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4/1,246

검색
  • 12428

    2024.02.29

    □ 연구개요 1) 기존 Gaussian 빔의 회절 한계를 뛰어넘는 non-diffracting, self-healing(ND-SH) 빔을 형성하고 이를 집적 어레이로 형성 2) 이 laser 빔 집적 어레이와 radiation physics를 결합하여 기존의 optical trapping의 한계를 뛰어넘는 optical transportation (광학적 수송) 연구 3) 이와 같은 광학 기술을 활용하여 1, 2, 3 차원 optically-bound material (광학적으로 구속된 물질)을 형성하고 그 물리적 특성을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목표: Non-diffracting self-healing (ND-SH) 빔 개발 및 이 빔을 기반으로 1차원 어레이 (1×N) 형성기술 개발 연구 결과: Fiber optic 기반 ND-SH 빔 형성 기술 개발 성공, 이를 바탕으로 1×2, 1×3, 1×4 어레이 형성 성공 ● 2차년도 목표: 고굴절율 입자로 1차원 (1×N) 어레이 광구속 물질 구현 및 물리적 광학적 특성 분석 연구결과 : 광구속 조건 (광세기, 유체 점도, 흡수도, 온도)등 실험으로 파악 ● 3차년도 목표: Non-diffracting self-healing (ND-SH) 빔에 의한 2차원 광구속 물질 형성 기술 개발 연구결과: 2차원 다각형 optical trap형성, 광학적 궤도 운동 실험 성공 ● 4차년도 목표: 거시 3차원 Optically bound material을 위한 ND-SH 빔 및 Non-diffracting self-accelerating (ND-SA) 빔 연구 개발 연구결과: 광섬유 기반 ND-SA 빔 형성 기술 개발 성공, 특성 이론적 실험적 분석 ● 5차년도: ND-SA 빔을 이용한 3차원 미시입자로 구성된 Optically bound material을 거시공간에 형성 연구결과 : NS-SA 빔을 활용하요 미시입자 (nano-particle)을 광학적으로 trap하고 이를 transport하여 나노 입자 어레이를 형성하는 성공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non-diffracting, self-healing(ND-SH) 빔을 형성하는 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 Fiber Optic based Micro-scale 방식을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음. ● 또한 기존의 ND-SH 빔으로 불가능하였던 미소 물방울 내부에서 공간적으로 multiplexing이 본연구 결과물로는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음 ● 기존 Bulk-optic 으로 형성된 ND-SH 빔의 비회절구간의 거리에 유사한 거리를 Fiber Optic Micro-scale 방식으로도 도달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실험적으로 증명하였음. ● 새로운 형태의 laser 빔 shaping 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한 극미세 기계적 물질 가공 및 생물조직의 광학적 조작에 새로운 기반을 확보. 관련 원천 기술 확보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오경환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회절 한계;비회절빔;자기치료빔;광학집게;광학수송;Non-diffracting 빔;Self-healing 빔; 2. Diffaction limited;Optical Tweezer;Optical transport;
  • 12427

