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8/1,246

검색
  • 12388

    2024.01.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SMR 핵안보 기술 및 규제 동향분석 ◼ 전체 내용 ○ 국내외 SMR 개발 동향분석 ○ SMR 설계단계 보안(Security By Design) 고려사항 조사 ○ SMR 핵안보(물리적방호, 사이버보안) 기술 동향분석 ○ 해외 SMR 핵안보(물리적방호, 사이버보안) 규제체제 동향분석 ◼ 1단계 ❏ 목표 ○ (정량)3개국 이상의 SMR 핵안보 기술 및 규제체제 동향분석 ○ (정성)국내외 SMR 개발 동향분석 ○ (정성)SMR 설계단계 보안(Security By Design) 고려사항 조사 ○ (정성)SMR 핵안보(물리적방호, 사이버보안) 기술 동향분석 ○ (정성)해외 SMR 핵안보(물리적방호, 사이버보안) 규제체제 동향분석 ❏ 내용 ○ 1차년도 : 국내외 SMR 개발 동향분석 - 국내외 SMR 개발 동향분석 - SMR 설계단계 보안(Security By Design) 고려사항 조사 ○ 2차년도 : SMR 물리적방호/사이버보안 기술 및 해외 SMR 규제체제 동향분석 - SMR 핵안보(물리적방호, 사이버보안) 기술 동향분석 - 해외 SMR 핵안보(물리적방호, 사이버보안) 규제체제 동향분석 □ 연구개발성과 ○ 1차년도 : 국내외 SMR 개발 동향 분석 안전기술 보고서 도출 ○ 2차년도 : SMR 물리적보안 기술 개발 및 규제체제 및 SMR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 및 규제체제 분석보고서 도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중소형원자로(SMR) 인허가 심사 등을 위한 규제체계 정비 및 고유 규제기술 개발에 활용 ○ 기대효과 - SMR 등 신규 형태의 원자력시설에 대한 핵안보 규제 연구 전략 방안 도출 - SMR 설계단계보안(Security By Design) 고려사항 도출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송재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200
    • Keyword : 1. 규제체제;SMR 핵안보기술;SMR 물리적보안 및 사이버보안;설계단계 보안;안전 및 보안 연계; 2. Framework for regulation;Technology for nuclear security for SMR;Physical security and Cyber security for SMR;Security by design;Safety and security interface;
  • 12387

    2024.02.29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사고저항성핵연료 장전노심의 안전해석 규제검증기술 개발 - 사고저항성핵연료 전산해석코드 및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및 검증 - 사고저항성핵연료를 장전한 원자로의 노심 핵설계 및 설계기준사고에 대한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 전체 내용 노심 설계 및 설계기준사고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분야 (1) 사고저항성핵연료를 장전한 원자로의 노심 핵설계에 대한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2) 사고저항성핵연료를 장전한 원자로의 설계기준사고에 대한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핵연료 분야 (1) 현재 ATF 개발현황분석에 기반한 ATF 특화 핵연료 파괴메커니즘 및 기존핵연료 안전규제 인자 분석 (2) 이를 기반으로 핵연료코드의 필수 성능 요건 도출 (3) 이를 구현하는 핵연료 전산코드 개발 (4) 개발된 코드를 열수력 및 노심설계 코드와 연계하여 정상상태 및 설계기준사고에 적용하여 고정밀 규제검증방법론 제시 ◼ 1단계 ❏ 목표 - 사고저항성핵연료를 장전한 원자로의 노심 핵설계에 대한 규제검증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하여 설계기준사고에 대한 규제검증방법론을 개발함 - 사고저항성핵연료 전산해석코드 및 규제검증방법론을 개발하고 검증함 ❏ 내용 노심 설계 및 설계기준사고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분야 Part A: 노심핵설계 A1-1. ATF 개발현황 분석 - ATF 개발(안)별 현황 조사 - ATF 개발(안)에 따른 노심핵설계 영향 분석 A1-2. 규제검증 전산코드체계 설계 - 사업자 노심핵설계 전산코드 체계 분석 - 현행 노심핵설계 규제검증 핵자료집 및 전산코드체계 분석 - ATF에 적합한 노심핵설계 규제검증 핵자료집 및 전산코드체계 수립 - 전산코드 개선을 위한 품질보증체계 보완 A1-3. 노심설계 평가방법론 설계 - 사업자 노심설계 평가방법론 검토 - 검토결과 반영 노심설계 평가 방법의 규제코드 적용성 분석 - ATF 장전 노심을 위한 노심설계 평가방법론 개발 A2-1. ATF 장전 사업자 노심해석 모델 평가 - ATF 장전 천이노심 연소계산 결과 분석 - ATF 장전 주요 핵설계 인자 분석 A2-2. 노심설계 규제검증 기본모델 개발 - SCALE-PARCS를 통한 LTR, LTA 특성 평가 입력 Deck 작성 (Pin 및 Assembly 단위 계산) - 몬텔칼로 방법을 통한 LTR, LTA 특성 평가 입력 Deck 작성 (Pin 및 Assembly 단위 계산) - 상위코드와의 결과 비교검토를 통한 노심설계 규제검증방법론 기본모델 검증 A3-1. ATF 장전 사업자 안전해석 입력자료 평가 - 첨두출력인자 분석 - 미임계 상태에서 제어되지 않은 제어봉인출사고 시 정지반응도 분석 - 주기말 영출력 제어봉이탈사고 시 첨두출력인자 분석 - 냉각재상실사고 평가를 위한 최대 집합체 평균출력 분석 A3-2. ATF 장전노심 노심설계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및 검증 - SCALE-PARCS를 통한 Cycle – by –Cycle 입력 Deck 작성(Core 단위 계산) Part B: 노심열수력 및 안전해석 B1-1 ATF 개발 현황 검토 - ATF 원리별 특성 검토 - AFT 원리에 따른 열수력/사고해석 영향 분석 - PIRT 수행 필요성 검토 B1-2 열수력/사고해석 관련 규제검증 전산코드 체계 검토 - 임계열속 규제 검토 방법론 분석 - 원자로수력학 규제 검토 방법론 분석 - 출력분포 영향 규제 검토 방법론 분석 - 노심 열적 반응 규제 검토 방법론 분석 - 원자로냉각재계통 유량 결정 규제 검토 방법론 분석 - 열적여유도 규제 검토 방법론 및 전산코드 체계 