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9/1,246

검색
  • 12378

    2024.02.29

    ◻ 연구개요 1. 환자맞춤형 방사선치료를 위한 딥러닝(인공지능) 기반 CT/CBCT (Cone-beam CT) 영상의 금속인공음영 제거 기술 개발 2. 개발된 금속인공음영 제거 기술을 적용한 CT 영상을 기반으로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 및 분석을 통한 기술의 임상적 유효성 평가 3. 기술 이전을 통한 환자맞춤형 고품질 방사선치료계획 수립 기여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딥러닝 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셋 구축 • 두경부암 환자의 CT 영상 데이터셋 구축 완료 •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한 금속인공음영 시뮬레이션 데이터 생성 완료 (총 92,806장) 2. CT/CBCT 금속인공음영제거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 • 우수한 성능의 CT/CBCT 금속인공음영 제거 딥러닝 모델 학습 완료 • 개발된 금속인공음영 제거 모델의 정량적/정성적 성능 평가 완료 (여러 딥러닝 비교 모델들과의 성능 비교 및 검증 완료) 3. CT/CBCT 금속인공음영제거 모델의 타기관 검증 수행 • 개발된 모델의 타기관 데이터에서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TCIA (The Caner Imaging Archive) 로부터 외부 데이터셋을 획득 • TCIA 데이터에의 적용 및 평가를 통해 타기관 성능평가 수행 완료 4. CT/CBCT 금속인공음영제거 모델의 임상적 유효성 평가 •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와의 협력을 통한 임상적 유효성 평가 진행 • 방사선치료계획 수립 및 방사선량 평가를 통해 임상적 유효성 평가 완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연구결과의 의미 및 중요성 • 본 과제를 통해 CT/CBCT 영상을 위한 우수한 성능의 인공지능 기반 금속인공음영 제거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음 • 개발된 기술을 통해 환자맞춤형 방사선치료계획 수립 및 치료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2. 연구 성과의 활용방안 및 활용 분야 •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딥러닝 모델의 임상적 유효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기술이전 등을 통한 실용화 가능 • 제품화된 방사선치료용 CT/CBCT 금속인공음영 제거 플랫폼을 도입할 경우, 방사선종양학과 의료진이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 개발 예정 기술의 고도화 및 의료진의 수요 발굴을 통해 다양한 연구 주제로 후속연구가 진행될 수 있음 3. 기대효과 • 금속인공음영 제거로 인한 방사선치료계획 수립의 정밀도 향상을 통해 환자 맞춤형 방사선치료를 제공함으로써, 두경부암 환자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방사선 치료 효과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함 • 방사선의학과 딥러닝(인공지능) 분야를 접목하는 융합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며, 두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 인력 양성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민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컴퓨터단층영상;금속인공음영제거;딥러닝;방사선치료; 2. Computed Tomography;Metal Artifact Reduction;Deep Learning;Radiation Treatment;
  • 12377

    2024.02.29

    ◻ 연구개요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5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게서 나타나는 실명 질환으로 약 70~80%의 AMD 환자가 건성 노인성 황반변성을 앓고 있으며, 발병 기전이 분명하지 않아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망막과 맥락막 사이에 위치하여 시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망막 색소 상피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의 변성과 손상이 건성 노인성 황반변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CCN5가 망막 색소 상피의 변성을 억제하여 노인성 황반변성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과 CCN5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Adeno-associated virus (AAV), modified mRNA (ModRNA) 및 self-amplifying RNA (saRNA)를 매개로 한 CCN5 발현 확인: CCN5 유전자가 삽입된 AAV 또는 mod RNA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망막과 망막 색소 상피에서 AAV2-CCN5의 발현을 IHC와 WB로 확인하였다. ModRNA-CCN5의 발현은 ICC와 WB를 통해 확인하였고, 24시간 만에 CCN5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RNA-seq & ChIP-seq: TGF-β에 의한 ARPE-19 세포의 상피-간엽 이행과 CCN5에 의한 간엽-상피 이행에 어떠한 유전자들이 관여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RNA-seq을 진행하였다. 섬유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들이 TGF-β에 의한 ARPE-19 세포의 상피-간엽 이행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음 단계로 CCN5가 이러한 상피-간엽 이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있다. 면역질 면역 침강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을 진행하기 위해 CCN5 또는 tag와 반응하는 항체를 선별하였고, 그 항체를 이용하여 침전된 chromatin에서 변화를 확인 중에 있다. 동물 모델에서의 AAV2-CCN5 치료 효과 검증 : Sodium iodate 주사로 망막에 손상을 유도하여 노인성 황반변성모델을 유도하였다. AAV2-CCN5를 주사한 그룹에서는 이러한 sodium iodate에 의한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망막 전위도 검사에서도 AAV2-CCN5를 통한 손상 방지를 확인하였다. 