    2024.01.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미래 원자로 기술의 수출전략 도출 - 미래 원자로 기술의 잠재적 수출시장 분석 - 기존 원자력 수출 분야의 수출전략 및 현안 분석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 전략요소 분석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 추진 방향 및 전략 도출 ◎ 전체 내용 ○ 미래 원자로 기술의 잠재적 수출시장 분석 - 미래 원자로의 잠재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래 원자로의 잠재시장을 전망한 문헌들을 조사·분석하고 해외 및 국내 미래 원자로 기술 동향 분석 ○ 기존 원자력 수출 분야의 수출전략 및 현안 분석 - 네덜란드 연구로, 요르단 연구로, SMART 등 기존 원자력 수출 분야의 수출전략을 분석하고 교훈 및 시사점 도출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 전략요소 분석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의 기술적, 산업적, 규제적, 재정적 및 국제적 전략요소 도출 및 분석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 추진 방향 및 전략 도출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에 대한 SWOT(내부 강점 및 약점, 외부 기회 및 위협) 분석 - 미래 원자로 기술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한 10대 전략 도출 □ 연구개발성과 ○ 미래 원자로 수출을 위한 기술적, 산업적, 규제적, 국제적, 재정적 전략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미래 원자로 수출 SWOT 분석 수행 ○ 다양한 노형의 미래 원자로에 적용 가능한 10대 수출경쟁력 제고전략 수립 ● 기술 개발 및 실증 ① 수요를 고려한 기술 개발 (SO) ② 초도호기의 국내 건설 추진 (WT) ③ 수요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경제성 평가 수행 및 공표 (ST) ● 산업화 ④ 선제적으로 잠재 수요자를 끌어내는 마케팅 추진 (SO) ⑤ 산업체 주도의 사업추진체계 조성 (WO) ⑥ 미래 원자로 사업에 적합한 공급망 구축 (SO) ● 규제 ⑦ 개발과 병행하여 규제체계 정립 (ST) ● 파이낸싱 ⑧ 새로운 파이낸싱 체계 모색 (WO) ● 정부 지원 ⑨ 다변화된 원자력 외교 및 국제협력 추진 (WT) ⑩ 굳건한 국가 의지 및 계획 천명 (WT)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도출된 10대 전략을 바탕으로 미래 원자로의 기술개발 단계로부터 실증 및 상용화 단계로의 진전, 미래 원자로 사업체계의 전환, 새로운 파이낸싱 체계 모색, 다변화된 원자력 외교 등 활동 추진 지원 ○ 미래 원자로 기술의 연구개발 기획, 수출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 ○ 미래 원자로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정부 “원전수출전략추진단”에 제안할 내용으로 활용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광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200
    • Keyword : 1. 원자력 수출;미래 원자로;소형모듈원자로;수출전략;수출시장; 2. Nuclear Export;Future Reactor;SMR;Export Strategy;Export Market;
  • 12426

    2024.02.29

    □ 연구개요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rkonium states in a non-equilibrium Quark-Gluon Plasma (QGP) medium. Our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mpact of bulk viscosity, magnetic field, and rotational field on the properties of heavy quarkonia. We also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on experimental observables such as the relative production yield and the nuclear modification factor.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how a constant and uniform magnetic field of general strength, generated during heavy-ion collision, affects the heavy quarkonium complex potential. To achieve this, we employed the Schwinger proper time formalism in Euclidean space for a magnetic field of any strength.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In our study, we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quarkonium states in a non-equilibrium bulk viscous QGP medium. We examine in-medium spectral functions computed from a modified heavy quark potential to determine the impact of non-equilibrium aspects of a QGP on heavy quarkonia properties. Our analysis focuses on the effect of bulk viscosity on the properties of heavy quarkonia, particularly its implications on experimental observables such as the relative production yield and the nuclear modification factor. Our findings show that the nuclear modification factors of excited and ground states exhibit different sensitivities to the bulk viscous nature of a plasma, which could be useful in locating the critical point. Additionally,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an external, constant, and uniform magnetic field generated during heavy-ion collision on the heavy quarkonium complex potential. We employ the lowest Landau level approximation for the strong field approximation and the Schwinger proper time formalism in Euclidean space for a magnetic field of any strength.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eavy quarkonium complex potential is anisotropic in nature and depends on the angle between the quark-antiquark (QQ) dipole axis an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We discuss how the magnetic field strength and the angular orientation of the dipole affect the heavy quarkonium potential. Furthermore, we examine how the magnetic field influences the thermal widths of quarkonium states. Finally, we discuss the limitation of the strong-field approximation as done in literature in the light of heavy-ion observables, as the effect of the magnetic field is very nominal to the quarkonium potential.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QGP-related research is a type of fundamental research in high-energy nuclear physic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all matter. Basic science studies play a vital role in arousing young children's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even though the impact of this interest is challenging to measure. We study the in-medium properties of quarkonium states from an inspection of in-medium spectral functions computed from the modified heavy quark potential in a non-equilibrium bulk viscous QGP medium.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quarkonium spectral function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or screening, encoded in real part of potential, as well as the effects of dissipation, encoded in the imaginary part of the potential. We examine the effect of bulk viscosity on the properties of heavy quarkonia and its implications on experimental observables. We also explore how an external, constant, and uniform magnetic field generated during heavy-ion collision affects the heavy quarkonium complex potential. Our results will enhance our knowledge of the early universe and have broader implications for related scientific disciplines. (source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THAKUR LATA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쿼크 글루온 플스마 헤;헤비 쿼르코니아;양자 색역학;중이온충돌;퍼텐셜 모델; 2. Quark Gluon Plasma;Heavy Quarkonia;Quantum Chromodynamics;Heavy ion collision;Potential Model;
  • 12425

