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22 Page 19/73

검색
  • 542

    2018.11.06

    캐나다는 첨단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연구개발을 위한 센터 건립에 미화 3,800만 불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British Columbia 대학교 내 국립입자물리학연구소인 Triumf에 건립될 예정이다.

    Justin Trudeau 캐나다 수상은 2018년 11월 1일 Triumf 시설을 방문한 자리에서 IAMI(Institute for Advanced Medical Isotopes) 건립을 위한 국가적인 지원방안을 공개했다. 2,500 평방미터에 달하는 최신건물에 신형 TR-24 의료용 사이클로트론, 사이클로트론 제어실 및 6개의 실험실이 설치될 예정이다. 품질제어 랩, 사무실, 전기제어실 등도 갖출 예정이다.

    시설 건립에는 미화 2,420만 불 가량이 소요될 예정이고 추가적인 장비 및 인도적 지원 등을 고려하면 IAMI 프로젝트에는 미화 3,800만 불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연방정부가 캐나다인프라계획(Canada infrastructure plan)에 투자하는 형태로  미화 약 770만 불 지원한다. British Columbia 주가 930만 불 가량을, Triumf가 407만 불 가량을 기여하할 예정이다.

    IAMI가 건립되면 핵의학용 영상을 얻는데 필수적인 테크니슘-99m(Technetium-99m)을 포함한 중요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의 캐나다 내 공급을 보장하고 세계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을 것을 기대된다. 캐나다는 이미 미화 30억 불 규모의 새계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원료물질 공급의 50%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밴쿠버에 위치한 Triumf은 캐나다 국립입자가속기 센터로 대학 간 컨소시엄이 만든 조인트벤쳐가 소유, 운영하고 있다. 이 조인트벤쳐는 캐나다 정부로부터 국립연구평의회(National Research Council)를 통해 연간 미화 3,800만 불 이상의 지원을 받고 있다.

    그간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공급해 온 NRU(National Research Universal) 원자로가 문을 닫자 올 4월 캐나다의 과학, 보건 및 원자력 분야 기관들은 세계 시장에서 캐나다가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출범시킨 바 있다. Canadian Nuclear Isotope Council은 캐나다 및 국제시장에서의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공급능력 확보를 위한 장기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현재 캐나다 내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은 원자력발전소, 연구용 원자로 및 Triumf나 Canadian Light Source사와 같은 입자가속기 운영에서 이뤄지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의료용 사이크로트론,테크니슘-99m,입자가속기 2. medical cyclotron,Technetium-99m,particle accelerator
  • 541

    2019.08.01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가 중국 Hainan성 Changjiang에 ACP100 소형모듈형원자로 건설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Linglong One 설계라고도 불리는 시범호기 건설은 올해 말께 시작될 예정이다.

    ACP100 통합 가압수형 원자로(PWR, pressurised water reactor) 설계는 2010년부터 개발 중에 있다. 2014년 예비 설계가 완성되었으며 원자로 냉각재 유로의 주요 구성품이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ACP100 원자로는 전력 생산, 난방, 증기 생산 또는 해수 담수화를 위해 설계된 다목적 원자로다. 2016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심사를 통과한 최초의 SMR이 됐다.

    ACP100은 중국의 제12차 5개년 계획 상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ACP1000 원자로 설계로부터 파생, 개발되었다. 57개의 핵연료집합체와 일체형 증기발생기를 갖춘 이 원자로는 피동 안전기능을 갖고 있으며 지하에 설치된다. 중국은 2016년 CNNC가 설계한 ACP100를 변형한 ACP100S 부유식 원전 시범건설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원자로 2기로 구성된 시범발전소는 CNNC(51%)와 China Guodian사의 합작법인인 CNNC New Energy사가 원래 Putian현에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2017년 초 최초의 ACP100 부지가  Hainan 섬 Changjiang으로 변경되었다. Putian에는 대형 원자로 부지로 변경되었다.