망막 기능검사에서도, AAV2-CCN5를 주사한 그룹의 경우, 망막의 기능이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능 저하의 작용기전을 확인하고자, sodium iodate에 의해 망막의 outer nuclear layer (ONL)에서 세포사멸이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CCN5에 의해 이러한 세포사멸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AV2-CCN5는 sodium iodate에 의한 망막 손상으로 인한 망막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CN5가 건성 노인성 황반 변성의 치료제가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현재 CCN5가 망막 색소 상피에서 어떠한 기전으로 간엽-상피 이행을 유도하는지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를 통해 CCN5에 의한 간엽-상피 이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동정하고 그 유전자들이 CCN5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밝혀낸다면 건성 노인성 황반 변성 뿐 아니라 망막 색소 상피 손상 및 변성으로 생기는 안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CN5를 노인성 황반 변성 유전자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하며, 이에 관한 특허는 국내 등록이 완료되었다. 국내 벤처 기업인 ㈜올리브바이오테라퓨틱스에 기술이전이 완료되어 임상 연구로 진행될 예정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우진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노인성 황반변성;유전자 치료제;망막 색소 상피;간엽-상피 이행; 2. CCN5;EMT;
  • 12376

    2024.01.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ㅇ 신규원자력시설에 대한 안전조치 방법론 도출을 위해 안전조치성 평가 프로그램 및 설계단계 안전조치 강화 방법론을 개발하고, 신규원자력시설에 대해 안전조치 강화방안 도출 사례 연구를 수행 ◼ 전체 내용 ㅇ 신규원자력시설 시설모델 구축 ㅇ 안전조치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ㅇ 신규원자력시설 안전조치성 평가 ◼ 1단계 ❏ 목표 ㅇ 안전조치성 평가를 위한 신규원자력시설 시설모델 구축 ㅇ 안전조치성 평가방법론 개발 ㅇ 안전조치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 내용 ㅇ 신규원자력시설 선정 및 개념 분석 ㅇ 신규원자력시설 안전조치성 평가인자 구축 ㅇ 신규원자력시설 시설모델 구축 ㅇ 신규원자력시설 안전조치성 평가방법론 개발 ㅇ 신규원자력시설 안전조치성 기초평가 ㅇ 신규원자력시설 안전조치성 평가프로그램 개발 □ 연구개발성과 ㅇ 신규원자력시설 안전조치성 평가프로그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ㅇ 국내 신규원자력시설의 설계단계 안전조치 적용을 위한 지침 개발에 활용 ㅇ 국내 안전조치 규제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국가 핵투명성 및 핵비확산 신뢰도 제고 ㅇ 국제 핵비확산 체제 국내 기여 및 주도권 확보에 활용 ㅇ 미래 신규원자력시설의 설계단계 안전조치 적용을 위한 규제 기술 확보 ㅇ 국내 신규원자력시설의 수출 경쟁력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봉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200
    • Keyword : 1. 안전조치성 평가;설계단계안전조치;전용경로;신규원자력시설;안전조치 규제; 2. Safeguardability Assessment;SBD (Safeguards By Design);Diversion Path;New Nuclear Facility;Safeguards Regulation;
  • 12375

    2024.02.29

    □ 연구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종자발달 돌연변이들을 이용하여 세포학적 분석 및 분자적 기작을 연구하고, 최종적으로 배유와 배 발달 시 관계를 규명한다. 또한, 주요 조절 유전자들을 동정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종자 발달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 전체 내용 배유의 세포 수는 종자 무게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초기 배유세포 발달 연구를 통해 이 기작을 잘 이해하는 것은 곡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초기 배유 발달 연구를 위해, 본 과제의 선행 연구로 배유가 발달하지 않는 돌연변이 enl2-1을 선발하였고, 표현형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인 OsCTPS1을 동정하였다. 돌연변이 관찰 시 CTP synthase(CTPS)가 RMS 형성 및 핵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osctps1는 RMS 형성 및 핵 이동을 연구하기에 좋은 자료이며, 초기 배유 발달 시 이에 대한 조절 기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OsCTPS1-GFP 형질전환체를 제작하고 배유의 핵분열시기에 관찰했을 때, syncytium 단계에서 filamentous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OsCTPS1의 발현은 배유 발달 시 일정하게 나타나는 데, 구조와 효소의 활성도를 조절하는 다른 단백질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배유 발달이 저해된 돌연변이는 배가 크게 발달하는 표현형을 보인다. 이는 배유가 발달하며 배의 정상적 발달을 위한 억제인자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osctps1 변이체를 이용하여 배유발달 시 배 형성을 조절하는 인자를 분리하고자 한다. 배유와 배의 조절은 종자의 양과 질을 결정한다. 벼에서 배유의 부분을 줄이고 배(쌀눈)의 비율을 늘이면 고품질의 쌀이 된다. 반면, 배유의 세포가 증가하면 종자의 무게가 증가한다. 