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22 Page 50/73

검색
  • 232

    2023.01.17

    국제원자력기구(IAEA), 아태원자력협력협정(RCA) 

    50주년 기념 장관급 회의에서 한국 6개의 공로상 수상

    - 오태석 제1차관, 아태원자력협력협정 50주년 장관급회의에 참석하여 기조연설 -

    - 아태원자력협력협정 공로상 5개 부문 28개 중 한국 4개 부문 6개 수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오태석 제1차관은 9월 26일(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원자력협력협정(이하 ‘아태원자력협력협정*’) 장관급 회의?에 참석하여 아태원자력협력협정이 지난 50년간 아태지역에서 경제사회 발전에 이바지해온 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아태원자력협력협정 사무국을 유치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회원국들간 협력 강화 및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해 온 국내 유관기관 관계자들을 격려하였다. 

      * 원자력과학 기술개발 및 훈련에 관한 아태지역협력협정(Regional Cooperative Agreement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Related to Nuclear S&T for Asia and the Pacific)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231

    2017.11.25

    영국의 원전 규제기관인 ONR(Office for Nuclear Regulation)과 환경부(Environment Agency)는 2017년 11월 16일 영국형 HPR1000 원자로에 대한 일반설계평가(Generic Design Assessment) 2단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 원자로는 EDF와 CGN(China General Nuclear)의 공동자회사인 GNS(General Nuclear Services)가 영국에 신규원전 건설을 목적으로 제안한 Hualong One 원자로의 변형이다.

    GDA 프로세스는 특정부지에 원전건설을 신청하기 전에 규제기관으로 하여금 신규원전 설계의 안전성, 보안성 및 환경영향을 사전에 평가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ONR측은 GDA 프로세스 2단계를 진행할 수 있을 만큼 영국형 HPR1000 원자로가 적합한 사업관리 방식 및 기술적 성숙도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GDA 2단계는 기술평가 단계다.

    GNS측에 따르면 1단계 평가를 위해 규제기관에 제출된 정보가 충분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평가 2단계 완료에는 약 12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형 HPR1000 원자로 GDA 평가는 완료하는데 1단계 시작으로부터 5년을 계획하고 있다.

    2016년 10월 체결된 전략적 투자협약에 따라 CGN측은 EDF Energy사의 Somerset 지역 Hinkley Point C 신규원전 프로젝트 지분 33.5%를 인수했으며 Suffolk 지역의 Sizewell 신규원전 및 Essex 지역의 Bradwell 신규원전 사업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Hinkley Point C 및 Sizewell C 신규원전 프로젝트에는 프랑스의 EPR 원자로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며 Essex 지역에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Bradwell 신규원전 사업에는 중국의 Hualong One 원전 설계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CGN사는 EDF Energy사와 조인트벤쳐를 세워 영국형 Hualong One 원전 설계에 대한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GDA 프로세스는 규제상 강제사항이 아니라 원자로공급사의 정책 및 자발적인 결정에 따라 참여하는 프로세스다. 하지만 영국정부는 영국에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모든 원자로 노형에 대해 GDA 프로세스가 진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지난 1월 영국정부는 영국형 HPR1000 원자로에 대한 GDA 프로세스 착수를 공식으로 요청한 바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영국형 HPR1000 원자로,일반설계평가,신규원전 2. UK HPR1000 reactor,Generic Design Assessment,new nuclear power plant
  • 230

    2018.06.02

    일본 Toshiba사는 미국 텍사스 주 STP(South Texas Project) 원전 3,4호기로 2기의 ABWR(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을 건설하려던 계획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투자자 모집에 실패해서 더 이상 재정적이로 가능한 상태가 아니라고 덧붙였다.

    Toshiba사는 100% 출자한 미국내 자회사인 TANE(Toshiba America Nuclear Energy Corporation)를 통해 본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미국 전력회사 NRG사와 북미 지역에 ABWR 신규원전사업 추진을 위해 2008년 NINA(Nuclear Innovation North America)를 설립한 바 있다.