    중국 환경부의 2019년 3월 22일 발표에 따르면 ACP100 시범발전소는 기존 Changjiang 원전의 북서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부지에는 2기의 CNP600형 원자로가 이미 운영 중이며 2기의 Hualong One 원자로 건설도 계획되어 있다.

    CNNC 측은 Linglong One 원자로 시범사업을 통해 이 기술의 설계, 제조, 건설, 운영 등을 검증할 것이라면서 소형원전 운영경험을 쌓고 소형 원자로의 미래 시장개척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신형원자로로서 소형모듈형원자로는 전력생산 및 규모 면에서 고도의 유연성을 갖고 있으며 입지가 어려운 곳에도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어 안전하고 경제적이라고 덧붙였다.

    시범원전 건설사업이 첫 번째 콘크리트 타설은 2019년 12월 31일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건설에 65개월이 소요되어 2025년 5월 31일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소형모듈형원자로,원자로 압력용기,원자로냉각재 유로 2. SMR(small modular reactor),reactor pressure vessel,primary coolant circuit
  • 540

    2017.06.26

    Terrestrial Energy사는 Ontario주 Chalk River 부지의 캐나다원자력연구소(CNL, Canadian Nuclear Laboratory)에 최초의 상업용 통합용융염원자로(IMSR, Integral Molten Salt Reactor)를 설치하기 위한 타당성연구를 시작했고 CNL을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상용화 지원을 위한 기술 허브로 만들기 위한 비젼 이행에 착수했다.

    Terrestrial Energy사는 이 연구를 CNL이 수행하고 있으며 올 6월 2일 CNL이 발급한 RFEOI(Request for Expression of Interest)와 병행해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CNL은 원자로 개발사, 공급망, 최종사용자 및 다른 이해관계자를 모두 고려해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Terrestrial Energy사는 2020년 대에 IMSR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CNL과 Terrestrial Energy사는 작년 IMSR 설계프로그램을 시험하고 검증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이 양해각서에 따른 CNL의 역무는 원자로물리, 열역학, 금속학, 화학, 폐기물 관리 및 폐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상호 비배타적인 양해각서에 따라 CNL이 다른 원자로 설계를 건설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으며 또한 Terrestrial사가 다른 부지에 IMSR을 건설하는 것도 제한하고 있지 않다.

    Terrestrial사는 미국 INL(Idaho National Laboratory)이나 Mississippi강 동쪽의 추가 부지에 대해서도 IMSR을 건설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올해 안에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와 사전인허가 추진을 위해 교류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올 1월 밝히면서 실제 인허가 프로세스는 2019년 말에 시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용융염원자로는 용융된 불화물이나 염화물에 녹인 핵연료를 사용하며 이 용융염은 연료 및 냉각재로 이용된다. Terrestrial사가 개발한 IMSR은 증기발생기를 포함한 1차 냉각재계통을 2차 냉각계통과 통합하여 교체가능한 원자로압력용기 안에 설치한다. 따라서 이 원자로는 소형모듈형원자로로 구분되며 전력생산과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열생산에 활용할 수 있다.

    CNL은 2018년 3월 31일로 예정된 NRU(National Research Universal) 원자로 폐로 이후 Chalk River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지에 대한 장기비젼의 일환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간 NRU는 세계시장에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공급해 왔다. 장기비젼에는 2026년까지 Chalk River 부지에 신규 SMR 입지를 수용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통합용융염원자로, 타당성연구, 용융된 불화물이나 염화물 2. IMSR(Integral Molten Salt Reactor), feasibility study, molten fluoride or chloride salt
  • 539

    2018.07.05

    미 상원은 해군의 사용후핵연료를 개량원전 핵연료로 리사이클하기 위한 미화 1,500만 불 규모의 파이롯트 프로그램을 승인했다. 이 프로그램은 2019 회계년도 에너지 및 수질 세출예산 법안 수정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원에서 87 대 9로 채택되었다.