분석 - 예상과도운전 규제 검증 방법론 및 전산코드 체계 분석 - 설계기준사고 규제 검증 방법론 및 전산코드 체계 분석 - 확장설계기준사고 규제 검증 방법론 및 전산코드 체계 분석 B1-3 ATF 장전 원자로에 대한 열수력/사고해석 관련 규제검증 전산코드 체계 수립 - 전산코드 개선을 위한 품질보증체계 보완 - 열수력/사고해석 규제검증코드에서 핵연료 및 노물리와의 상호 연계 사항 분석 - 핵연료 및 노물리와의 상호 연계 사항을 고려한 열수력/사고해석 규제 검증 체계 수립 B2-1 ATF 장전 원자로에 대한 설계기준사고 규제검증 기본 모델 개발 - ATF에 대한 열, 질량 및 운동량 전달 모델 자료 입수 및 검토 (설계기준사고 관련) - ATF에 대한 열, 질량 및 운동량 전달 모델의 규제검증 코드 반영 설계 - 기본 모델 예비적용 B2-2 ATF 장전 원자로에 대한 확장설계기준사고 규제검증 기본 모델 개발 - ATF에 대한 열, 질량 및 운동량 전달 모델 자료 입수 및 검토 (확장설계기준사고 관련) - ATF에 대한 열, 질량 및 운동량 전달 모델의 규제검증 코드 반영 설계 - 기본 모델 예비적용 B3-1 ATF 장전 원자로에 대한 설계기준사고 규제검증 방법론 및 전산 입력 개발 - 설계기준 사고 관련 노심 부분에 ATF 관련 핵연료자료 및 노물리 자료 도출 및 관련 입력 개발 - 설계기준사고에 대한 규제검증 방법론 개발 (시범 계산 포함) B3-2 ATF 장전 원자로에 대한 확장설계기준사고 규제검증 방법론 및 전산 입력 개발 - 확장설계기준사고 관련 노심 부분에 ATF 관련 핵연료자료 및 노물리 자료 도출 및 관련 입력 개발 - 확장설계기준사고에 대한 규제검증 방법론 개발 (시범 계산 포함) 핵연료 분야 추진 업무 1: 코팅피복관 핵심 안전규제인자 조사 및 도출 - 현재의 안전규제기준과 코팅피복관에 특화된 안전규제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핵연료코드 목표성능과 필요충실도를 결정. - 개발될 핵연료 코드의 품질보증체계 수립. 추진 업무 2: 코팅피복관 구조해석 모델개발 - 2차원 축대칭 코팅-모체 소성변형 모델 개발 및 수치해의 안정성 증진. 다층구조와 복합체화 단층모델의 비교 및 제안. 추진 업무 3: 코팅피복관의 산소 및 코팅물질 확산 및 상변화 모델 개발 - Zr-Cr-O 시스템상에서의 산소 및 크롬 확산 및 상변화를 종합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전산모델 개발 및 실험검증 추진 업무 4: 코팅피복관의 벌루닝 및 파열모델 조사 - 국내외 코팅피복관의 실험결과 조사와 분석에 기반하여 FRAPTRAN-2.0의 BALON-2 모델의 벌루닝 변형율과 파열조건 수정 추진업무 5: FRAPCON/FRAPTRAN 코드 수정 및 거동검증 - 추진업무 2,3,4에서 개발된 개별 모델들을 FRAPCON-4.0 및 FRAPTRAN-2.0에 소스코드 수정을 통하여 반영. 소결체-피복관 기계적 상호작용 모델 개선. 핵연료거동모사 통합검증. - 모델 통합 및 사고저항성핵연료 전산해석코드 개발 추진업무 6: 노심·열수력 코드연계해석 및 규제검증방법론 제안 - 정상운전 및 설계기준사고시 코팅피복관 사고저항성핵연료의 주요 안전규제 인자들을 모사하여 주요안전규제인자 모사성능 확인. 사고저항성핵연료 장전노심을 위한 핵연료 규제검증방법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사고저항성핵연료 전산해석체계 ○ 사고저항성핵연료 예비 안전규제 ○ 사고저항성핵연료 규제검증 방법론 수립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규제적용 - 2022년 시범연료봉으로 장전 예정인 ATF 장전노심 안전성평가에 즉각적 활용 - ATF LTA 및 특정기술주제보고서 등 관련 인허가 심사시 활용 - 사고저항성핵연료 인허가 기술지원을 통한 도입 시기 단축 - 사고저항성핵연료 안전규제 관점에 부합하는 설계 방향 제시 - 가동원전 핵연료 안전성 평가에도 활용 가능 국제화 - ATF 개발자 및 규제자 워킹그룹에 참여하여 결과물 타당성 확보에 활용 기대효과 - ATF 장전노심에 대한 인허가 심사 기반자료로 활용되어 상용화에 조기 기여 - ATF 장전노심에 대한 안전규제검증 기술 국산화로 고유 검증체계 확보 및 기술 자립에 기여 - 신속한 의사결정 제공을 통한 ATF 적기 사용에 기여 - ATF에 대한 거동모사를 통한 설계기술 발전 촉진 - ATF 장전 원자로에 대한 안전해석 원천기술 선점 - 차세대 경수로 노형개발 및 안전규제 지원 - 관련분야 최고급 전문인력 양성 - 핵연료 코드국산화를 통한 미래원천기술을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홍순준
    • 주관연구기관 : 미래와도전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사고저항성핵연료;규제검증방법론;노심핵설계;코팅 피복관;규제검증코드; 2. Accident Tolerant Fuel;Regulatory Audit Methodology;Nuclear Design;Coated Cladding;Audit Computer Code;
  • 12386

    2024.10.31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한국재료연구원의 다양한 소재 연구에 포항가속기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첨단 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고품위 분석 및 해석 기술을 확보하여 소재 개발을 가속화하고자 함 ◌ 금속 소재 실시간 X-선 고온 이미징 - 소재를 특정 조건에 노출한 후 상온에서 재료의 특성을 관찰하는 ex-situ 분석의 경우재료의 변형 완료 후 용질의 농도 분포 또는 미세조직 조사를 통해 거동을 추정하므로 그 정보에 제한이 존재함 - 재료 내부를 직접적으로(in-situ) 관찰하는 경우 온도, 시간 조건에 따른 재료의 특성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시광선 하에서는 불투명한 재료의 내부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방사광 X-선과 같은 특수 분석 기법이 활용됨 · 방사광 광원은 상용화된 광원 대비 수백만배에서 수억배에 이르는 밝은 광원으로, 상용화된 광원 대비 신호대 잡음 비가 높은 신호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어 시간에 따른 물질의 변화를 실시간으로(real-time, in-situ) 관찰할 수 있음. 