    건설운영 복합인허가(COL, combined construction and operating licence) 신청이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2007년 이뤄졌다. 이 신청서는 이미 2기의 가압경수로를 운영하고 있는 NRG Energy사가 제출한 것이다. 2009년 2월 TANE사는 STP원전운영회사(STP Nuclear Operating Company)와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계약을 체결해 사업주관시행사가 되었다. 그러나 2011년 NRG Energy사는 사업참여 철회를 선언하고 미화 3억 3,100만 불에 대한 투자금 반환을 NINA측에 요구하기에 이른다. 이 후 사업은 Toshiba가 인허가 프로세스에 대한 자금을 대왔다.
    NRC는 2011년 후반 NINA측에 NINA가 해외기업 소유권요건(foreign ownership requirements)를 충족하고 있지 못하며 따라서 인허가를 받을 자격이 안된다고 통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NINA측은 인허가신청을 다시 내고 이 문제를 풀기 위한 협상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결국 NRC는 Toshiba의 10% NINA 지분을 수용하고 2016년 2월 STP 3,4호기에 대한 COL을 발급했다.

    Toshiba사는 2018년 5월 31일 성명을 내고 사업철회 절차를 올해 말까지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쉐일가스 출현에 따른 전기요금의 저하,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자력발전에 대한 규제강화 등에 따라 사업 추진을 접게 되었다고 밝혔다.

    Toshiba사는 2018년 5월 31일까지 미국 내 ABWR 신규원전사업 추진을 위해 미화 6억 4,100만불을 썼으며 지분이자는 1억 4,700만불에 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부분의 손실은 2018년 3월 31일부로 끝난 2017 회계년도에 귀속됨으로 2018 회계년도에 대한 손실은 최소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ABWR,건설운영 복합인허가,쉐일가스 2. ABWR(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COL(combined construction and operating licence),shale gas
  • 229

    2018.10.18

    AP1000형 원전인 중국 Haiyang 원전 2호기가 국가전력망에 연결되었다. 한편 지난 달 AP1000형 원전으로는 세계 최초로 상업운전에 들어간 Sanmen 원전 1호기는 성능보증기간에 들어섰다.

    2007년 9월 Westinghouse사와 Shaw Group은 중국 내 Zhejiang성 Sanmen 및 Shandong 성 Haiyang 부지에 각 2기씩, 총4기의 AP1000에 대한 건설승인을 받은 바 있다. Sanmen 1호기 건설은 2009년 4월, 2호기는 2009년 12월에 시작되었으며 Haiyang 1,2호기는 각각 2009년 9월 및 2010년 6월 건설에 착수한 바 있다.

    Sanmen 1호기는 올 6월 22일 최초임계에 도달하여 출력시운전을 시작한 세계 최초의 AP1000형 원전이 되었으며 7월 2일 전력망에 연결되었다. 전출력에는 8월 14일 처음 도달하였으며 9.21일 전출력입증시험을 완료했다. 한편 Sanmen 2호기는 8월17일 최초임계에 도달하였고 지난 주 전력망에 연결되었다. 올 해 말이면 상업운전에 돌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한 AP1000형 원전인 Haiyang 1호기는 올 8월 8일 최초임계에 도달하였고 8월 17일 전력망에 연결되었다. 역시 올 해 말이면 상업운전에 돌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Haiyang 2호기는 10월 13일 전력망에 연결되었고 2019년 초면 상업운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10월 11일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의 자회사인  Sanmen Nuclear Power사는 Sanmen 1호기 공급사인 Westinghouse Electric, CNNE(China National Nuclear Engineering), Harbin Electric, Mitsubishi 및 Zhejiang Thermal Power사 등과 잠정적인 원전 인수서에 서명했다.

    이 서명은 공급계약에 따라 700 시간에 달하는 성능입증 운전과 성능시험을 완료했기 때문에 이뤄진 것이다. 현재 Sanmen 1호기는 공급자들의 보증 하에서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 상태로 이후 최종인수서가 서명될 예정이다.

    미국에도 역시 4기의 AP1000 원자로가 Vogtle 및 Summer 부지에 각 2기씩 건설되고 있다. 하지만 Summer 부지에 건설 중인 2기는 작년 8월부터 건설이 중단된 상태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상업운전, 전출력입증시험, 최초임계 2. commercial operation, full-power demonstration test, initial criticality
  • 228

    2017.04.01

    스웨덴방사선안전청(SSM, Swedish Radiation Safety Authority)은 원자력산업계가 시행하고자 하는 방사성폐기물관리 연구 및 기술개발 프로그램을 정부가 승인할 것을 권고했다. 스웨덴 원자력산업계는 3년마다 해당 R&D프로그램을 제출해야 한다. 즉, 스웨덴 법령에 따르며 원자력발전소 소유자는 폐기물 안전관리, 원전 운영 및 해체까지 포함하는 R&D 프로그램을 3년마다 정부에 제출하도록 되어있다.