    현행 원자력발전소는 핵분열성 U-235가 5% 미만으로 함유된 저농축 우라늄(LEU, Low-enriched uranium) 핵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 개발 중인 대부분의 개량원전은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ALEU, high-assay low-enriched uranium)라고 알려진 5~20%로 농축된 우라늄 핵연료를 채택하고 있다. 핵잠수함은 고농축 우라늄(HEU, highly enriched uranium)을 핵연료로 사용한다.

    사용후 핵연료에는 여전히 많은 양의 핵분열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프로젝트는 미 해군에서 나오는 사용후 HEU 핵연료를 이용해서 활용가능한 HALEU를 생산해 낼 수 있는지를 입증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미 해군의 핵추진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처분대상 핵폐기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Amendment 2943로 불리는 이 세출예산 법안 수정안은 Idaho주의 Mike Crapo 및 James Risch 상원의원, Rhode Island 주의 Sheldon Whitehouse 상원의원이 제안했다. INL(Idaho National Laboratory) 내 특정 부지는 개량원전인 NuScale사의 소형모듈형원전 건설을 위해 배정되어 있으며 Terrestrial Energy사의 IMSR(Integral Molten Salt Reactor) 건설을 위한 잠재부지도 있다.

    현재 운영 중인 해군의 원자로는 총 100,000 톤에 달하는 사용후핵연료를 양산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처분하기 위해서는 미화 1,000억 불이 필요할 것이라고 Crapo 상원의원이 6월 20일 상원에서 밝힌 바 있다. 개량형 원전은 잠재적으로 이를 재사용할 수 있어 핵폐기물 총처분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 원자력협회(NEI, Nuclear Energy Institute)는 상업적 규모로 HALEU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시설이 현재 미국 내에 없기 때문에 개량원전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적인 핵연료주기 관련 인프라 구축을 시작해야 한다고 올 해 2월 밝힌 바 있다. 또한 미 원자력산업계와 정부가 협력해서 향후 10년 내에 HALEU 물질을 생산하고 차세대 개량원전 및 현행 경수형 원전용 HALEU 핵연료를 양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해군용 사용후핵연료,저농축 우라늄,국가적인 핵연료 주기 인프라 2. used naval nuclear fuel,LEU(low-enriched uranium),national fuel cycle infrastructure
  • 538

    2007.10.02

    전세계 초고속인터넷 이용의 증가는 기업의 비즈니스 방식과 학계의 연구 협력 등에 변화를 이끌어 “혁신의 세계화(globalization of innovation)'를 이루고 있다고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의 한 연구 책임자는 주장했다.

    CERN은 세계에서 가장 큰 입자물리가속기연구소로, 1954년 9월 29일 유럽의 여러 국가들이 기초과학(순수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위해 위원회를 구성해 설립하였다. CERN은 유럽의 대표적인 공동 연구시설로, 회원국은 오스트리아, 벨기에, 불가리아,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슬로바키아, 에스파냐, 스웨덴, 스위스, 영국 등 20개국이다.

    CERN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책임자인 데이비드 포스터(David Foster)는 이로 인해 기업 못지 않게 과학 공동체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것은 혁신의 세계화”라고 말했다. “우리의 관점에서 보자면, 초고속인터넷의 가용성은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변화를 이끌어내는 주요 동인이며, 이는 과학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그는 말했다.

    포스터는 자신의 연구소에서도 전세계 학계에 정보를 배급하는 그리드 컴퓨팅으로 인한 효용성을 체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초고속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는 자신의 연구 자료를 한 곳에 저장할 필요 없이 그야말로 글로벌 연구가 가능해지는 수준으로 이끌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아울러 그는 그리드와 혁신의 세계화가 서로 잘 조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포스터는 CERN의 연구 공동체에 의해 매년 15페타바이트(petabytes)의 데이터가 분석되고 있다고 밝혔다. 1페타바이트는 100만GB의 분량이며, 대략 10억 권의 책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다.