이를 활용하여 단순히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캡처하는 것을 넘어서, high-frame & high-resolution X-선 이미징 장치가 개발되었고, 다양한 in-situ 연구에 활용되고 있음. (Y. Wang 외 2008) · 또한, 방사광 광원은 상용화된 광원 대비 우수한 직진성을 가지고 있어, 방사광 X-선을 활용한 Radiography, Tomography(3D), Absorption & phase-contrast 기술을 활용하여 1um/pixel 수준 공간분해능을 갖는 가시화가 가능함의 내부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방사광 X-선과 같은 특수 분석 기법이 활용됨 - Advanced Photon Source(USA), European Synchrotron Radiation Facility(France), Swiss Light Source(Switzerland), Diamond Light Source(UK), Spring-8(Japan)과 같은 해외 방사광 가속기에서는 주조 실험 시 용탕 내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방사광 X-선 가시화 기법을 개발하여 철강 및 경합금류의 응고 거동 실시간 관찰에 활용되고 있으며, dendrite structure, crack, void, porosity, segregation 등 분석가능함. (R.H. Mathiesen 외 2002, B. Li 외 2006, J.L. Fife 외 2012, .Y. Buffiere 외 2010, F. Wang 외 2017, B. Wang 외 2018, K. Nakano외 2020) - 최근에는 이차원 X-선 가시화에서 발전하여 3차원 CT 분석 또는 결정 구조 분석을 위한 X-선 회절 동시 측정으로 분석기술이 발전하고 있음 - 현재, 미국(APS), 유럽(ESRF, SLS, DLS), 일본(Spring-8)에서 방사광 가속기를 활용한 철강 및 경합금류의 응고 거동 실시간 관찰 연구가 수행중이나, 국내에는 유일하게 포항가속기연구소에 금속 응고 거동 실시간 관찰 인프라(2차원 X-선 영상)가 구축되어 있음 · 현재 500 um 두께의 탄소강 시료를 투과하여 내부 거동을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응고 상황에서의 dendrite 성장 및 shrinkage cavity 발생 메커니즘 분석에 활용하고 있음 · 3차원 영상 기법, 결정구조 변화 관찰, 성분분석 등을 실시간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개발 연구를 수행 중임 (출처 : 본문 5p)
    • 연구책임자 : 박이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41100
    • Keyword : 1. 방사광;X-선 이미징;X-선 리소그래피;X-선 흡수 분광; 2. Synchrotron Radiation;X-ray imaging;X-ray lithography;X-ray absorption spectroscopy;
  • 12385

    2024.11.30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 (핵융합 저방사강)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인 핵융합 발전 실용화를 위해 핵융합 구조용 소재인 저방사화강 합금설계·용접특성 평가 및 조사 특성에 대한 연구개발 필요하다. ○ (전기로 고급강) 철강분야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 전기로 고급강 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그를 위해 철스크랩에서 기인하는 tramp 원소의 영향성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선행되어야한다. 1.2. 연구개발의 경제, 사회, 기술적 중요성 ○ 기술적 측면 - (핵융합로 구조용 저방사강) 핵융합 발전은 1억도의 플라즈마를 자기장에 가두는 토카막이라는 장치를 기본으로 구성되며, ‘인공태양’이라고 불린다. 토카막 내부에 중소소(D)와 삼중수소(T)의 주입을 통해 D-T 핵융합 반응을 발생시키면 약 14MeV의 중성자와 헬륨 이온이 생성되는데, 이때 질량결손에 따른 핵융합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핵융합 발전은 기존 원자력 또는 화석 에너지원과 달리 바닷물 등에서 연료를 얻을 수 있어 고갈의 우려가 없고, 온실가스 배출 또는 환경오염 물질 발생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이다. 또한 사고 발생 시 대규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과는 달리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폭발과 같은 사고의 우려가 없는 안전성이 보장된 미래 발전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 지난 2013년에 한국연구재단에서는 다음의 그림 1-1과 같이 향후 핵융합로 건설에 대해 7대 중점 투자 필요분야를 발표하였다. 이들 중, 핵융합 재료분야 기술이 포함되며, 상세하게는 1) 핵융합로 구조용 소재 개발, 2) 구조재 용접 및 접합기술 개발, 3) 개발 소재의 중성자 조사특성 평가 등이 있다. - 핵융합로 구조용 핵심부품인 블랑켓 제작을 위해 저방사강이 가장 유력한 후보 소재로 손꼽히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다음의 표 1-1은 전세계 주요 국가에서의 핵융합로 구조용 저방사강의 개발이력을 나타내고 있다.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저방사강을 지난 1960 ~ 1980년대부터 개발하여 ORNL3971, Eurofer97, F82H 등의 자체 고유 합금을 보유 중이며, 이들에 대한 장기 고온물성, 중성자 조사특성 등과 같이 긴 시간이 요구되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출처 : 본문 5p)
    • 연구책임자 : 이창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41200
    • Keyword : 1. 탄소중립;핵융합;저방사강;전기로;Tramp원소; 2. Carbon neutrality;nuclear fusion;RAFM steel;electric furncae;tramp element;