    스웨덴의 방사성폐기물관리회사인 SKB(Svensk Kärnbränslehantering AB)는 2016년 9월 원전 소유자를 대신해서 2016 R&D 프로그램을 제출했다. 이후 규제기관, 대학, 연구기관, 지자체 및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검토와 의견을 받게 된다. 공청기간은 작년 12월 말 끝났다.

    2013 R&D 프로그램을 확정하면서 정부는 SKB와 원전운영사가 R&D 프로그램 중 폐기물관리및 폐로분야에 대해 SSM과 협의를 계속하라는 조건을 부여했다. 또한 SKB로 하여금 향후 R&D 프로그램의 투명성과 체계성도 확인하도록 했다. 2016 R&D 프로그램을 평가한 SSM은 해당 프로그램이 충분하고 포괄적이라면서 방사성폐기물 및 사용후연료에 대한 안전관리 계획과 원자력시설의 폐로, 해체 안전대책이 법적요건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16 R&D 프로그램에 따르면 방사성폐기물 장기처분장 개발은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2013년 계획에는 처분장 개념설계가 2016년에 완료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SSM은 2018년까지 관련 안전성평가를 완료하도록 프로그램 보완을 지시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방사성폐기물관리, 연구개발 프로그램, 처분장 2.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R&D program, repository
  • 227

    2007.10.01

    방사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방사선 이용기술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며 방사선이용 및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과학기술부는 10월 4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강당에서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와 공동으로 『2007년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 연차대회』를 개최한다.

     올해로 6회차를 맞이하는 이번 연차대회는 방사선기술분야의 각계 전문가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Global Wellbeing with Radiation Technology' 주제로 정윤 과기부차관과 변명우 방사선과학연구소장의 특별간연과 3개 주제 발표로 구성된다.

     정윤 과학기술부 차관은 “미래대비 전략과 비전”이라는 특별강연을 통해  ◆지구화-세계화 진전에 따른 과학기술의 중요성 ◆한국의 과학기술역량제고를 위한 투자의 효율성제고 ◆거대·기초과학사업의 확대 ◆기반구축 및 국제화 촉진을 통한 과학기술중심사회구축 등을 역설할 예정이다.

      변명우 소장은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활성화 계획” 이라는 주제로 세계의 비(非)발전분야 원자력 기술개발 및 산업 동향과 우리나라의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아울러 ▲핵의학 기술분야  ▲방사선기술분야 ▲방사선 방호분야 등 3개 분야 주제발표를 통해 9편의 논문이 발표되며 최신의 방사선 이용기술 및 기술개발 동향도 함께 소개된다.
     한편 정윤 과학기술부 차관은 방사선이용진흥과 안전문화정착에 공로가 큰 5명의 관계자들에게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표창장을 수여할 예정이다.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226

    2019.03.14

    미 행정부는 Yucca Mountain 처분장에 대한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인허가 절차를 재개하고 원전 규제기관으로 하여금 개량형 원자로 인허가를 준비할 수 있도록 2020 회계연도 예산 요청을 했다. 미국의 2020 회계연도는 2019년 10월 1일 개시된다. 

    2020 회계연도 예산(안)은 2019년 3월 11일 의회에 제출되었다. 미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는 2019년 예산(안)보다는 11억 불 많지만 2019년 실행예산보다는 11% 감축된 총 317억 불에 달하는 예산(안)을 제출했다. 목표는 미국의 에너지 최우선 정책을 촉진하고 Donald Trump 대통령이 주장하는 미국의 에너지 지배력 확보라는 장기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예산(안)에는 DOE 원자력국(Office of Nuclear Energy)이 쓸 8억 2,400만 불(2019년 회계연도 대비 6,700만 불 증가)과 Yucca Mountain 및 방사성폐기물 중간저장프로그램에 쓸 1억 1,600만 불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차세대 상용 원자로 개발을 위해 개량 핵연료 및 재료 개발 및 시험에 활용할 다목적시험로(VTR, Versatile Test Reactor) 시설 건설에 소요될 1억 불도 포함하고 있다.

    NRC가 제출한 9억 2,100만 불 규모의 예산(안)은 2019년 회계연도보다 1,000만 불이 많은 것으로 원자로안전 분야에  4억 4,950만 불과 핵물질 및 방사성폐기물 안전 분야에 1억 6,570만 불이 편성되었다. 이 중 3,800만 불은 Yucca Mountain 처분장 인허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NRC는 개량형 원자로 기술을 위한 규제 인프라 개발을 위해 1,500만 불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NRC는 집행예산의 거의 90%를 원전 운영사로부터 회수하기 때문에 순 지출예산 요청 규모는 1억 6,100만 불이다.