배유와 배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를 이용하면 벼의 양과 질을 향상시키는 좋은 연구가 될 것이다. ◼ 1단계 ❏ 연구 목표 ○ 벼의 초기 종자발달 조절 기작 규명 ○ 배유 발달 초기 핵분열과 핵 이동을 조절하는 분자 기작 규명 ❏ 연구 내용 ○ 배유 결핍 돌연변이체인 enl2-1 원인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해 map-based cloning을 수행했으며, Os01g43020 유전자의 SNP로 인해 CTP synthase의 효소 활성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음 ○ OsCTPS1 단백질이 초기 종자발달 시 일시적 구조를 형성하며, 배유핵 분열시 중요한 RMS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관찰함 ○ 초기 종자 발달시 배낭을 선별하여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배유가 없는 osctps1 돌연변이에서는 auxin response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음 ○ 또한, 초기 종자들의 전체 단백질체 분석을 수행하고, 배유핵 분열시 주요하게 작용하는 그룹들을 선발함 ○ OsCTPS1 단백질은 초기 종자발달 시 단백질의 축적이 많이 이루어지며, 이를 조절하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protein-immunoprecipitation 단백질들의 분석을 수행하였고, 관심있는 후보 단백질들을 선발함 ○ 기존 벼에서 알려진 배-배유 발달시 중요한 유전자들의 marker를 이용하여 GFP를 발현시킨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추후 연구에 이용하고자 함. ○ 배유 발달 및 종자 발달에 관련된 중요한 유전자와 단백질의 기능과 상호작용을 연구 ○ Auxin의 역할과 상호작용이 종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하게 조사하기 위한 초기 재료를 마련함. ○ GIANT EMBRYO 유전자 등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보이는 마커들을 통해 벼의 초기종자발달을 연구하기 위한 형질전환체 준비 ◼ 2단계 ❏ 연구 목표 ○ 배유가 배 발달을 조절하는 분자 기작 규명 ○ 벼의 초기 종자발달 연구로 종자의 양과 질을 증가시키는 방법 개발 ❏ 연구 내용 2단계 연구에서는 벼의 초기 종자발달과정에서 분자의 기작을 규명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Multi-omics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기 종자 발달 시 옥신 반응 및 RNA helicase, MCM 등의 단백질에 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PTM 분석을 통한 신호 전달 기작에 대한 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배와 배유 사이의 발달 및 신호전달, 신호전달 인자, 그리고 CLE peptide와 auxin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 연구성과 ◆ 정성적 연구 성과 ○ 초기 배유 발달에 주요한 OsCTPS1 유전자 동정 및 핵분열 시 분자적 가작 규명 ○ 종자발달 조절 유전자들을 이용하여 종자의 양과 질을 증가시키는 연구 ○ multi-omics 분석을 이용한 초기 종자 발달 단계 분자적 기작 연구 ○ 배, 배유사이 상호작용 관찰을 위한 마커 형질전환체 제작 ◆ 정량적 연구 성과 ○ 초기 종자발달 연구 - Plant Biotchnology Journal (2021) IF: 13.263 ○ 종자발달에 영향을 주는 영양생장발달 및 sucrose와 sink tissue 조절 과정 연구 - The Plant Journal (2022) IF 7.2 -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3) IF 5.6 ○ 초기 종자발달 및 초기 유수 발달과정에서 전사체, 단백질체 분석을 통한 분자적 기작 연구 - Plant Cell and Environment (2023) IF 7.3 - Plants(Basel) (2023) IF 4.5 □ 연구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 이 연구의 결과는 벼의 초기 종자발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농업 및 식량생산 분야에 다양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 도입된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하여 원하는 부위의 정확한 교정으로 원하는 형질을 이끌어 내 고품질의 쌀을 개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 종자발달 관련 유전자들을 동정하고, 이에대한 분자적 기작을 연구하면, 기존에 벼에서 알려진 natural variation과 수많은 품종들의 분석으로 만들어진 GWAS data와 접목하여 천립중 및 종자의 양과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작물에 대한 효과적인 품종화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다. ○ 초기 종자발달시 다양한 multi-omics 분석을 통해 얻는 다양한 기초자료는 초기 종자발달 연구 분야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 및 응용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진미
    • 주관연구기관 : 인하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종자발달;배유;배;핵분열;천립중; 2. seed;endosperm;embryo;nuclear division;1000-grain weigth;
  • 12374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전략적이고 신속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협업을 통한 철저한 주민 보호 역량 강화와 국민 신뢰 제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을 위한 협업기관의 명확한 임무 규정 및 대응매뉴얼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최선의 주민보호를 담보할 기관간 협업체계와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전체 내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현황 및 체계 분석 : 현행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각 기관의 역할과 책임 및 협업구조와 커뮤니케이션 수준 진단 - 현행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현황 및 체계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기관별 인식 분석 - 미국․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군·경·소방 임무 조사 - 체르노빌․후쿠시마 사고시 군·경·소방 역할 및 피해상황·레슨런 조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방안 도출 : 주요 선진국(미국, 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개선방안 