  • 12384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방사선치료기기별 품질관리 세부 개선안 및 안전규제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국내외 방사선치료기기별 품질관리 현황 분석(‘22) - 일반 LINAC, MR-LINAC, Tomotherapy, CyberKnife, HDR Brachytherapy, GammaKnife, 양성자치료기, 중입자치료기별 해외 선도국의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기술(프로토콜, 기술보고서 등), 품질관리 이행현황 분석, 검증체계(규제체계, 독립적 품질감사 등) 확보 - HDR Brachytherapy, IAEA, COCIR, EFOMP, ESTRO, AAPM, ASTRO 등에서 권고하는 방사선치료기 및 치료기술 대비 적정 인력 및 교육훈련 현황 분석 - HDR Brachytherapy, 국내외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규제체계 조사 및 분석 ※ 양성자 및 중입자 등 입자치료기에 초점을 맞추되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RG 및 RI의 경우는 보완하는 수준에서 정리 ※ 예상성과물: 국내외방사선치료기기별 품질관리 이행 현황 및 규제 체계 비교분석 보고서(안전기술보고서 1건), 일반 방사선치료기별 품질관리 절차 및 지침서(방법론 1건) ○ 국내 치료방사선 사용기관을 위한 방사선치료기기별 품질관리 세부 이행 기준 개발(‘23) - 품질관리 전문인력 기준 및 교육 훈련 방안 도출 - 일반 방사선치료기 품질관리 이행 현황 파악 및 표준 지침서 개발 - 신형 방사선치료기 및 입자방사선치료기 품질관리 표준 지침서 개발 - 방사선치료기기별 규제 적용 방안 도출 ※ 양성자 및 중입자 등 입자치료기에 초점을 맞추되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RG 및 RI의 경우는 보완하는 수준에서 정리 ※ 예상성과물: 치료기기별 품질관리 규제 이행을 위한 필수 적용 항목 제안 보고서(안전기술보고서 1건), 입자(양성자, 중입자) 방사선치료기별 품질관리 표준 지침서(방법론 1건) ◼ 1단계 ❏ 목표 ○ 국내외 방사선치료기기별 품질관리 이행 현황 및 이행 체계 비교 분석을 통한 국내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표준 지침(안) 개발 및 규제 적용 방안 도출 ❏ 내용 ○ 국내외(국제기준, 해외 주요국)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규제 체계, 이행 현황 등 조사 및 분석 (2차년도) - 제도화 여부, 관리항목 및 오차 설정범위, 독립적 품질감사 현황, 전문인력 교육 및 훈련 ○ 국외 신규 및 입자(양성자, 중입자)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현황 및 기술수준 분석 (2차년도) ○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세부 개선 사항 도출 및 이행 기술 개발 - 치료기기별 주요 항목 도출, 대표 품질관리 방법론(관리항목, 측정절차 등) 개발 (3차년도) ○ 국내 신규 및 입자(양성자, 중입자)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기준 제시 (3차년도) -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표준 지침 수립 및 적용 방안 도출 - 표준 지침(안) 국내 규제 적용 방안 도출 ※ 양성자 및 중입자 등 입자치료기에 초점을 맞추되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RG 및 RI의 경우는 보완하는 수준에서 정리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성과 - 국내외 방사선치료기 품질관리 이행현황 분석 - 국내외 신규 및 입자 방사선치료기 표준 지침(안) 현황 분석 - 국내외 독립적품질감사 시스템 현황 분석 - 한계점 및 규제기술 개선방향 분석 - 결론 및 활용방안 ○ 정량적성과 - 국제학술지(SCIE) 논문게재 1건, 국제학술대회 발표 2건, 국내학술대회발표 3건, 안전기술보고서(N-STAR) 1건, 특허디자인등록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IAEA QUATRO와 같은 국내 종합방사선치료기 품질관리 지침서 출판에 활용 - 원자력안전법 제53조 (방사성동위원소⋅방사선발생장치 사용 등의 허가)에 따라,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9-06호 (의료분야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기준) 제5조 (품질관리)의 이행현황 점검을 위해, 의료기관, 학회 등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및 규제 경험 피드백을 통한 표준 지침 수립 - 전반적인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이행 지침 개발 및 현장 적용 ○ 기대효과 - 고선량 방사선치료기기의 투명한 품질관리 지침 수립으로 국민 신뢰도 제고 - 국내외 의료방사선 품질관리 규제 체계 비교 및 고시 개정 이후 각 기관별 이행 수준 파악 - 국내 방사선치료기기 품질관리 체계 고유 특성을 고려한 규제 지침 개발 시 활용 - 품질관리 기술 및 전문인력 수준 향상에 따른 의료방사선 안전성 강화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금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기기;품질관리;전문인력;교육훈련;독립적품질감사; 2. Radiotherapy Equipment;Quality Control;Quality Expert;Education and Training;External Quality Audit;
  • 12383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위성영상 기반 핵활동 및 핵시설 탐지·분석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위성영상 기반 핵활동 및 핵시설 탐지·분석 기술 개발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1단계 ❏ 목표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내용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국내외 북한 핵활동 징후 자료 분석 - 북한 주요 핵활동 및 시설 변화 이력 분석 - 국내외 원자력시설 유형별 주요 특성인자 도출 - 북한 핵시설별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객체기반 변화탐지 알고리즘 요구사항 분석 및 모델링 - 핵시설 특성인자 DB와 탐지 알고리즘 연계방안 연구 - 북한 주요 핵시설에 대한 위성영상 수치지도 제작 - 예비·주요 변화탐지 영상처리 결과 분석(영변 