    CERN은 설립 이후 자연의 가장 근본적인 호기심 탐구를 위한 기초과학 연구는 물론, 각종 국제적인 대형 연구개발사업을 펼쳐왔으며, 또 미래 기술 발전을 위한 입자물리가속기 연구와 젊은 과학자와 기술자 양성에도 큰 역할을 해왔다. CERN은 1989년에는 월드와이드웹(WWW)을 개발해 전세계 인터넷 시대의 문을 열었고, 2000년 이후에는 소립자 힉스입자와 초대칭 입자의 발견을 목적으로 국제 공동 연구 실험을 하고 있으며, 데이터 처리를 위해 6,000대의 PC를 연결한 거대 그리드 컴퓨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37

    2017.11.11

    프랑스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폐쇄해야 할 대상 원전을 2018년 말까지 결정해야 한다고 Nicolas Hulot 환경부 장관이 2017년 10월 말 일간 Le Monde지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프랑스는 원자력발전 점유율을 현재의 75%에서 2025년까지 50%로 줄이는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Hulot 장관은 2018년 상반기 중에 에너지 전환에 관한 "green deal"을 밝힐 예정이라고 Le Monde지는 보도했다. 또한 원자력발전의 점유율을 50%로 낮추기 위해 여러 기의 원전을 폐쇄해야 한다면서 2018년 말까지 다개년 계획을 수립해 세부내용을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7월 Hulot 장관은 에너지 전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프랑스가 운영하고 있는 58기의 원전 중 최대 17기의 원전을 폐쇄해야 할지 모른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에너지 전환기간 중에 발생할 지 모르는 전력부족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고려되어야 한다고 다시 밝힌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겨울 보안점검을 위해 전체 원전의 1/3 가량을 정지했을 때 프랑스는 전력부족 위기를 겪은 바 있기 때문이다.

    올해 10월 27일 프랑스 전력회사인 EDF는 2017년도 원자력발전량 전망치를 축소하고 Tricastin 원전 재가동을 11월 말로 3주간 늦추면서 수익 목표치도 낮춘 바 있다. EDF는 지난 9월 프랑스 원전규제기관인 ASN(Nuclear Safety Authority)이 시설용량 3.6 GWe에 달하는 Tricastin 1~4호기의 운영을 특정 결함을 이유로 중지하라고 명령하자 원자력 발전량 목표치를 385~392 TWh로 낮춘 바 있으며 이번에 이를 다시 383~387 TWh로 낮춘 것이다. EDF는 규제기관이 지적한 발전소 경계를 이루는 수로 문제를 해결하고 규제기관의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EDF는 10월 27일 발표한 성명에서 시설용량 1,300MWe의 Paluel 2호기 재가동도 2개월 늦춘 2018년 4월 15일에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Paluel 2호기는 2015년 5월 운영을 중지하고 10년 주기의 계획예방정비에 돌입한 바 있다. 그러나 2016년 3월 정비작업 중 무게 450톤이 넘는 증기발생기 취급 도중 바닥에 충돌시켜 큰 손상이 발생했다. ASN은 최근 EDF측에 해당 증기발생기의 교체를 승인한 바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의존도,에너지 전환,증기발생기 2. dependence,energy transition,steam generator
  • 536

    2018.06.21

    일본 Saga 현에 있는 규슈전력(주)의 Genkai 원전 4호기가 전력생산을 재개한 일본의 9번째 재가동 원전이 되었다. 1,180 MWe급 가압경수로(PWR, pressurised water reactor)인 이 원자로는 올 7월 중순 상업운전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원자로심으로부터 제어봉을 인출하는 운전 프로세스가 2018년 6월 16일 개시되었다. 규슈전력 측은 6.19일 오후 2시 해당 원전으로부터 전력생산이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규슈전력 측은 발전기 출력을 서서히 올리면서 각 출력단계에서 발전소 상태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매 단계에서 일본 원전규제기관인 NRA(Nuclear Regulation Authority)가 수행하는 안전검사에 협조할 것이며 공정에 얽매이지 않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남아있는 각종 시험 및 확인절차 수행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규슈전력은 각각 2010년 10월과 2011년 12월에 가동을 정지한 Genkai 3,4호기를 재가동하겠다는 신청을 2013년 7월 NRA에 제출한 바 있으며 2017년 1월 NRA는 이 두 기의 1,180 MWe급 PWR가 새로운 안전규제기준을 만족한다고 판정한 바 있다. Saga현 주지사는 이로부터 3개월 뒤에 현의 지방의회가 재가동을 승인하자 이들 원전의 재가동을 최종 승인한 바 있다.