도출 - 미국․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및 규제기관의 역할 분석 - 대한민국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설계 및 작성 : 각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매뉴얼 분석 및 공동 협업매뉴얼 작성 -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검토 및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인쇄본 및 앱버전 출판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협업매뉴얼을 적용한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교육․훈련 및 시스템 구축 - 미국․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계획 수립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신뢰 제고방안 구성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과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 신뢰 제고 방안 제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및 대응과 각 기관에 대한 언론보도 네트워크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과 각 기관에 대한 국민 인식 탐색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과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 신뢰를 위한 규제 커뮤니케이션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관련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의 실효성 제고를 통한 관련 법령 검토와 개선방안 도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검토 - IAEA 방사선방호에 관한 기준(GSR Part 7)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개선 방안 도출 ◼ 1단계 ❏ 목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전략적이고 신속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협업을 통한 철저한 주민 보호 역량 강화와 국민 신뢰 제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을 위한 협업기관의 명확한 임무 규정 및 대응매뉴얼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최선의 주민보호를 담보할 기관간 협업체계와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내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현황 및 체계 분석 : 현행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각 기관의 역할과 책임 및 협업구조와 커뮤니케이션 수준 진단 - 대한민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현황 및 체계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기관별 인식 분석 - 미국의 원전사고 대응체계 및 협업구조 분석·공조기관의 역할 - 후쿠시마 원전사고 대응체계 및 협업구조 분석·공조기관의 역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방안 도출 : 주요 선진국(미국, 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개선방안 도출 - 미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및 규제기관의 역할 분석 - 대한민국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설계 및 작성 : 각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매뉴얼 분석 및 공동 협업매뉴얼 작성 -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검토 및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협업매뉴얼을 적용한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교육․훈련 및 시스템 구축 - 대한민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분석 - 미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관련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의 실효성 제고를 통한 관련 법령 검토와 개선방안 도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검토 - IAEA 방사선방호에 관한 기준(GSR Part 7)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개선 방안 도출 ◼ 2단계 ❏ 목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전략적이고 신속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협업을 통한 철저한 주민 보호 역량 강화와 국민 신뢰 제고, 또한 협업을 위한 대응 매뉴얼 개발 및 협업체계에 따른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내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시 공조기관의 협업 매뉴얼 작성 - 원전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에 대한 기관의견 청취 - 원전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2.0 개발 - 원전사고 및 방사선 비상시 협업매뉴얼 앱버젼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공조기관의 교육훈련시스템 구축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시범적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에 대한 기관 의견 청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 비상시 협업 교육훈련시스템 2.0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 관련법령 개선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오피니언리더 의견 수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실효성 제고를 위한 관련법령 개선방안 도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 