핵시설, 풍계리 핵실험장, 평산 우라늄 광산 등) - 위성영상 수집·분석 체계 연동 분석 플랫폼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공개정보 기반 핵활동 분석 전문가 회의 또는 세미나 개최 - 위성영상 생산·가공·분석 전문기관 활동 참여 - 비확산분야 위성영상 연구개발 관련 국내외 정책연구 및 정보기관 협력 - 북한 핵활동 분석 관련 전문가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 2단계 ❏ 목표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고도화)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체계 구축 및 운영 ❏ 내용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고도화) - 핵활동 및 시설 탐지·감시 관심정보(클래스) 조사 - 공개정보 기반 딥러닝 의미론적 분할 학습 데이터셋 구축 - 전문가 비교검증 개선사항을 반영한 딥러닝 의미론적 분할 학습 데이터셋 수정·보완 - 딥러닝 의미론적 분할 모델 개발 및 최적화 - 의미론적 분할 결과를 활용한 변화탐지 알고리즘 고도화 - 위성영상 핵활동 판독지원 시스템 유지보수 및 고도화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체계 구축 및 운영 - 전문가 대상 위성영상 핵시설 탐지·감시 관심정보 수요조사 - 전문가 비교검증을 활용한 성능 평가·분석 및 개선사항 도출 - 북한 핵활동 분석 관련 전문가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고도화) 관련 전문역량 강화 □ 연구개발성과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안전기술보고서(N-STAR) 13건, 국내 비 SCIE 논문 2건, 국외 SCIE 1건, 국내 학술대회 발표 24건, 국외 학술대회 발표 4건, 저작권(S/W 등록) 1건, 홍보실적 10건, 포상 및 수상 실적 4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북한 핵활동에 대한 시스템(플랫폼) 기반 분석결과 도출을 통해, 북한 핵활동 및 시설 변화 발생 시 정부 대응정책 방향 설정의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 ○ 기대효과 - 독자적 미신고 핵활동 탐지 및 분석 역량 확보로 비핵화 이행 검증 기반 마련 - 효율적 계획 수립 및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지원으로 검증 소요시간 및 비용 절감 - 국제 핵비확산 체제 강화 및 북한 비핵화 이해당사국으로서의 위상 제고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민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위성영상;해석 특성인자;픽셀/객체기반 변화탐지;비핵화 검증;광역탐지 및 원격감시; 2. Satellite imagery;Interpretation key feature;Pixel/Object-based change detection;Verification of denuclearization;Remote sensing and monitoring;
  • 12382

    2024.01.31

    □ 연구목적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과 독일연방물리기술원(PTB)의 한독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방사선 치료와 기후 변화 대응에 필요한 분자-전자 반응 데이터 생산과 응용 기술 개발에 관한 국제 공동 연구 기반 확립 □ 연구내용 ○ KFE-PTB R&D 연구 협력 기반 구축 ­ 생체 기본 분자 2-propanol에 대한 2차미분산란단면적(doubly differential cross section: DDCS) 측정 실험 및 결과 해석(한국 연구자 PTB 방문 연구수행) ­ R-matrix 이론 계산 방법을 통한 저에너지 전자 영역에 대한 H2O, CHON(CH3)2 분자에 대한 미분산란단면적(DCS) 계산(독일 연구자 KFE 방문 연구수행) ○ 한독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워크숍 ­ 국제 공동 연구 주제 발굴을 위한 한독 다기관 주제발표 및 협력 논의 ­ 기관 간 연구자 교류를 위한 정기 워크숍 개최 협의 □ 연구결과 ○ KFE-PTB R&D 연구 협력 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자 교류 활동 ­ PTB DCS 측정장치를 이용한 2-propanol 분자의 2차 미분산란단면적(doubly differential cross section: DDCS) 데이터 측정 및 Modified independent atomic model(MIAM)/independent atomic model with screening corrected additivity rule(IAM-SCAR) 방법을 이용한 2-propanol 분자의 DCS 계산 수행 ­ R-matrix 이론 및 계산 방법 학습, 물분자(H2O)와 CHON(CH3)2 분자에 대한 R-matrix 계산 DCS 데이터 생산 및 비교 평가 ○ 한독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기관 워크숍 ­ 한독 R&D 네트워크 프로그램 워크숍을 통해 KFE-PTB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중심으로 KFE-MPIK, PTB-KRISS 협력 네트워크도 추가로 구축하는 등 다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성과 달성 ­ DNA 손상, 방사선 방호, 이온/전자 발생 장치 개발, 전자 반응 데이터 생산 및 평가 등의 국제협력 연구를 위한 정기적인 교류 추진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KFE-PTB R&D 연구 협력 기반 구축 확립 ­ 한국 KFE와 독일 PTB 간의 ‘방사선 치료와 기후 변화 대응’에 필요한 전자 반응 데이터 연구의 협력 기반 구축을 통해 두 기관의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고, 해당 연구 분야에서 요구되는 양질의 데이터를 상호 보완적으로 생산, 평가하고 자체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보급할 계획 ­ 본 협력을 통한 분자-전자 반응 데이터 생산과 체계화는 방사선 치료 계획 수립 시 사용되는 Monte-Carlo simulator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어 