    이로써 Genkai 4호기는 일본 내 운영가능한 총 39기의 원전 중 새로운 안전규제지침 만족 여부에 대한 규제기관의 각종 검사를 모두 통과하고 재가동에 필요한 각종 행정절차를 완료하여 실제로 재가동에 성공한 9번째 원전이 되었다. 재가동에 성공한 다른 8기의 원전은 규슈전력의 Sendai 1,2호기 및 Genkai 3호기, 시코쿠전력의 Ikata 3호기, 간사이전력의 Takahama 3,4호기 및 Ohi 3,4호기 등이다. 또 다른 16기의 원전도 재가동을 신청해 놓은 상태다.

    일본의 경우 2030년 발전량의 20~22%가 원자력발전이 될 전망이며 이 수치는 신재생에너지와 비슷한 분율이 될 전망이다. 일본의 나머지 발전원은 석탄 26%, LNG 27% 및 석유 3%가 될 것으로 일본의 최종 에너지정책은 계획하고 있다. 이 에너지 정책은 특정 원전의 안전성이 확인되는 한 원전을 이용하자는 일본 정부의 정책이 반영된 결과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상업운전,가압경수로,신재생에너지원 2. commercial operation,PWR(pressurised water reactor),renewable source
  • 535

    2006.07.10

    영국 정부의 핵 조사단은 노후된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제기했다. 일부 원전은 발전기 핵에 균열이 가고 있다고 이 보고서는 주장했다. 정보공유법에 의해 얻어진 안전평가서는 핵안전위원회(Nuclear Safety Directorate, NSD)는 섬머셋(Sumerset)에 위치한 힌클리 포인트 B (Hinkley Point B) 원전과 다른 영국의 원자력 발전소의 발전기 핵의 노후현상에 대해 경고했다. 이 위원회는 힌클리를 비롯한 13개의 발전형 가스-냉각 원전 (advanced gas-cooled nuclear reators)을 조종하고 있는 브리티쉬 에너지 (British Energy)를 비판했다. 이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이 회사는 발전소 핵의 손상에 대해 모르고 있으며 이 노화현상을 감시할 수 없으며 왜 핵의 균열이 왜 일어났는가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6월에 NSD가 ‘AGR 발전기 조종에 있어서 중요한 규정상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NSD의 가장 최근의 힌클리 원전에 대한 안전평가는 지난 4월에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인 작동은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다. NSD는 당장 대중에 대한 방사선의 위험은 존재하지 않지만 동일한 디자인의 핵발전소의 장기적이고 영구적인 폐쇄조치를 가져올 심각한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조사관은 '청난 양의 방사능 누출은 가능한 시나리오가 아니다. 문제는 적은 규모의 사건으로 주의 깊은 예방책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불가피한 상황이다. 만일 이 원전들을 계속해서 작동한다면 그 위험은 점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보고서에서 NSD는 좀더 자주 영국의 모든 AGR 원자로에 대한 조사를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 조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원자로는 몇 주 동안 가동을 중지해야 한다. 하지만 이들 원자로에 대한 너무 서두른 작동중지는 전체 영국의 전기공급의 혼란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 힌클리 원자로의 폐쇄는 같은 시기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원자로 핵에 균열이 생긴 것으로 알려진 세 개의 다른 원자로의 폐쇄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노후된 원자로의 흑연벽돌로 건설된 핵에 생긴 균열은 몇 해 동안 관찰되었지만 이 문제가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브리티쉬 에너지사는 2004년에 핵에 발생한 균열로 인해 힌클리 포인트 b, 헌터스턴 B(Hunterston B), 헤이셤 2(Heysham 2), 그리고 토네스(Torness) 원자로는 30년의 수명을 연장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이 문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알려지지 않았다. 