관련 법령 법령개선을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관련 법령 개선안 제안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신뢰 제고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한 전문가 및 오피니언리더 의견 수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규제커뮤니케이션 방안 제시 □ 연구개발성과 ○ N-STAR 보고서 6건 ○ 홍보실적 1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소방 표준 대응매뉴얼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각 1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공조기관 협업매뉴얼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각 1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과 대응에 대한 규제커뮤니케이션 매뉴얼 ○ 학술대회 발표 7건 - 원자력학회: 3건, 화재소방학회: 1건, 인간공학회: 2건,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역할 및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함으로써 재난 대응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 최소화에 기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관련 기관의 위험에 대한 왜곡된 인식 해소와 협업을 통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 자신감 제고에 기여 - 각 기관의 협업을 통한 위험에 대한 왜곡된 인식 해소와 대응 자신감 제고에 기여 - 도심 테러 등 방사능물질 누출사고 발생시, 신속정확하며 실효성 있는 협업적 대응을 통해 자연환경 및 국민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기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을 통한 최선의 주민보호 조치를 토대로 회복탄력성 확보에 기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국민의 신뢰 제고에 기여 - 복합재난 발생 시 대응력 강화에 기여 - 만약의 경우 발생 시 혼란 방지 및 실질적 피해 최소화 - 원전 수출시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 협업 매뉴얼 팩키지에 포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사언
    • 주관연구기관 : 스탠더드시험연구소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방사선비상;협업체계;원자력 사고;회복탄력성;소방 대응; 2. Radiation Emergency;Collaboration System;Nuclear Accident;Resilience;Firefighting;
  • 12373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ㅇ 원자력전용품목의 불법이전 차단 기반 기술 개발 - 전략물자 DB화 및 모델링(원자력전용품목) - 전략물자 불법이전 차단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전략물자 식별 알고리즘 개발 ◼ 전체 내용 ㅇ 전략물자 DB화 및 모델링(원자력전용품목) - IAEA 북한 안전조치 관련 자료 및 국내외 자료를 활용한 북한 원자력전용품목 관련 시설 및 장비 DB 구축 - 북한시설 및 장비 DB 중 주요장비 선별 및 NSG 핸드북과 비교·평가 ※북한 핵심물품 도면 획득 제한 시 가장 유사한 장비로 대체 ㅇ 전략물자 불법이전 차단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핵심장비 이동가능 주요방법 및 경로 검토 - 불법이전 차단 시나리오 개발 및 위험도 평가 ㅇ 전략물자 식별 알고리즘 개발 - 물품 식별, X-ray 화물검색 기법 및 비정형 이미지 노이즈 처리 사례 및 기법 검토 - 2D기반 식별 알고리즘 개발 - 핵심장비 식별 알고리즘 개발 ◼ 1단계 ❏ 목표 ㅇ 기초 자료 조사 및 주요품목 DB 구축 ❏ 내용 ㅇ 전략물자 DB화 및 모델(원자력전용품목) - 원자력전용품목 관련 시설 및 장비(영변 연구로, 재처리 시설, 가공 시설, 플루토늄 금속변환 시설, 우라늄 농축 시설, 육불화우라늄 금속변환 시설 등) 조사 및 분석 - 주요시설 및 원자력전용품목 연관성 분석·비교 - 핵주기 핵심장비 선정 방법론 개발 및 DB화 - 핵심장비 및 부품 이미지 DB 구축 ㅇ 전략물자 식별 알고리즘 개발 - 물품 식별 기법 조사 및 검토, 물품 식별 기법 조사 및 적용 가능 방안 검토 - X-ray 화물검색 및 항만 방사선감시기 기법 조사 및 검토 - 비정형 이미지 노이즈 처리 사례 및 기법 검토 ◼ 2단계 ❏ 목표 ㅇ 불법이전 식별 알고리즘 개발 및 시나리오 기반 위험도 평가 ❏ 내용 ㅇ 전략물자 DB화 및 모델(원자력전용품목) - 핵심장비 및 부품 이미지 DB 구축 ㅇ 전략물자 불법이전 차단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핵심장비 이동가능 주요 경로 및 방법 검토 - 핵심장비 불법이전 차단 시나리오 개발 및 리스크 평가 ㅇ 전략물자 식별 알고리즘 개발 - 물품 식별 알고리즘 개발 - 적용성 평가 및 식별 알고리즘 최적화 □ 연구개발성과 ㅇ 전략물자 DB화 및 모델(원자력전용품목) - 전략물자 DB 구축 및 핵심장비 선정 - 핵심장비 2D 모델(※북한 핵심물품 도면 획득 제한시 가장 유사한 장비로 대체) ㅇ 전략물자 불법이전 차단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핵심장비 이동가능 주요방법 및 경로 도출 - 시나리오별 위험도 평가 ㅇ 전략물자 식별 알고리즘 개발 - 이미지 유사도 측정 및 핵심장비 식별 알고리즘 개발 ㅇ 정량적 성과 - 원자력안전성과 : 안전기술보고서 7건, 규제정책제안 2건 - 저널논문 게재 : SCI 1건, 비SCI 1건 - 학술대회 발표 : 국외 학술대회 발표 2건, 국내 학술대회 발표 21건 - 특허 및 소프트웨어 : 특허 1건 출원, 소프트웨어 등록 1건 - 성과홍보 : 성과홍보 4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ㅇ 원자력핵심품목DB는 원자력 수출통제 규제 업무(전문판정, 수출허가 등)에 활용 ㅇ 대외 공개가능한 원자력 핵심품목 3D모델링 및 모형은 원자력품목 수출 관련 전시회 혹은 KINAC 비핵화 상황실 전시 용도로 사용하여 수출통제 제도 및 기관 홍보에 활용 ㅇ 불법이전 시나리오 개발 및 위험도 평가를 수행한 방법론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수출통제 미비점 확인 및 개선 가능 ㅇ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의 원자력전용품목의 불법 이전을 사전에 차단하여 주변국의 핵개발 능력 보유를 사전에 방지 ㅇ 북한 내 모든 원자력핵심품목에 대한 DB 구축을 통해 핵심장비의 체계적 관리에 기여 ㅇ 신규 기법의 기존 항만보안검색 시스템 규제 적용을 통한 국가 안보 향상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찬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수출통제;원자력전용품목;전략물자;불법이전;위험도 평가; 2. Export Control;Trigger List Items;Strategic Items;Illicit Transfer;Risk Assessment;