    2024.02.29

    □ 연구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본 연구는 은편모조류의 핵 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비교유전체 연구 및 phycobilisome 관련 유전자 발굴을 통한 홍조기원 세포내공생 진화 연구를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종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1) 다양한 색소를 갖는 은편모조류의 무균 배양체 확보, 2) 은편모조류 4종의 전장 유전체 분석, 3) 발현 유전체 분석, 및 4) Phycobilisome 등 색소 관련 유전자를 발굴한다. 분석된 자료를 종합하여, 핵 유전체 해독, 세포내공생 기원 유전자와 외부기원 유전자 이동 등 진화적 근거를 도출하여 은편모조류의 홍조기원 세포내공생 가설을 증명한다. ○ 전체 내용 은편모조류는 단세포성 편모조류로 해양과 담수에 서식한다. 대부분의 은편모조류는 광합성을 하며, 매우 다양한 색소를 갖는다. 색소체는 붉은색, 녹색, 갈색을 띄며, 각 분류군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진핵생물에서 다양한 색의 색소체를 갖는 분류군은 은편모조류가 유일하다. 은편모조류는 endosymbiont 기원의 색소체와 핵양체 (nucleomoph) 유전체와 host 기원의 미토콘드리아, 핵 유전체에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다. 은편모조류는 홍조류로부터 색소체를 획득하여 2차 세포 내공생 과정으로 기원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색소체의 4중막 구조와 핵양체의 존재는 2차 내공생 과정으로 색소체를 획득하였다는 확실한 세포 형태학적 증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의 색소체 유전정보는 홍조류로부터 기원하였다는 증거를 보여준다. 은편모조류는 진화적으로 광합성 능력을 획득한 이후에 다양한 색소를 갖는 분류군으로 분화하였다. 본 연구는 “은편모조류의 핵 유전체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홍조기원 세포내공생에 의한 진화 과정을 증명하고 다양한 색소 관련 유전자 발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은편모조류의 핵 유전체와 공여자인 홍조류의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는 홍조기원 세포내공생설을 유전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색소 조성을 갖는 은편모조류의 핵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는 색소체 획득 이후 은편모조류의 종분화와 진화적 패턴을 해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롭고 다양한 색소관련 유전자 발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빠르게 발전하는 유전체 분석 기술과 생물학적 정보들의 활용 및 도입은 본 연구를 수행하기에 최적의 시기로 사료되며, 기 확보된 연구 자료의 활용과 선행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최종목표 도달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설 1: 은편모조류 핵 유전체에 홍조기원 유전자가 EGT 과정을 통해 이동하여 암호화 되어 있을 것이다. 방법 1: 은편모조류 핵 유전체와 단세포 홍조류 유전체 비교 분석 기대효과: 은편모조류의 기원과 색소체 획득 진화 과정-홍조기원 세포 내공생 증명 가설 2: 다양한 색소 조성을 갖는 은편모조류의 색소관련 유전자는 핵 유전체에 암호화 되어 있을 것이다. 