브리티쉬 에너지사는 AGR 핵발전소의 수명을 연장시키려고 하고 있지만 지역 핵발전소 감시단체인 ‘스톱 힌클리(Stop Hinkely)’를 통해 보고서를 얻은 그린피스는 만일 브리티쉬 에너지사가 안전성을 증진시키지 못한다면 이 원자로들은 폐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보고서는 정부가 에너지정책에 대한 조사결과를 2주 안에 발표하고 수상인 토니 블레어와 재무부 장관인 고든 브라운이 함께 새로운 차세대 원자로 건설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중요한 상황에서 발표되었다. 어제 수상은 하원의 대외관계 위원회에서 2003년 에너지 백서 발표 이후 자신의 원자력 발전에 대해 지지입장으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솔직하게 말해서 나의 의견을 바꾸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에 조언자이며 그린피스에 대해 FoI 보고서를 조사한 독립 핵에너지 엔지니어인 존 라지(John Large)는 힌클리 핵발전소를 계속 작동시키는 것은 대중안전상의 도박이라고 말했다. AGR형 원전의 폐쇄를 주장하면서 그는 '이들 핵발전소는 즉각 폐쇄되어야 하며 불확실성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엄격한 핵안전장치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작동을 중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NSD가 수상인 블레어의 핵발전에 대한 입장발표로 인해 힌클리 포인트 핵발전소의 폐쇄요구를 주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핵발전소 조사관들이 정치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핵발전소의 폐쇄를 결정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2005년 6월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조사관들은 영국의 AGR 핵발전소에 대한 결론에서 '나는 핵발전소의 핵 손상으로 인한 기능상의 안전성의 결과에 있어서 높은 불확실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평가인들은 핵발전소의 허가과정에서 엄격한 논의를 하지 않는다면 발전소 핵손상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4년 평가에서 조사관은 브리티쉬 에너지사의 명확성의 부족에 대해 불평하면서 발전소의 핵의 기능예측에 있어서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모든 AGR 핵발전소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브리티쉬 에너지사의 노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브리티쉬 에너지사는 어제 NSD에 대해 새로운 증거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대변인은 '만일 핵발전소의 건강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관이 핵발전소의 안전에 대해 확신이 없다면 우리는 발전소의 작동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번 평가보고서는 현재 진행중인 규제과정의 일부분이다. 핵안전위원회는 브리티쉬 에너지의 흑연에 대한 진척상황을 조심스럽게 조사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현재 이 회사가 수행하고 있는 핵발전기의 핵에 대한 조사에 참가할 수 있을 것이다. 브리티쉬 에너지사는 다른 발전기가 작동하는 동안 핵에 대해 조사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 이 방안은 핵발전소의 핵의 상황을 재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린피스의 위원장인 스티븐 틴데일(Stephen Tindale)은 '이 보고서들은 정부의 무능력과 핵의 균열을 알고 있으면서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브리티쉬 에너지사의 무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 techtrend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영국 노후된 원전의 위험
  • 534