항암 치료 시정밀한 방사선량과 정확한 치료 범위 결정에 따라 선별적 암 살상 효과가 높아지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어 최적의 치료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 ­ 최근 환경변화 및 영향에 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한독 협력을 통한 분자-전자 반응 데이터는 기후 변화, 오존층 파괴와 같은 대기환경 영향의 원인 규명, 영향 평가 및 오존 파괴 모델링 수립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계획임 ○ 한독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기관 워크숍 개최 ­ 한독 R&D 협력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과 공감에 따라 KFE-PTB 중심의 다기관 R&D 협력 네트워크로 확장하여 지속적인 정기 교류와 연구 활성화에 활용하고자 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박연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200
    • Keyword : 1. 전자충돌;미분산란단면적;총산란단면적;방사선 치료;기후 변화;국제협력;MC 시뮬레이션;데이터베이스; 2. Electron collision;Differential cross section;Total cross section;Radiation therapy;Climate physics;International cooperation;MC-simulation;Database;
  • 12381

    2024.02.29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 안전조치 검증용 핵물질 연대측정 핵심기술 개발 - Pu-Am, Pu-U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 핵심 분석기술 개발 - Pu-Am, Pu-U 연대측정 기법 개발 ◼ 전체 내용 ○ 본 연구는 방사성 물질의 붕괴 특성에 기반을 두어 핵물질 연대 즉, 핵물질 정제 이후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 핵물질 연대측정 기술은 물리적, 화학적, 동위원소 특성 등 여러 변수들과 함께 핵물질의 이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서, 시설안전조치 사찰시료 분석, 핵활동의 추정과 검증, 미신고/미확인 핵물질의 출처 파악 등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기술임 ○ 다양한 연대측정시계를 이용한 핵물질 연대측정 기술 개발을 위해, Pu-Am과 Pu-U 연대측정시계 (radiochronometer)를 이용한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을 개발하는 것임 ○ 청정시험시설과 극미량 핵물질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피코그램 (pg)급 극미량의 아메리슘과 우라늄을 모핵종인 플루토늄으로부터 순수분리하여 동위원소희석법에 따라 정량분석하는 요소기술을 1-2차년도까지 개발하고, 이에 기반한 연대측정 핵심 기술을 3차년도까지 개발 완료 및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알고리즘과 핵물질 별 연대측정 절차를 개발하여 연대측정용 전산 S/W 개발에 활용하고, 개발한 연대측정 기술을 국제협력 등의 방법으로 검증 ◼ 1단계 ❏ 목표 ○ 시설 안전조치 검증용 핵물질 연대측정 요소기술 개발 ❏ 내용 ○ 1차년도 (2021.04.01.~2021.12.31) - 핵물질 유형 별 연대측정 알고리즘 개발 - 플루토늄 매질 내 극미량 아메리슘 순수 분리 기술 및 정량 분석법 개발 ◼ 2단계 ❏ 목표 ○ 시설 안전조치 검증용 핵물질 연대측정 핵심기술 확립 ❏ 내용 ○ 2차년도 (2022.01.01.~2022.12.31.) - Pu-Am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 개발 - 동위원소희석질량법에 의한 피코그램 (pg)급 Pu, Am 정량분석법 개발 - 표준시료를 이용한 Pu-Am 연대측정 핵심기술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S/W 설계 ○ 3차년도 (2023.01.01.~2023.12.31) - 플루토늄 매질 내 피코그램 (pg)급 우라늄 순수분리기술 및 정량분석법 개발 - Pu-U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 개발 - 표준시료를 이용한 Pu-U 연대측정 핵심기술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절차서 개발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S/W 개발 □ 연구개발성과 ○ 핵물질 유형 별 연대측정 알고리즘 확보 ○ 동위원소희석법에 의한 피코그램 (pg)급 핵물질 정량분석 기술자료 생산 ○ 플루토늄 매질 내 아메리슘 및 피코그램 (pg)급 우라늄 순수 분리 절차 및 정량 분석 기술자료 생산 ○ Pu-Am, Pu-U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 절차 확보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S/W 및 핵물질 연대측정 절차서 확보 ○ 핵물질 연대측정 연구 관련 학술 발표, 논문 게재, 저작권 등록, 안전기술보고서 발간 및 핵물질 전문분석 인력 양성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핵물질 생산시기 추정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핵안보 및 시설 핵안전조치 역량 강화 ○ 국내 미신고/미확인 핵물질 발견 시 이력추적 등 신속 대응을 통한 국가 안전역량 제고 ○ 우라늄 농축, 플루토늄 재처리 등의 주변국 핵활동을 통해 생산된 핵물질의 생산 시기 추정에 활용 ○ 방사붕괴반응에 기반한 핵물질 생산연대 추정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선진국 수준의 핵활동 검증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주변국 핵활동 검증 역량을 향상시키는 한편, 향후 북한 비핵화를 대비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기술 지원 능력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근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핵물질;연대측정법;우라늄;플루토늄;동위원소희석법; 2. nuclear material;Radio-chronometry;uranium;plutonium;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 12380