방법 1: 다양한 색의 은편모조류 핵 유전체 비교 분석: 빨간색/녹색/갈색/무색 은편모조류 방법 2: 다양한 빛 조건 (red/yellow/green)에서 은편모조류의 색소 관련 발현 유전자 비교 분석 방법 3: 색소 관련 유전자, 빌린 유전자, phycobilisome 관련 유전자 탐색 기대효과: 색소체 획득 이후의 은편모조류의 각 다양한 색소조성 분류군으로 진화적 패턴 해석과 색소 관련 유전자 발굴 ○ 1단계 ● 연구 목표 목표 1: 은편모조류 4종의 전장 유전체 분석 목표 2: 은편모조류 4종의 발현 유전체 분석 ● 연구 내용 목표 1: 은편모조류 4종의 전장 유전체 분석 - 기반 유전체 정보 확보 - 무균 배양주 확보, 대량 배양 (4L 이상) - 붉은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 녹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 갈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 무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목표 2: 은편모조류 4종의 발현 유전체 분석 - 파장에 따른 발현량 분석 - [빨간색/노랑색/녹색] 빛 조건에서 은편모 3종 (Red/Green/Brown) 배양 - 발현유전체 확보 - 기능 단백질 유전자 정보 구축 ○ 2단계 ● 연구 목표 목표 3: 색소 관련 빌린 유전자 발굴 목표 4: Phycobilisome 관련 유전자 발굴 목표 5: 비교 유전체 분석 및 홍조기원 세포내공생 검증 ● 연구 내용 목표 3: 색소 관련 빌린 유전자 발굴 - 색소 조성에 따른 발현 정도 DEG 분석 - 색소 관련 유전자 발굴 :phytochrome, carotenoids 관련 - 은편모조류 4종의 색소 관련 유전자 비교분석 목표 4: Phycobilisome 관련 유전자 발굴 - APC(Allophycocyanin), PE(Phycoerythrin), PC(Phycocyanin) 관련 유전자 발굴 - 홍조기원 Phycobilisome 관련 유전자를 통한 은편모류의 세포내공생 검증 목표 5: 비교 유전체 분석 및 홍조기원 세포내공생 검증 - 은편모조류의 핵으로 전이된 홍조기원 유전자 탐색 - 핵 유전체 자료를 이용한 홍조기원 생물의 계통 진화 추론 □ 연구성과 1) 은편모조류 4종의 전장 유전체 분석 - 기반 유전체 정보 확보 - 무균 배양주 확보, 대량 배양 (4L 이상) - 붉은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 갈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 녹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 무색 은편모조류 1종 전장 유전체 분석 2) 은편모조류 4종의 발현 유전체 분석 - 파장에 따른 발현량 분석 - [빨간색/노랑색/녹색] 빛 조건에서 은편모조류 4종 배양 - 발현유전체 확보 - 기능 단백질 유전자 정보 수집 - SCI급 논문 출판 3편 (주저자), 2편 (공동저자) -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 연구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세포내공생에 의한 생물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기위한 적합한 연구주제로 순수기초분야 뿐만 아니라,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유전자 정보 기반 확보 및 다양한 응용 연구를 위한 생물 소재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1) 기술적 측면 ● 미세조류에 적합한 생물정보학 분석 기술의 확립과 인프라 구축 ● 유전체 분석, 유전자 발굴 기술 인프라 구축 2) 경제, 산업적 측면 ● 미세조류 유전자원 확보 ● 새로운 자원 발굴 및 미세조류 자원 활용을 통한 생명공학적 신산업군 창출 ● 다양한 색소 생산 생물 소재 제공 ● 다양한 환경에 적응관련 유전자 정보 활용 관련 산업 분야에 기초자료로 제공 3) 환경/생태적 측면 ● 적조생물 저감 제어를 위한 유전 정보 활용 ● 친환경 자원 활용산업 및 바이오그린 에너지용 모델 활용 4) 학술적 측면 ● 유전체 정보 기반 유전자 서비스 제공 및 확보 ● 생물 유전체 정보 수집 및 유전자 정보 축적 ● 광합성 진화 모델 생물 구축 및 광합성 생물 진화 연구분야 선점 ● 새로운 물질 발굴 및 물질 대사 과정 정보 제공 5) 다양한 생물 맞춤 유전체 분석 프로그램 개발 ● 기존에 국한된 모델 생물 또는 박테리아 자료에서 벗어난 새롭고 다양한 진핵생물 유전체 자료를 활용한 생물 맞춤 분석 방법 개발 6) 국제 연구 네트워크 형성 및 국제 협력 ● 미세조류 유전체연구와 유전자 정보 활용은 국내외에서 도입 단계에 있음. ●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해 미세조류 유전체 연구 선점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종임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은편모조류;진화;세포내공생;비교유전체;계통유전체; 2. Cryptophytes;Evolution;Endosymbiosis;Comparative genomics;Phylogenomics;
  • 12424