    2005.02.07

    ◈ 의료 로보틱스 분야에 대한 인공 지능의 적용 의료 분야에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적용하는 사례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인공 지능은 환자의 질병에 대한 신뢰성 있는 진단과 적당한 처방을 지원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 X선 사진 촬영(CT, Computerized Tomography), 핵자기 공명(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디지털 혈관 촬영법(Digital Angiography) 등과 같은 임상 시험(Clinical Examination)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의료 분야에 채용되고 있다. 로봇 시뮬레이터는 지능형 경로 계획기에 의해 생성된 경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시험 단계에서 수행할 동작을 선택하는 이 로봇 시뮬레이터는 기구학적 특성이 잘 알려진 상용 푸마(PUMA) 560이 사용됐다. 시뮬레이션 시험 결과는 의사에 의해 자연 언어로 표현된 요구조건만으로 시작되는 가상 환경에서 수술 동작을 효과적으로 재현했다는 면에서 만족스러웠다. 앞으로 기존의 의료 로봇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제 수술실에서 신경외과 수술에 적용할 목적으로 전체 수술 로봇 시스템의 작동 시제품을 얻기 위한 연구 개발이 계속될 것이며, 그 결과도 철저히 시험될 것이다.(출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태리, 토리노에는 수소버스가 달린다. 이태리 토리노시의 중심가 파라소 광장에서 수소버스 'City Class Iveco Iribus'가 운전 개시 되었다. 이 수소버스는 완성 후 수많은 테스트를 거쳐 이태리 수소버스로서는 최초로 공공 도로상의 운전이 인가되었다. 2004년 11월 20일 운전 개시식에는 환경성, 시장 등이 참여하여 버스에 동승하였다. 수소 버스 운전 개시 상황을 이태리 국영 방속 'RAI3'의 환경방송에서도 생중계하여어, 독일 뮌헨 국제공항을 달리는 수소버스와 함께, 토리노의 수소버스를 소개하였다. 6개월 간 공공 도로상에서의 운전 테스트 후, 배출가스 제로의 이 수소버스는 2005년 6월 경부터 토리노 시내의 정기버스로서 운행을 개시한다. 이 수소버스는 길이 12m, 폭 2.5m로, 가스상 수소 탱크 9개를 가진 특수전기 견인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항속 시간은 12시간이며, 최고시속은 60km이다. 좌석 수 21개, 입석객 51명, 신체 장애인 승객 1명을 실을 수 있다. (출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33

    2018.10.04

    중국 Jiangsu성의 Tianwan 원전 4호기가 최초로 핵분열 연쇄반응에 성공함으로써 준공에 한발 더 다가섰다. 러시아가 공급한 이 VVER-1000형 원전은 올 해 말 경 전력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Tianwan 원전 1단계사업인 1,2호기는 1992년 중국과 러시아 간에 체결된 협력협정에 따라 건설되었다.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1999년 10월에 있었으며 2007년 6월과 2007년 9월 상업운전에 돌입한 바 있다.

    Tianwan 원전 2단계인 3,4호기는 1단계와 원자로 구성이 같아 러시아Gidropress가 설계하고 Rosatom이 공급한 AES-91형 VVER-1000 원자로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12월 건설에 착수한 3호기는 2017년 9월 29일 최초 임계에 도달했으며 12월 30일 계통병입되었으며 2018년 2월 15일 상업운전에 들어간 바 있다.

    총 163다발에 달하는 핵연료집합체에 대한 Tianwan 4호기 장전은 올 8월 25일 착수되어 9월 2일 완료되었다. 핵분열 연쇄반응 최초 도달을 뜻하는 최초 임계에는 9월 30일 오후 2시27분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업운전은 2019년 3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Tianwan 원전 3단계 건설을 위한 5개년 계획 추진에 가속이 붙고 있다. 중국 국무원(State Council)은 Tianwan 원전 3단계인 5,6호기 건설허가를 2015년 12월 16일 발급한 바 있는데 중국이 설계한 1,080 MWe급 ACPR1000 원전이 들어갈 예정이다. 최초 안전성관련 콘크리트 타설은 5호기가 2015년 12월 27일, 6호기는 2016년 9월 7일이뤄진 바 있다. CNNC는 5,6호기 모두 2021년 말 경 상업운전을 계획하고 있다.

    올 6월 8일 러시아와 중극은 Tianwan 원전 7,8호기로 2기의 VVER-1200형 원전을 건설하고 Liaoning성 Xudabao 신규부지에도 같은 노형 2기를 건설한다는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 Tianwan 원전을 소유하고 있으며 운영까지 맡게 될 JNPC(Jiangsu Nuclear Power Corporation)는 조인트벤쳐로 CNNC가 50%, China Power Investment사가 30%, Jiangsu Guoxin 그룹이 20%를 투자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핵분열 연쇄반응, 최초임계, 상업운전 2. sustained chain reaction, first criticality, commercial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