으며, 3건의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김상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선작업구역;방사선피폭;방사선안전관리;방사성물질;방사성폐기물;최적화; 2. Radiation worker;Radiation control area;Radiation exposure;Radiation safety and control;Radioactive materials;Radio waste;ALARA;
  • 11633

    2021.09.30

    □ 연구개발 목표 ○ 사용후핵연료 전해환원에서 저환원율 원소 환원 특성 규명과 효율 향상 - 저환원율 원소(희토류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원소)의 전기화학 데이터 생산 - 저환원율 원소의 전해환원 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미환원 산화물이 후속공정과 최종폐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 중요 문제 원소의 환원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정 개선방안을 도출 □ 연구개발 내용 ○ 1단계: 미환원 산화물의 전기화학 데이터를 구축하여 전해환원 과정에서 저효율을 보이는 희토류와 알칼리 토금속의 환원 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희토류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미환원 산화물의 전해환원 중 간접환원 및 직접 환원과 관련된 전기화학과 열역학 데이터 문헌조사 및 측정 - 전해환원 실험 장치를 구축하여 예비 환원실험을 진행하고, 희토류와 알칼리 토금속의 전해환원 반응 특성과 저효율 원인 규명 ○ 2단계: 미환원 산화물이후속공정으로 전달되어 핵물질 회수공정과 최종폐기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환원율 향상이 필요한 원소에 대하여 환원율을 향상할 수 있는 공정 개선 방안을 도출 - 미환원 산화물이후속공정인 공용융염 환경에서 용출 여부, 용출 화합물 형태, 회수체에 전착되는 거동을 평가하고 후속공정 효율 저해 원소 도출 - 미환원 산화물이 존재할 수 있는 전해환원 용융염 폐기물, 전해정련 양극폐기물, 공용융염 폐기물 등 최종폐기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전해환원 운전조건과 환원반응을 개선(인가전위, 환원제, 온도 등)하여 후속공정 목표달성을 방해하고 최종폐기물 특성을 저해하는 중요 저환원율 원소 산화물에 대한 전해환원율 향상 방안 도출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미환원 산화물의 환원율을 높여서 공정 효율을 증가 ○ 고속로 핵연료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후속공정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종폐기물에서 고방열성 핵종에 대한 정밀한 특성을 파악 ○ 고온 용융염과 산화물 복합계면에서 일어나는 방사화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여 차세대 핵연료주기 시스템에 실증에 기여 ○ 사용후핵연료 파이로프로세싱과 후행핵연료주기 차세대 전문 인력 양성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최성열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방사화학;전해환원;복잡계면;희토류금속산화물;용융염;사용후핵연료;파이로프로세싱;알칼리토금속산화물; 2. Radiochemistry;Electrolytic Reduction;Complex Interface;Rare Earth Metal Oxide;Molten salt;Spent Nuclear Fuel;Pyroprocessing;Alkaline Earth Metal Oxide;
  • 11632

    2021.06.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700
    • Keyword : 1. TNIK 저해제;대장암;바이오마커;병용치료;저분자 화합물;방사능 병합치료;혁신신약;줄기세포; 2. TNIK inhibitor;Colorectal cancer;Biomarker;Combination therapy;Small molecule;Radiation combination therapy;First-in-class;Stem Cells;
  • 11631

    2020.12.31

    본 과제는 美 정부·의회·학계·연구계·산업계·싱크탱크 등을 대상으로 세미나 개최, 미디어 소통, 공동 정책연구 등 다각적인 대미 활동을 추진하여 주요 인사들과의 우호적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지속적인 대미 활동을 통해 美 하원 의원, 원자력 정책 전문가 등 4인을 지한파 인사로 발굴하였다. 발굴된 기존 지한파 인사들이 대통령 특보, NSC 원자력 정책 국장,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선임자문 등 백악관 핵심인사로 입각한바, 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원자력 고위급위원회(HLBC), 원자력연료주기공동연구(JFCS), 원전 수출 등 협력 현안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해결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미간 원자력 민간 대화채널 구축 및 국내 전문가의 대미 네트워크 참여 확대를 위한 한·미·일 다자대화 및 대외(Outreach) 활동도 추진되었다. 워싱턴 D.C. 파견을 통해 미국의 SMR 및 선진원자로 개발, 원자력 R&D 예산 변화, 원자력산업·기술 경쟁우위 회복 전략, 후행핵연료주기 기술옵션 검토 등 미국 내 핵심 현안 정보를 수집하고 한미 협력에의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 정부관계자 등의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다. 본 과제는 우리 정부협의체에 정책·기술 자문을 지속 제공하여 정부 관계자가 교체되는 가운데에서도 양자 채널의 추진동력을 유지하였다. 특히, 한미 원자력협력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연되던 HLBC 제2차 전체회의 및 화상회의 개최를 지원하고, JFCS 보고서 발간 등 대미 협의를 지원하였다. 한미 간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에 기여 가능한 협력 프로그램으로 한미 간 다목적고속시험로(VTR) 협력 및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협력을 발굴하여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하였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분야 신규 협력 사업으로 발굴된 ‘고방사선환경 취급 및 안전성 강화 혁신기술 개발’은 착수 준비 중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01p)
    • 연구책임자 : 김경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자력;한미 원자력 협력;인적 네트워크;한미 협력협의채널;연구개발 협력; 2. Nuclear energy;ROK-US nuclear energy cooperation;Human network;ROK-US cooperation/consultation channel;R&D Cooperation;
  • 11630