    2024.02.29

    □ 연구개요 Neutron stars are known to be made of dense matter described the theory of strong interactions, QCD. Establishing reliable predictions for the properties of QCD matter at the high densities of neutron star cores is, however, an extremely challenging problem. This program bridged the gap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dense QCD by applying a holographic framework to model the strongly coupled physics. The framework will be anchored to the current knowledge of the QCD phase diagram stemming from lattice QCD, effective field theory, and perturbative calculations. This approach reduced the uncertainties of the QCD equation of state in the regime of high densities and low temperatures and to provide access to out-of-equilibrium observables such as viscosities and conductivities. It also produced predictions for the properties of the QCD phase transitions at low temperature and high density.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oposal were: * Construct a reliable (temperature dependent) equation of state, which significantly improves the state-of-art equations of state by using input from holography, and can be directly used in neutron star merger and core collapse supernova simulations. * Derive predictions for the physical transport coefficients (conductivities and viscosities) in the regime of dense QCD which are relevant for neutron star physics but largely unknown. * Derive predictions for the properties of the nuclear/quark matter interface, in particular the surface tension, which are similarly relevant and essentially unknown to date. These goals were met during the program. In addition, the equation of state of already applied to neutron star merger simulations.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Reaching these main objectives produced essential input for the astrophysics community, including work on neutron stars, neutron star mergers, and core collapse supernovae. It also has applications to heavy-ion physics, in particular high-density heavy-ion collisions. Moreover this work works as a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s of strong coupling tools for dense QCD matter and compact astrophysical objects. (source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JAERVINEN MATTI OSKARI
    • 주관연구기관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게이지 / 중력 이중성;양자 색역학;중성자별; 2. Gauge/gravity duality;Quantum Chromodynamics;Neutron Stars;
  • 12423

    2024.02.29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수정
    • 주관연구기관 : (주)메디픽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핵수용체 조절제;에스트로겐 수용체;광학 이성질체 약물;구조적 견고화;전구약물; 2. nuclear receptor modulator;estrogen receptor / ER;enantiopure drug;structural rigidification;prodrug;
  • 12422

