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98/1,239

검색
  • 11412

    2020.02.29

    □ 연구개요 본 과제는 암세포의 당대사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조절에 있어, Nuclear Factor-κB(NF-κB)의 역할과 그 분자수준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modulate 함으로써 암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술의 개발을 연구 목표로 하고 있음. 본 연구를 통해 암세포가 당대사와 ROS 농도를 조절하여 생존을 유지하는 기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NF-κB 활성 억제 약물을 사용하여 암세포의 ROS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를 변조하는 새로운 암치료 기술의 개발에 기여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아울러 FDG PET를 통해 NF-κB 활성도를 반영하는 당대사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분자영상 기법으로 치료효과를 조기에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과제의 연구 목표였던 암세포의 NF-κB와 관련한 ROS 활성도를 정량하였으며, 암세포주를 선정하고 유지 및 실험조건 최적화를 수행하였음. NF-κB 활성도를 조절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치료에 필요한 충분한 ROS 변화를 유발하지 못하였으며 NF-κB 활성도를 이용한 암치료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됨. 기존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암세포주에서 천연물 신약/발현조절 약제를 이용하여 ROS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재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A549 폐암세포주에서 genipin과 elesclomol의 병용투여를 통해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발함을 확인하였고, 동물 모델에서도 tumor growth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음. 국내 특허를 출원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과제에서 진행된 연구 결과를 통해 암세포의 당대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ROS를 증가시켜, apoptosis를 유발시킬 수 있었음.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정상세포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항암 치료 기술 개발에 이용할 수 있겠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영석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NF-κB;cancer;ROS;reactive oxygen species;apoptosis;FDG;
  • 11411

    2020.06.30

    3. 기술개발 결과요약 □ 개발내용 및 결과 - 현존하는 가장 빠른 반응속도를 갖는 유기섬광센서와 입사된 빛을 100만배 증배하는 실리콘 광증배기를 이용한 섬광방사선 측정기임 - 실시간으로 방사선 측정이 가능하며, 선량계 화면을 통해 방사선 노출량 확인 가능 - BLE 블루투스 기능 탑재로 무선송신 이용하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력 저장 후 확인 가능 -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되어 방사선 종사자 휴대에 용이하며 수술 중 착용 가능 -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원하는 부위에 맞춰 사용 가능 □ 핵심기술 검출 속도가 1초 이하인 섬광센서를 이용하여, 작업 중 방사선 노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체 착용 방사선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 신규 개발된 신기술로 제작한 세계최초 제품이자 국산 제품임 - 기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소형화 및 무선통신 기술을 개선하여 개발하여, 선량계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지 않고도 시스템화면으로 실시간모니터링 가능함 - 향후 기술 수출이 가능하고 센서의 독점생산으로 당분간 제품의 독점 가능 □ 적용분야 - C-arm을 사용하는 외과 수술이나, 방사성 의약품 제조, 방사선 장비 사용자와 같이 병원 내 의료진 혹은 의료기사, 방사선종사자의 방사선 노출량 파악 - 산업용으로 원자력발전소 근무자등과 같은 방사선종사자 및 점검, 수리자 등의 방사선 노출 여부 확인 (출처 : 요약(초록) - 3. 기술개발 결과요약 5p)
    • 연구책임자 : 서준석
    • 주관연구기관 : 제이에스테크윈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티엘디;의료용;방사선;모니터링;선량계; 2. TLD;medical;Radiation;Monitoring;dosimeter;
  • 11410

    2020.11.30

    ○ 고온기 단감 일소 피해 경감기술 개발 ○ 키위 수출 문제점 모니터링 및 수확후관리 기술투입을 통한 수출유망 품종 가능성 검토 ○ 감귤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소재 개발 ○ 무인방제기 종류별 방제효율 향상법 구명 ○ ‘매향’ 딸기 보광 및 저온 피해 경감제 처리 효과구명 ○ 공기정화재배장치 성능 및 안전 기준마련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정성민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일소;키위;항바이러스;딸기;공기정화식물; 2. Sunburn;Kiwifruit;anti-viral activity;Strawberry;Air purifying plant;
  • 11409

    2020.11.30

    1. Research Purpose 1.1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Traditionally, the nuclear power plant (NPP) was used for base-load operation in many countries. However, renewable energy contribution to electricity is quickly increasing in most of countries in support of the efforts to reduce CO2 release and prevent the irreversible climate change in the whole globe. Taking into account the seriousness of the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e nuclear energy will be more utilized in the future in many countries. As a result, it is very likely that the existing and coming NPPs should co-exist with siz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One clear issue of the renewable energy is that it is intermittent and it may cause grid-instability if the renewable size is noticeable. Consequently, the future NPPs are requested to be more resilient and flexible so that it can easily coexist with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UAE, it is expected that the solar power will quickly increase and its electricity share will be possibly bigger than that of the 4 APR1400 units which are under construction. Therefore, load-follow capability of NPPs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synergistical symbiotic coexistence with renewable energies. (출처 : 본문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김용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08