    2021.10.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조승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중성자 흡수;사용후핵연료;알루미늄;보론 카바이드;금속복합재료; 2. Neutron absorbing;Spent nuclear fuel;Aluminum;Boron carbide;Metal matrix composite;
  • 11629

    2021.02.28

    □ 연구개요 생리적 노화의 주요 분자생물학적 원인인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하여 노인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발굴하고자 함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노인성 심혈관질환의 상관성 규명 -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과 노인성 심혈관질환 상관성 규명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 작용기전 규명 - lamin에 의한 줄기세포 고갈 억제 기전을 기반으로 한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노인성 심혈관질환 연구모델 정립 및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과 줄기세포 고갈에 의해 발생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 구축 • 확립된 질환 모델에서의 심혈관질환의 병리학적 분석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이 심혈관조직 구성 세포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에서의 줄기세포의 생리적 활성 변화 여부 확인 2)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적 활성 감소와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표지인자 및 전사인자의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이동능 비교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내피줄기세포의 membrane stiffness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 비교 분석 3)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 활성 감소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및 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를 활용한 동물모델의 치료효과 검증 • 노인성 심혈관질환 환자로부터 획득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활용한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 작용 기전 연구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로 세계적 경쟁력 확보 및 그에 따른 기술 경쟁력 확립 • 세계 최초로 노인성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빠른 채택률을 보일 것이며, 개발된 노인성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활용은 또 다른 경제적 측면에서 막대한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우철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라민;핵구조 결손;줄기세포 고갈;노인성;심혈관질환; 2. lamin;defect in nuclear architecture;stem cell exhaustion;aging;cardiovascular diseases;
  • 11628

    2021.02.28

    □ 연구개요 근접장 복사열전달이란 방사체와 흡수체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열적 복사의 특성 파장 (상온에서 약 10 μm) 보다 작을 때 물체 사이의 복사열전달량이 매우 커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동안 금속-유전체 다층구조 혹은 박막구조에 의해 지원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근접장 복사열전달 변화가 이론적, 실험적으로 규명되었다. 격자구조를 사용하면 다층구조 혹은 박막구조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다른 공명조건을 이용하여 근접장 복사열전달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정 및 나노거리 유지의 어려움으로 인해서 아직까지 실험적으로 규명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격자구조를 이용한 근접장 복사열전달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격자구조에 의한 근접장 복사열전달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 인 도핑 실리콘, 유리, 금 세가지 물질에 대한 복사 열전달 계산을 수행하였다. 인 도핑 실리콘이 다른 두 물질에 비해 근접장 복사열전달량이 클 뿐 아니라, 평판대 평판 복사열전달과 격자구조 대 평판 복사열전달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실험 물질로 선정하였다. 격자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 UV 사진 공정과 보쉬법의 심도 반응성 식각 공정을 이용했다. 제작된 격자구조를 평가하기 위해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격자구조의 단면을 검사하였고 목표대로 공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격자구조 복사열전달 실험을 위해 격자구조, 히터,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멤스 디바이스를 제작하였다. 방사체 파트 디바이스는 유리 기판으로 제작되었으며 금속 박막 히터를 포함하고 있다. 방사체 면은 정전용량의 전극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거리센서로도 사용된다. 흡수체 파트는 격자구조를 제작하기 위해 실리콘 웨이퍼로 제작하였다. 흡수체 파트에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네 개의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격자구조 근접장 복사열전달 측정값을 이론값과 비교하였고 300 - 2500 nm 진공거리에서 격자구조에 의해 변화된 근접장 복사열전달을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격자구조를 이용하면 마그네틱 폴라리톤, 가이드 모드 등을 이용하여 근접장 복사열 전달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것의 물리학적 특성을 실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진은 기 연구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거리에 따른 격자구조 근접장 복사열 전달을 측정을 성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세계 최초로 격자구조를 이용한 근접장 복사열전달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가치가 있다. 근접장 복사 열전달의 가장 유망한 응용분야인 근접장 열광전지는 방사체와 열광전지 셀 사이의 복사 열전달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다. 격자구조를 도입하면 추가적인 물리적 특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효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점이 이론적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증한 격자구조 복사열전달은 고성능 근접장 열광전지 제작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승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근접장 복사열전달;격자구조; 2. Near-field radiation;Grating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