    2024.02.29

    □ 연구개요 연구가설: 종양 제어를 위해 필요한 X-선 및 중입자치료 선량을 유전자발현을 통해 예측할 수 있음 연구목적: 다양한 인간 유래 암 세포주들의 X-선 및 중입자치료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고 RNA sequencing을 시행하여 치료 반응성과 연관된 핵심적인 유전자들을 찾고 이를 토대로 유전자 발현에 기반을 둔 환자 맞춤 선량 결정 모델을 만들고자 함 연구목표: 최종목표: 유전자 발현 기반의 X-선 치료 및 중입자치료의 필요선량 예측 모델 개발 세부목표: -X-선 치료 및 중입자치료 저항성 세포주 확립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한 X-선 및 중입자치료의 반응성 조절 핵심 유전자 분석 -종양제어를 위해 필요한 방사선량 결정모델 개발 및 임상적 효용성 검증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X-선 치료 저항성 세포주 확립: -방광암세포주/대장암세포주/췌장암세포주/신장암세포주/흑생종세포주/구강암세포주/후두암세포주에서의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 확립 및 surviving fraction 확인함 -각 저항성 세포주에서의 방사선치료 반응성에 따른 유전자 발현 분석함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한 X-선 반응성 조절 핵심 유전자 분석: -Radiation Resistance Target Gene Screening 시행함: RNA seq data 를 기반으로 GSEA 분석 및 Gene ontology 분석을 해서 SF2 value 혹은 Radioresistant vs. WT cancer 에서 Gene expression 차이가 있는 유전자를 분석함 -Prediction algorithms of Radiation Resistance with Target Gene Screening data 제시함: AI 를 바탕으로 Gene expression 패턴에서 방사선 저항성과 관련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타겟을 분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방사선저항성을 예측 모델을 제시함 인공지능기반 x-선 방사선민감성 예측 모델 개발 및 방사선민감성 예측관련 유전체 발현 정보 추출 -구축된 코호트를 활용하여 인공지능기반의 방사선 민감성 예측 모델 구축 -예측모델 기반 특정 유전자 발현 정보 추출 및 방사선 민감성 예측 방정식 개발 중입자 치료기를 활용한 실험법 확립 -기존 방사선치료와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중입자선의 선량을 기존 방사선 선량과 매칭함 -중입자 조사 시 세포 배양 조건 등을 확립하고, 본 실험법을 토대로 실험 계획서를 구축함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를 활용하여 pilot test 진행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방사선종양학의 맞춤 의료 기반 기술 마련 -연구는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구현되지 못한” 맞춤 X-선 방사선치료를 위해 필요한 기반이 되는 선량 예측모델을 제시함 -최적의 방사선치료선량 결정을 통해 종양 제어율 증가 및 부작용 발생 감소에 기여함 -암 치료 향상에 기여 추가 연구 계획: 중입자 기반 방사선치료의 선량 결정 모델 연구 계획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금웅섭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유전체발현;방사선저항성;예측모델; 2. radiotherapy;gene expression;radiation resistance;prediction model;
  • 12421

    2024.02.29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최근의 태양 관측결과를 근거로 하여, 태양 대기중에 널리 분포된 자기 플럭스 루프 (magnetic loop)의 동적 형성과 그에 수반하는 가열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태양 물리학의 중요 과제인 태양 대기 가열 문제를 해명하고자 한다. 즉 루프 내에서의 하강류 생성과정, 이 하강류와 저층 대기와의 충돌에 의한 열화 과정, 발생한 열에너지의 루프 상부를 향한 수송 과정을 포괄하는, 루프의 동역학적, 열역학적 진화를 관측을 근거로 한 이론적 고찰를 통해 규명하려고 한다. 이를 통하여, 종래의 연구에서처럼 태양활동영역을 단순히 그 형태에 따라서 분류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그 구조와 진화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Tetsuya Magara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solar atmospheric heating;solar dynamics and magnetism;magnetic flux emergence;solar active region;shock wave;nonlinear force-free field;numerical simulation;magnetohydrodynamics;
  • 12420