    Nevada 주 Yucca Mountain은 1987년 미국 방사성폐기물정책법(Nuclear Waste Policy Act)에서 사용후핵연료 및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유일한 부지로 지정된 바 있다. DOE는 2008년에 NRC에 건설허가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미 행정부는 2009년 대선 이후 이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2013년 8월 미 연방 항소법원은 NRC에 DOE가 제출한 신청서 검토를 재개하도록 명령했다.

    DOE 산하 NNSA(National Nuclear Security Administration)의 핵 비확산 관련 예산(안)은 2019년실행예산보다 3.3% 많은 19.9억 불에 달한다. 혼합산화물연료(MOX) 제조 관련 시설 투자를 증가시킬 예정이다. Georgia 주 Savannah 시설에서 34톤에 달하는 핵무기급 플루토늄을 발전용 원자로 핵연료로 변환하려 했지만 2018년 5월 DOE의 Rick Perry 장관은 플루토늄을 희석하여 처분하는 방안을 추진하기 하고 의회에 관련시설 건설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NRC는 올 2월 CB&I Areva MOX Services사가 요구한 해당시설에 대한 건설허가 종결을 승인했다. 이 공장은 NNSA 소유로 일부가 건설되었다.

    미국 의회는 예산(안) 심의과정에서 하원과 상원이 대통령이 제출한 예산(안)을 분석하고 전반적인 세출 수준을 정하는 예산 초안을 작성한다. 의회는 최종 예산을 의결하고 하, 상원 소위원회는 이를 세출법안으로 작성한다. 세출법안은  행정부 셧다운을 막기 위해 해당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에 대통령의 서명을 받야야 한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예산(안),에너지정책,다목적시험로 2. budget request,energy policy,Versatile Test Reactor
  • 225

    2018.12.13

    중국 내에 건설되는 2번째 Hualong One형 원자로인 Fuqing 신규원전 6호기의 원자로 압력용기가 설치되었다고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가 2018년 12월 11일 공개했다. 12월 10일 진행된 인양 작업에서 원자로 압력용기를 뒤집어 인양을 위한 인양용 링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수반되었다. 인양용 링이 제거된 후에는 원자로 압력용기를 지지용 링에 위치시켰다.

    Fuqing 신규원전에 건설되는 Hualong One형 원자로는 안전성을 증진하고 원자로의 설계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변경이 진행된 바 있다. 또한 원자로 압력용기 설계, 재료 개발, 용접 및 기계적 가공에 높은 수준의 요건을 적용했다고 CNNC는 밝혔다. 원자로 압력용기의 크기와 중량이 증가했서 제작에 어려움도 있었다고 CNNC는 덧붙였다.

    Fuqing 6호기의 원자로 압력용기는 중국원자력연구설계원(China Nuclear Power Research and Design Institute)이 독자적으로 설계했으며 제작은 China First Heavy Machinery사가 맡았다.

    현재 CNNC가 설계한 Hualong One형 원전 2기가 기술입증을 목적으로 Fujian성 Fuqing 원전부지에 건설 중에 있다. Fuqing 5호기 건설은 2015년 5월에 시작되었으며 6호기는 2015년 12월 공사에 착수한 바 있다. Fuqing 5,6호기는 각각 2019년 및 2020년 준공될 예정이다.

    Guangxi성 Fangchenggang 원전부지에도 2기의 Hualong One형 원자로가 건설 중에 있다. 이 원전은 CGN사(China General Nuclear)가 개발한 HPR1000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 Hualong One형 원자로는 설계사가 CNNC과 CGN 등 2곳으로 세부 설계가 일부 상이하다. Fangchenggang 1,2호기도 역시 2019년 및 2020년 각각 준공될 예정이다.