  • 12372

    2024.02.29

    □ 연구개요 본 연구과제는 양자플라즈마(quantum plasma)에서의 파동-플라즈마 및 플라즈마-플라즈마 상호작용 연구를 위하여 양자플라즈마의 경계면에서 전파되는 표면파의 감쇄 및 성장과 원자충돌 현상에 의한 산란단면적에 작용하는 양자효과와 비선형 플라즈마 차폐효과를 연구하여 양자플라즈마의 물리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양자플라즈마, 고밀도 천체플라즈마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양자 플라즈마 현상을 탐구하는 과제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모든 연차별 목표를 100% 달성하였다. 특히 최초 선정시 계획에 없었던 추가연구를 수행하여 2차년도에는 강하게 결합된 플라즈마에서 Wigner time-delay, lower-hybrid surface wave, space charge wave in a self-gravitating plasma, 3차년도에는 충돌 플라즈마에서의 이온 온도 효과, 난류가 란다우 감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 당초 계획한 연차별 목표는 다음과 같으며 이를 모두 달성하였다. (1) 1차년도 연구목표: 양자플라즈마 표면파 및 전자산란 연구 - 양자플라즈마 및 비평형 (r, q) 표면파의 분산식 및 성장률 계산 - 양자플라즈마에서의 Compton 산란 계산 (2) 2차년도 연구목표: 양자이온음파 표면파 및 Shannon Entropy 연구 및 추가연구 - 양자이온음파, 난류플라즈마 등의 표면파의 분산식 유도 및 성장률 계산 - 강하게 결합된 플라즈마에서의 원자 Shannon Entropy 계산 (3) 3차년도 연구목표: 강하게 결합된 양자 플라즈마에서 불안정성과 제동복사 연구 및 추가연구 - Two-stream 불안정성의 양자적 효과 계산 - 원통형 플라즈마에 대한 TG mode 연구 - 양자플라즈마에서의 전자-이온 제동복사 계산 (4) 4차년도 연구목표: 양자더스트 표면파 및 양자플라즈마 OST 연구 - 더스트 플라즈마에서의 양자적 효과 및 표면파 계산 - 양자 streaming 플라즈마에서의 표면파의 불안정성 계산 - 양자플라즈마에서의 occurrence scattering time (OST) 계산 (5) 5차년도 연구목표: 양자플라즈마 파동의 비선형 효과 및 이온화 연구 - 비선형 효과가 양자플라즈마 표면파에 미치는 영향 계산 - 전하포획 계산, Photoionization 계산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양자플라즈마 내에서 표면파의 불안정성과 여러 원자 층돌현상에 대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이상적 플라즈마 또는 약하게 결합된 플라즈마를 나타내는 고전적인 Debye 가림 모델로는 여태껏 설명하지 못하였던 양자효과, 비선형 가림효과, 중성충돌 효과등의 변화에 따른 양자플라즈마 표면파의 불안정성과 여러 충돌 과정에 대한 산란 단면적 및 반응률의 변화를 조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원자 천이율(atomic transition rate)을 알아내고, 또한 이로 인하여 방출되는 연속 혹은 불연속 방사 스펙트럼을 보다 명확히 이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양자플라즈마 내에서 전자분포 형태와 결합 파라미터(coupling parameter), 축퇴파라미터(degeneracy parameter) 등 여러 플라즈마 파라미터들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이들 양자플라즈마로부터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조사,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명재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양자플라즈마;표면파;란다우감쇄;제동복사;횡적 축약 방법; 2. quantum plasma;surface wave;Landau damping;bremsstrahlung radiation;transverse truncation method;
  • 12371

    2024.02.29

    □ 연구개요 선행적 재활치료를 통해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림프부종을 감소시키고, 치료 후 발생한 림프부종 증상완화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며, 더불어 유방암 치료 후 발생하는 수술흉터 구축, 유착성 관절낭염, 근위축, 피로도 증가 같은 근골격계 합병증 또한 예방하여, 최종적으로 기존의 유방암 환자 방사선 치료요법과 함께 시행할 수 있는 병용 재활치료 프로토콜을 정립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방사선-재활치료 프로토콜 확립 - 유방암 방사선 치료 후 림프순환 마사지 및 운동프로그램 설립 - 4주간의 단계적 재활운동 프로그램 정립 2. 방사선-재활치료 연구 진행 - 사전 검사(부종, 어깨관절 운동범위 평가) 진행 - 연구 전, 후 림프신티그래피 진행 - 림프부종 예방 재활치료 시행(도수림프배출법 및 근골격계 회복운동) - 삶의 질 및 피로도 설문 진행 3. 환자군 모집 - 총 31명의 환자 등록, 6명 환자 중도탈락, 최종 25명 환자가 최종 등록됨. 4. 연구 현황 및 관련 논문 - 최초의 편측의 유방암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예정된 환자 중 연구를 희망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환자 모집에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 감안하여 연구 3년차 종료시점까지 환자군 모집을 진행하였음 - 3년차 종료시점까지 모집된 환자 31명의 데이터를 분석 및 논문 초안 작성 중에 있으며, 1년 이내에 논문으로 출판할 예정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유방암 환자에게 방사선 치료와 병행하여 선행적 림프부종 재활치료를 적용함으로써, 림프부종의 발생률을 감소 또는 완화시키고 동반되는 많은 근골격계 후유증들을 조기에 억제 및 예방하여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며, 지속적인 유방암 치료 진행에 있어 치료 순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임. 재활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및 핵의학과 등 유방암 치료의 다학제적 연계를 통해 환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만족도와 삶의 질의 높은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도환권