    2024.02.29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시설의 화재 방호 성능 극대화를 위한 복사열 감쇠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1차년도에는 자료 및 연구 동향 조사,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분사 특성 측정,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장치 구축과 선행 실험 및 선행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음. 2차년도에는 단일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하여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분사 특성과 복사열 감쇠 간 상관관계 및 복사열 감쇠 성능 극대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음. 3차년도에는 미세물분무 미립화기 간 상호작용이 복사열 감쇠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해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한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음. 이후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적 조건들을 적용하여 실규모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에 의한 위험물 시설의 화재 방호 극대화 방안을 제안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 미세물분무 미립화기 및 복사열 감쇠 성능 관련 자료 및 연구 동향 조사 - 단일(1개) 및 다중(2개 이상)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분사 특성 측정 실험 장치 구축 및 실험 -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미세물문부 미립화기의 후보군 선정 - 단일 및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 장치 구축 및 선행 실험 -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전산시뮬레이션 구축 및 선행 해석 ○ 2차년도 - 단일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한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 실험 - 단일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미세물분무가 복사열 감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복사열 감쇠 성능 극대화를 위한 미세물분무 최적 조건 도출 ○ 3차년도 -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한 미세물분무의 상호작용에 따른 복사열 감쇠성능 평가 실험 -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복사열 감쇠 성능 극대화를 위한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 조건 도출 - 도출한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 조건을 적용한 실규모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 전산시뮬레이션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미세물분무 특성과 복사열 감쇠 간 상관관계 및 최적 조건 도출 결과는 위험물 시설을 위한 미세물분무 화재 방호 설비의 설계 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함. ○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 설비의 화재 및 안전 관련 기준의 개선 및 보완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함. ○ 전산시뮬레이션 기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화재 및 소방 관련 다양한 현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 ○ 본 연구 결과는 위험물 시설 이외에 선박, 문화재, 박물관, ESS(energy storage system), 지하주차장, 산불 등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미세물분무 설비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대상물에 활용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치영
    • 주관연구기관 : 부경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미세물분무;복사열 감쇠;위험물 시설;화재 방호;실규모 화재시뮬레이션; 2. Water mist;Thermal radiation attenuation;Hazardous material facilities;Fire protection;Full-scale fire simulation;
  • 12419

    2024.02.29

    □ 연구개요 -복사에너지의 파장 선택적 반사, 흡수, 통과가 가능한 고분자 신소재의 개발함. -본 연구는 파장 250nm-2500nm의 빛을 90% 이상 반사시키고 최고 파장 10μm의 적외선의 투과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고분자 신소재를 개발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파장 250nm-2500nm의 빛을 90% 이상 반사시키고 최고 파장 10μm의 적외선의 투과도 50% 이상을 가진 섬유원단을 개발하여 기존 원단과 비교하여 모사피부에서 10도 이상의 온도저감이 확인된 나노메쉬형태의 복사냉각 원단 개발. -페이스마스크에 나노 실버 입자를 적용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을 높인 복사냉각 페이스 마스크를 개발. -고분자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광산란 무기물 분산 고분자 복합체를 제작하여 복사냉각 창호 제작. -사람의 머리카락의 복사냉각 기능을 활용한 온도저감을 측정하고 해석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향 후 소재의 복사냉각 분야를 넓혀, 반대 개념의 복사단열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고자 함 (태양열은 100% 흡수, 적외선은 반사). -본 연구를 기초로 향 후 방향 선택적이고 파장 선택적인 반사, 흡수, 투과 가능한 소재로 확장 연구를 진행하고 함. -본 연구의 향 후 적용 가능한 응용분야는 무궁무진하며 파생될 과학 분야는 소재, 나노, 에너지 등 복합 융합적인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됨. -본 연구는 냉각복사 연구의 국내 선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학회, 연구 그룹 등에 새롭게 본 분야가 한 센션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이 될 것임. -탄소제로를 목표로 하는 전방위 산업계의 한 축으로 본 연구는 발전될 것이며 본 연구자는 관련 기업들과 기초연구를 통하여 긴밀히 공조하고자 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건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복사냉각;섬유;태양광;광산란;고분자; 2. radiative cooling;fiber;solar radiation;MIE scattering;poly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