    한편, CGN사는 영국 잉글랜드 지역의 Bradwell 신규원전 건설용 부지에 2기의 영국형 Hualong One 원자로 건설을 영국 측에 제안한 바 있다. 파키스탄의 Karachi 원자력발전소 부지에도 CGN사의 Hualong One형 원자로인 HPR1000 2기가 건설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Hualong One형 원자로,원자로 압력용기,HPR1000 원자로 2. Hualong One,reactor pressure vessel,HPR1000
  • 224

    2018.03.06

    캐나다는 소형모듈형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를 전력망에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해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해 로드맵을 작성하는 프로세스에 착수했으며 올 가을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NRCan(Natural Resources Canada)은 이 로드맵이 캐나다가 세계 SMR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NRCan의 에너지혁신프로그램의 일환인 로드맵 작성 프로세스는 2018년 2월 22일 천연자원부 Jim Carr 장관을 대신해서 Kim Rudd 의회 사무총장이 발표했다. SMR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방정부와 전력회사의 지원 하에 실제 로드맵 작성은 캐나다원자력협회(CNA, Canadian Nuclear Association)가 수행할 예정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을 참여시켜 캐나다에서 SMR을 추진하는데 파악이 필요한 우선순위와 어려움을 파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로드맵 작성 작업에는 제조회사, 연구소, 방사성폐기물관리기관 및 국가원자력규제기관인 CNSC(Canadian Nuclear Safety Commission) 등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할 예정이다. 이 로드맵은 다양한 SMR기술의 특성 및 캐나다 규제요건과의 부합성을 평가하고 캐나다 내 우선순위를 정하며 관련 산업을 위한 장기 비젼을 설정하고 혁신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해 캐내다 국립 원자력 과학기술기관인 CNL(Canadian Nuclear Laboratories)은 2026년까지 Chalk River 부지 내에 SMR 건설부지를 결정하기로 목표를 정한 바 있다. 이미 19개 SMR 기술로부터 관심표명을 받았다. 캐나다 Terrestrial Energy사는 지난 해 6월 이 부지에 최초의 상용 IMSR(Integrated Molten Salt Reactor) 건설을 위한 타당성연구에 착수한 바 있다.

    CNSC는 현재 원자로공급사의 원자로 기술에 기반해서 해당 원전설계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사전인허가 원자로설계평가(VDR, vendor design review)를 수행하고 있다. 대상은 10가지 원자로이며 용량은 3~300 MWe로 다양하다. 이 달 초 2건의 VDR 신청을 더 받았는데 이는 NuScale Power사의 50 MWe급 통합가압경수로와 Westinghouse사의 Vinci 마이크로 원자로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소형모듈형원자로,로드맵,통합용융염원자로 2. SMR(small modular reactor),roadmap,IMSR(Integrated Molten Salt Reactor)
  • 223

    2018.02.16

    Holtec International사와 GEH사(GE Hitachi Nuclear Energy)는 Holtec의 소형모듈형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인 SMR-160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협력 분야에는 핵연료 개발과 제어봉구동장치 개발도 포함된다.

    GEH, GNF(Global Nuclear Fuel), Holtec 및 SMR LLC(SMR Inventec LLC)가 양해각서를 맺고 SMR-160 개발을 진전시키기 위해 경쟁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Hitachi와 Toshiba가 참여하며 GE가 주도하고 있는 조인트벤쳐 GNF사는 비등형 경수로 핵연료 공급회사다. SMR LLC는 Holtec이 2011년 SMR-160 개발을 위해 설립한 자회사다. SMR용 핵연료 개발은 GNF가, 제어봉구동장치 개발은 GEH가 주도하게 된다.

    SMR-160은 저농축 우라늄 연료를 사용한다. 공장에서 제작되는 원자로 노심과 모든 핵증기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이 지면 아래 위치하게 되며 피동형 노심냉각계통을 적용하기 때문에 안전도가 대폭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이 원자로는 2026년 운영을 개시할 계획이다.

    SMR LLC사는 GEH 및  GNF의 지원을 받아 2018년 1월 31일 미 에너지부에 제안서를 제출했는데 피동형 안전계통의 성능을 조사하고 입증하기 위한 시험프로그램이 주된 내용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GEH 및 GNF사는 현상평가, 스케일링 분석, 안전해석시스템 코드평가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2017년 7월 Holtec사는 캐나다의 SNC-Lavalin사와 SMR-160 개발을 위해 팀구성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 Candu Energy사의 모회사인 SNC-Lavalin사는 이 협정에 따라 SMR-160 원자로의 인허가 취득을 포함한 원자력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있다.

    SMR-160 원자로는 2012년 미 에너지부(DOE)에 의해 South Carolina주 Savannah River 부지에서 잠재성과 가능성을 입증할 3개 SMR 노형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다. 한편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SMR-160에 대한 사전 인허가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소형모듈형원전,핵연료,SMR-160 2. SMR(small modular reactor),nuclear fuel,SMR-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