    • 주관연구기관 : 인제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림프부종;유방암;재활;방사선치료;회복운동; 2. Lymphedema;Breast cancer;rehabilitation;Radiation therapy;Remedial exercise;
  • 12370

    2024.02.29

    □ 연구개요 유방암 치료과정에 있어 술후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 방지 및 사망률 감소 측면에서 필수적인 치료임. 치료와 연관된 방사선 연관 심장 질환(예: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혈관 사망 증가)은 보통 3-10년 후 발병하지만, 심근의 미세변화는 방사선 치료 2-3개월 후부터 시작됨. 심근의 변화는 한번 발생하면 비가역적, 장기화되거나 치명적인 질환으로 갈 수 있기에 초기(Window period)에 발견하여 치료하거나 이를 예방하는 방사선치료 기법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본 연구를 수행함. 본 연구에서는 18F-FDG PET CT, 심초음파 및 혈액학적 검사(CBC, Chemistry, BNP, NTpro-BNP, ST2 등)를 시행하여 심근 독성 조기 발견 및 예측을 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유방암 치료과정에 있어 술후 방사선치료는 국소 재발 방지 및 사망률 감소 측면에서 필수적인 치료임. 치료와 연관된 방사선 연관 심장 질환(예: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심혈관 사망 증가)은 보통 3-10년 후 발병하지만, 심근의 미세변화는 방사선 치료 2-3개월 후부터 시작됨. 심근의 변화는 한번 발생하면 비가역적, 장기화되거나 치명적인 질환으로 갈 수 있기에 초기(Window period)에 발견하여 치료하거나 이를 예방하는 방사선치료 기법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본 연구를 수행함. 본 연구에서는 18F-FDG PET CT, 심초음파 및 혈액학적 검사(CBC, Chemistry, BNP, NTpro-BNP, ST2 등)를 시행하여 심근 독성 조기 발견 및 예측을 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술후 유방 방사선치료로 발생 가능한 심장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예측을 할 수 있는 도구는 아직 명확하지 않기에,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심장독성 조기 발견 및 예측 도구의 개발이 가능함. - 이를 바탕으로 초기 심장 독성을 예방할 수 있는 방사선치료 모델 또는 약물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 확보 및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음. ○ 방사선치료 후 발생 가능한 심장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예측이 가능하다면, 장기화되어 치명적일 수 있는 심장 질환을 줄일 수 있어, 불필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의료비 지출을 줄이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 또한, 예후 및 생존율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본 연구는 또한, 상대적으로 상관관계를 규명하지 어려운 방사선치료 유발심장독성 뿐 아니라 다른 방사선 유발 만성 부작용의 초기 병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인영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방사선 유발 심장 질환;유방암;이종 의료 데이터;조기 발견;예측 도구; 2. radiation-induced cardiac toxicity;breast cancer;heterogenous medical data;early detection;prediction model;
  • 12369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핵감식 기법을 이용한 핵활동 이력 추정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핵활동 검증을 위한 방사화학분석법 확립 - 국내외 방사화학분석법 조사 - 국내 수요기관에 알맞은 분석법 기술 이전 - 시료별 전처리 기술 및 핵종분석법에 대한 절차 확립 -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핵종분석법 유효성 평가 - 국내외 교차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 주변국 핵활동 자료 기반 핵활동 시기 평가 절차 및 체계 개발 - Nuclear forensics 자료 구축 및 signature 물질 조사/측정 방안 분석 - 우라늄 농축 처리 시설 현황 조사 및 농축 시기 추정 관련 자료 구축 - Sample 채취 및 분석 관련 신뢰도 확보 방안 도출 - 연대측정을 활용한 핵물질 농축 시기 관련 절차 구축 및 simulation 수행 ○ DQA 기반 우라늄 농축 핵활동 시기 추정 알고리즘 개발 - 우라늄 핵물질 및 Mill tailings 등의 방사평형 관계조사 및 분석 - 핵물질 등 연대추정 방법론(알고리즘) 구축 - 데이터품질평가(DQA)기반 핵물질 연대추정 방법 최적화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 1단계[2020~2021] ❏ 목표 (1세부) ○ 핵활동 검증을 위한 핵물질 분석법 현황 조사 ○ 핵활동 검증을 위한 target 핵종 분석법 개발 및 분석기술 이전 I (2세부) ○ 농축공정 분석 및 핵물질 수지 자료 구축 ○ 주변국 우라늄 농축 관련 시설 및 이력 분석 (3세부) ○ 우라늄광 핵물질 및 Mill tailings 등의 방사평형 관계조사 및 분석 ○ 핵물질 등 연대추정 방법론(알고리즘) 구축 ❏ 내용 (1세부) ○ 핵활동 검증을 위한 핵물질 분석법 현황 조사 - 알파분광분석법 이론과 응용 - 감마분광분석법 이론과 응용 - 질량분석법 이론과 응용 ○ 핵활동 검증을 위한 target 핵종 분석법 개발 및 분석기술 이전 I - 축차분리법을 이용한 시그니처 핵종 중 알파핵종(U, Th, Pu, Am) 동시 분리 기술 및 정량분석법 개발 - 인증표준물질 사용한 시그니처 핵종(U, Th, Pu, Am) 동시 분리 기술 및 정량분석법 유효성 평가 - 비상시 핵활동 검증 분석기관 네트워크 구축 대비 분석역량 강화 (2세부) ○ 농축공정 분석 및 핵물질 수지 자료 구축 - Uranium in nuclear forensics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핵연료주기 및 공정 방법에 따른 signature 물질 조사 및 측정 방안 분석 ○ 주변국 우라늄 농축 관련 시설 및 이력 분석 - 주변국 우라늄 농축 처리 시설 현황 및 운영 이력 조사 - 농축 추정 시기 분석 및 시설에 따른 signature 물질 추정 방법론 도출 - 농축 시기 추정 자료, 채취/획득 