    2024.02.29

    □ 연구개요 만성 염증성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은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고가 치료약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질병 부담금이 높은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또한, 해당 질병에서 주로 사용되는 생물학적 제제의 사용은 부작용으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 시킬 수 있어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저선량방사선의 항염증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며, 적정 선량, 분획, 최적의 치료시기를 제시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합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Collagen-induced arthritis mouse에서 항염증효과를 보이는 저선량방사선의 적정선량, 분획, 최적의 치료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반복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이 발현된 후 총 2 Gy의 방사선량을 4 분획에 걸쳐 조사하는 것이 항염증효과를 가장 크게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 mouse model에 국한하지 않고 위와 같은 실험을 K/BxN mouse에서 반복하였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서 얻은 세포에서도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들에서 저선량방사선은 류마티스 관절염 mice에서 lymphocytes의 activati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l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국소적인 lymphocyte apoptosis를 증가시키며 immune cell 수를 감소시켰습니다. 그리고 연골 파괴 정도를 감소시켰습니다. 기존 연구 목표에서 적정 저선량방사선 조사 방법의 확립과 항염증효과 기전 규명은 진행되었고, 목표했었던 기존 류마티스 관절염 약제와 저선량방사선 결합치료에 대한 시너지 효과 검증은 추가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다양한 mouse model 및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서 얻은 세포에서 저선량방사선이 안전하게 국소적인 항염증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적정 치료시기, 선량 및 분획을 확인하였기에 추가적인 임상시험 이후, 환자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기존 류마티스 관절염 약제와 저선량방사선의 결합치료에 대한 추가 실험을 통해 기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치료 전략을 구상해 볼 수 있습니다. 저선량방사선의 항염증효과를 확인했기에, 다른 염증성 질환에서도 해당 치료적용을 확대해 연구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훈식
    • 주관연구기관 : 경상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저선량방사선;류마티스관절염;항염증효과;세포자연사; 2. low-dose radiation;rheumatoid arthritis;anti-inflammatory effect;apoptosis;
  • 12379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전 실시간 계측, 운영, 운전, 안전 및 사고관리 Big Data와 심층학습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파일럿 플랫폼 개발 ◼ 전체 내용 - 원전 실시간 감시계통 계측기 신호 진단 및 신호해석과 디지털 신호 동적보상 논리 개발 - MARS-KS를 활용한 열수력계통 안전해석 Big Data 구축 체계 개발 - 원전 운영, 운전, 안전 및 사고관리 파일럿 Big Data 구축 - 가동원전 및 AtomCARE와 연계 및 활용방안 검토 - 원전 Big Data를 이용한 원전 운전, 과도 및 사고진단, 예측과 대응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심층학습 구축 방법론 개발 - 원전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파일럿 플랫폼 (iLisa-MP, intelligent Living Safety & Accident - Management Platform) 개발 및 확인검증 ◼ 1단계 ❏ 목표 ○ 원전 실시간 감시계통과 운영, 운전, 안전 및 사고관리 Big Data를 이용한 운전, 과도 및 사고진단, 예측 및 대응 AI 심층 학습 방법론 개발 ❏ 내용 - 실시간 감시계통 신호 진단, 해석 및 동적보상 방법론 개발 - 참조원전 및 파일럿 Big Data 구축 대표 Event 선정 - AtomCARE 운영현황 및 기술 현안 검토 - 참조원전 운영, 운전, 안전 및 사고관리 Big Data 구축방법론 개발 - 참조원전 실시간 감시계통 입력과 운전, 안전 및 사고관리 Big Data를 이용한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AI 심층학습 방법론 개발 ◼ 2단계 ❏ 목표 ○ 참조원전 파일럿 Database 구축 및 파일럿 Big Data를 이용한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파일럿 플랫폼 개발 및 확인 검증 ❏ 내용 - 실시간 감시신호 진단, 해석 및 동적보상 모듈 개발 - MARS-KS 해석을 통한 참조원전 파일럿 Database 구축 - 참조원전 운영기술지침 (T/S), 비정상운전절차서 (AOP), 비상 운전절차서 (EOP) 및 사고관리계획서 (AMP)의 실시간 운전, 안전 및 사고관리 AI 심층학습 연계 방법론 개발 -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AI 심층학습 알고리즘 선정 및 참조원전 파일럿 플랫폼 설계 - 가동원전 및 AtomCARE와 연계 및 규제 활용방안 도출 - 원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관리 방법론 개발 - 실시간 감시계통 신호 및 파일럿 Big Data를 이용한 참조원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파일럿 플랫폼 개발 및 확인검증 □ 연구개발성과 ○ 안전기술보고서 (N-STAR) : 6건 - 원전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심층학습 상태입력층 구축방법론 - 원전 실시간 사고진단 및 예측을 위한 심층학습 이상탐지 방법론 - 원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영관리 방법론 - 원전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의 사고예측 방법론 개발 - 인공지능 기계학습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 개발 방법론 - 원전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의 인공지능 지도학습 사고진단 방법론 ○ 논문 : 국외 SCIE 논문 제출 : 1건 - Machine Learning Accident Diagnosis and Prediction Methodology using MARS-KS Best-estimate Safety Analysis Database of APR1400 Advanced Power Reactor (NED 논문 제출완료 : 제출번호 NED-D-24-00009) ○ 학술대회 발표 : 국내 2건, 국외 1건 - Anomaly Detection Methodology based MARS-KS Simulation Database(KNS) - Operational Anomaly Detection Methodology using MARS-KS Nuclear Safety Transient Simulation Database (KNS) - Machine Learning Anomaly Data Detection and Accident Diagnosis Methodology using MARS-KS Design Basis Event Analysis Database of APR1400 Nuclear Power Plant (NURETH) ○ 지식재산권 : 국내 출원 1건 -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술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운전원을 지원하기 위한 가동원전의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자동운전 플랫폼과 중소모듈형 및 초소형 원자로의 안전한 자율운전 플랫폼 ○ 저작권 (소프트웨어) : 등록 2건 - Nuclear Power Plant intelligent Living safety and accident Data Bank (원전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데이터뱅크) - iLisa_GUI (아이리사 지유아이) ○ 전문 연구 인력양성 : 학사 1명 ○ 산업 기술 인력 양성 : 5명 - KSA (한국표준협회) 인공지능 고급과정 수료 5명 ○ 홍보실적 : 4건 - ANS Winter 학술대회 - Winter NuSTEP meeting 기술 발표 - NTHAS 학술발표 - Summer NuSTEP meeting 기술 발표 ○ 고용 효과 : 3명 - 책임급 : 1명 (2021년도 채용) - 석사급 : 1명 (2022년도 채용) - 학사급 : 1명 (2021년도 채용)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개발한 파일럿 플랫폼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 가동원전의 운전, 과도 및 사고 감시, 진단, 예측 및 대응을 위한 운전원 지원 자동운전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 (iLisa-MP, intelligent Living Safety & Accident – Management Platform)을 개발하여 가동원전의 안전성 및 운전 효율성 향상에 기여 - 국가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혁신 소형모듈원자로 (i-SMR)’ 및 국내 산학연에서 개발하고 있는 다양한 목적의 중소모듈형 및 초소형 신형원자로의 인공지능 기술 및 자율운전 기술개발 선도와 인공지능 기술 적용 인허가를 위한 규제 기준 및 규제 독립검증 방법론 미래형 원자로 규제수요 대비 규제기반기술 확보 - 국내외에서 해양, 우주 및 국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개발 중인 중소모듈형 및 초소형 신형원자로의 안전성 강화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한 인공지능 자율운전 초격차 기슬개발로 미래형 신형원자로 자율운전 규제기술 개발 및 원자력 인공지능 기술 선도 - 원전의 실시간 종합안전 및 사고관리 플랫폼 구축을 통하여 원전의 운전, 과도안전 및 사고의 실시간 감시와 사고 대응 및 완화를 통한 가동원전 안전성 강화로 원자력에너지 및 원자력 산업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 제고 - 미래 중소모듈형 및 초소형 원자로 인공지능 자율운전 초격차 기술개발을 통한 미래 중소모듈형 및 초소형 원자로 자율운전 시장 선점과 원자력 기술수출 경쟁력 제고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심석구
    • 주관연구기관 : 이엔이티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실시간 감시계통;빅데이터;인공지능 기계학습 기술;원자로 안전 및 사고관리 자동운전 플랫폼;원자로 자율운전 운영관리 플랫폼; 2. Real-Time Monitoring System;Big Data;AI Machine Learning Technology;Reactor Safety and Accident Management- Autonomous Platform;Self-driving Reactor - Operational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