가능 물질 및 물질에 따른 주요 측정 방법론 조사 (3세부) ○ 우라늄광 핵물질 및 Mill tailings 등의 방사평형 관계조사 및 분석 - 우라늄광 핵물질의 방사평형관계 조사 및 분석 - 우라늄 농축 후 핵물질 및 Mill tailings 등의 방사평형 관계조사 ○ 핵물질 등 연대추정 방법론(알고리즘) 구축 - 핵물질 연대 추정 방법론(알고리즘) 구축 - 핵활동별 시그니처 DB 구축 및 영향범위 분석 ◼ 2단계[2022~2023] ❏ 목표 (1세부) ○ 핵활동 검증을 위한 target 핵종 분석법 개발 및 분석 네트워크 구축 ○ 핵활동 검증을 위한 국내외 교차분석 수행 (2세부) ○ 데이터품질목표(DQO) 기반 sample 채취 절차 및 신뢰도 확보 방안 도출 ○ 농축 시기 분석체계 및 sample 채취 절차서 개발 (3세부) ○ 데이터품질평가(DQA)기반 핵물질 연대추정 방법 최적화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 내용 (1세부) ○ 핵활동 검증을 위한 target 핵종 분석법 개발 및 분석 네트워크 구축 - 핵활동 검증을 위한 분석법에 따른 전처리 실험실 구축 방안 연구 -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핵활동 검증용 공정시료 및 환경시료 중 시그니처 핵종(U) 질량분석법 절차서 개발 - 핵활동 검증을 위한 분석 네트워크 구축 전 예비 자료 수집 ○ 핵활동 검증을 위한 국내외 교차분석 수행 - 국내외 분석기관 대상 교차분석 네트워크 구축 및 교차분석 수행 - 교차분석 네트워크 최종 결과 발표 심포지엄 개최 (2세부) ○ 데이터품질목표(DQO) 기반 sample 채취 절차 및 신뢰도 확보 방안 도출 - 측정 방법에 따른 물질량 및 물질 형태 분석 - 신뢰도 확보를 위한 최소 방사능량(질량) 및 sample 개수, 비파괴 가능 여부 등 분석 - 신뢰도 확보를 위한 sample 및 표준물질 채취/확보 및 분석 방안 도출 ○ 농축 시기 분석체계 및 sample 채취 절차서 개발 - 연대측정 분석체계 기반 sample 채취 절차서 개발 - 핵물질 연대측정 이용 농축 시기 분석체계 기술서 도출 - 채취 절차서 및 분석체계 기술서에 따른 전산 S/W 연계 시뮬레이션 (3세부) ○ 데이터품질평가(DQA)기반 핵물질 연대추정 방법 최적화 - 핵활동 연대추정 방법론 적용 최적화 방안 수립 - 핵활동별 연대추정 민감도 분석 - DQA(데이터품질평가) 기번을 적용한 Sampling 평가 방법론 개발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 국내 핵주기 시설 대상 적용 검증 □ 연구개발성과 (1세부) ○ 안전기술보고서 제출 : 4건 - 1단계 • 1차년도: 핵활동 검증을 위한 핵물질 분석법 현황 보고서 • 2차년도: 알파 핵종 동시 분리 기술 및 정량분석법 개발 보고서 - 2단계 • 1차년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핵종 분석법 절차 보고서 • 2차년도: 핵활동 검증을 위한 교차분석 기술개발 보고서 ○ 논문: 국내 논문(비SCI) 게재 2건, 국내 학술대회 발표건 : 3건 ○ 신규 고용창출 : 석사 1명, 학사 1명 ○ 분석 절차서 : 2건 (2세부) ○ 안전기술보고서 제출 : 6건 - 1단계 1연차(2020): 핵감식 시그니처 물질 지정을 위한 국외지침 및 기술개발 동향분석 - 1단계 2연차(2021): 비핵화 핵심시설의 핵활동 탐지를 위한 토양시료 수집 방안 • Volume 1: 시나리오 구성 • Volume 2: 시나리오 최적화 - 2단계 1연차(2022): Data life cycle을 고려한 샘플 관리와 신뢰도 확보 방안 - 2단계 2연차(2023): 연대측정 분석체계를 기반으로 한 sample 채취 절차서, 핵물질 연대측정 이용 농축시기 분석체계 기술 보고서 ○ 논문: 국내 논문(비SCI) 게재 6건, 국외 논문(SCI) 게재 : 3건 ○ 인력양성 : 박사 1명, 석사 2명, 학사 2명 (3세부) ○ 원자력안전기술보고서 : 총 4건 - 우라늄광 핵감식 연대측정에 대한 연구현황 및 표지핵종 기초 원리 연구 - 핵활동 감식을 위한 핵물질의 연대추정 알고리즘 개발 - 핵활동 감식을 위한 핵물질의 연대추정 불확도 계산 알고리즘 개발 - 핵활동 감식을 위한 핵물질의 연대추정 프로그램 개발 ○ 논문 : 국내 논문 게재 3건 - Algorithm for Computational Age Dating of Nuclear Material for Nuclear Forensic Purposes - 핵물질 연대측정을 위한 불확도 추정 알고리즘 연구 - Algorithm for Calculating Uncertainty in the Computational Simulation for Radiochronometry of Nuclear Materials ○ 학술발표 : 포스터 4건 - Investigation on the 238U-daughter-isotope-ratio changes in the uranium mill tailing for the purpose of safeguards - 핵활동 감식을 위한 핵물질 연대추정 예비연구 - 베이트만 방정식 기반 연대추정 불확도 계산 연구 - 전산모사를 통한 핵물질 연대추정 불확도 도출 예비연구 ○ 저작권(소프트웨어) - 원자력시설 핵물질 관리 검증용 핵활동 시기 평가 프로그램 ○ 신규 인력 채용 2명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 계획 - 무기급 핵물질의 생산이력추정을 위한 분석기술확보 및 신고정보의 무결성 검증 - 비핵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신고정보 검증 - 무적핵물질 발생 시 생산시기 추정인자의 추가확보 - 개발된 핵종분석법을 국내 수요기관에 기술 이전 - 주변국의 우라늄 농축 관련 시설에 근거한 이력 분석 능력 확보 - DQO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 sample 채취 방안 개발 및 절차 구축을 통해 채취자 및 측정자에 관계없는 재현성, 일관성이 담보된 핵활동 이력 검증 - 핵감식 기술에 기반한 핵활동 검증 기술 확보를 통한 국제 신뢰 구축 및 교류 기회 확대 - 핵물질 연대측정/핵활동 시기추정 알고리즘은 국내 원자력시설 핵물질 통제 및 주변국 핵비확산 검증에 기반기술로써 활용 ○ 기대효과 - 개발된 핵물질 분석기술로 국내외 무적핵물질에 대하여 정확한 핵활동 시기를 추정하고 검증에 기여 - 비핵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신고정보를 국내 기술로 검증하고 핵활동 시기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농축 시기 분석체계 및 절차서를 구축하여 핵활동 검증 기술 확보에 기여 - 한반도 비핵화 검증에 주도적인 역할 수행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핵감식 체계 및 핵안보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오정석
    • 주관연구기관 : (주)라드솔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핵감식;핵물질;핵활동 이력;우라늄 연대측정;데이터품질관리; 2. Nuclear forensics;Nuclear material;Historical nuclear activity records;Uranium chronometric;DQO/D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