    2020.05.31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표는 방사선의 안전한 의료/산업계 이용을 위해, 방사선피폭자의 3D 스캔 피부 표면영상을 Radiomic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부손상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사선은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은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방사선 피부손상의 평가는 의사의 주관적인 평가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피부손상 평가가 절실하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Radiomics의 영상분석을 피부 표면영상 분석으로 범주를 확장하여 방사선 부작용을 예측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피부손상을 평가할 수 있는 예측모델 개발 - 3D 스캐너 및 피부측정기에 대한 3D 스캔 기술 최적화 - 개인별 피부 색상 차이 보정모델 개발 - 22개의 질감분석 파라미터 알고리즘 구현 - 상당한 방사선피폭이 예상되는 유방암 환자 20명 선정 후 3D 스캔 피부 표면영상 획득 - Radiomics 분석을 위한 피부 표면영상의 질감분석 파라미터 계산 - 임상정보 획들을 위한 환자 20명에 대한 방사선 표면선량 측정 및 RTOG grade 평가 - 질감분석 파라미터와 환자의 방사선 피부손상 임상정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방사선 피부손상 예측모델 개발 ○ 연구과제의 정량적 성과 - SCI(E)급 논문 3편 - 국내학술지 논문 3편 - 국제 학술대회 발표 1건 - 국내 학술대회 발표 1건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치료 받는 환자에 대해 미리 방사선 피부손상의 전조증상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선 부작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수행되었던 주관적인 방사선 피부손상 평가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피부손상 평가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방사선 부작용 분야에 있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은 상용화가 가능하고, 그 가용시장이 계속 성장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잠재적인 경제적 가치가 크다. 또한 방사선 안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어 본 연구개발결과는 의료·산업적으로도 매우 의미있는 결과이며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모델은 체내 방사선량을 평가·예측할 수 있는 초석 연구로 활용 가능하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소연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치료;라디오믹스;방사선 피부손상;방사선 부작용;비침습적;3D스캐너;피부 표면영상;질감분석;기계학습;
  • 11407

    2020.05.31

    □ 연구개요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 및 피폭위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초소형의 개인피폭선량계를 개발하여 방사선작업종사자를 방사선 위해요소로부터 보호하고자 함. ㅇ 무선정보전송 시스템을 통해 광센서로 측정된 선량을 외부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게끔 함. ㅇ 개인피폭선량계 내부에 GPS를 삽입하여 방사선노출위치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고선량 및 방사선노출위험지역을 차단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광센서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개인피폭선량계 기본 특성 평가 완료 ■ 광자선, 감마선 및 양성자선에 대한 광센서의 특성 확인 ■ 외부 빛의 유무 및 사용자의 방사선 노출 환경에 따른 광센서의 특성 변화 확인 ■ 광센서의 크기, 종류, 길이에 따른 방사선 검출 정확도를 확인하여 방사선 검출을 위한 최적화 조건 도출 ▶ 2차년도: 광센서 기반 초소형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 개인피폭선량계 개발 및 최적화 완료 ■ 프로토 타입의 선량계에 대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여 가능성 확인 ■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을 위하여 무선정보전송 시스템 추가 및 보완 ▶ 3차년도: 광센서 기반 초소형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 개인피폭선량계 효용성 평가 완료 ■ 방사선 발생구역 내 임의의 위치에서 개발된 개인피폭선량계를 통하여 측정된 선량은 기준값 대비 5% 이내의 오차를 보이고 위치 좌표는 7cm 이내의 오차를 보여 효용성 확인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팀이 개발한 광센서 기반 개인 피폭선량계는 선량계 내에 무선정보전달 시스템이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피폭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분실 시에도 이전의 선량정보의 손실이 없고 뿐만 아니라 과선량에 노출되었을 때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보다 큰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 • 또한, 방사선작업종사자 뿐만 아니라 수시출입자도 방사선피폭위험지역에 출입 시실시간으로 피폭선량을 확인하고 출입 당시에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고선량 피폭에 의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선량계 내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삽입하여 피폭선량뿐만 아니라 피폭 당시의 위치까지 기록해 고선량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확인하고 접근을 차단해 대중의 방사선 노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 • 즉, 기존의 사후 방사선 관리를 위치기반의 실시간 방사선량을 측정 관리함으로써 방사선안전관리를 한층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신동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방사선작업종사자;개인피폭선량계;광센서;실시간;모니터링;무선통신;
  • 11406

    2020.11.30

    Ⅳ. 연구 결과 ○ 원자력기술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수준 평가모델 적용 -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집계한 다음 최종결과를 종합 ○ 원자력기술 분류체계 수립 - 제5차 원자력연구개발 5개년계획 및 제2차 원자력안전 종합계획 등 정책변화 반영 - 최근 기술동향을 반영하여 13개 중분류, 95개 소분류 체계 수립 ○ 주요 5개국(한/미/프랑스(EU)/일/중)에 대한 원자력안전기술 수준조사 - 국가별 궁극기술 대비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미국이 최고기술보유국으로 평가되었음 - 2020년 현재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에 비하여 한국의 원자력안전기술 수준은 82.5%로 평가됨 - 기술격차는 4~10년 정도로 평균 5.7년의 값을 보임 ○ 원자력 안전도 제고 기여지수 - 원자력 R&D 기여도는 89.4%, 2019년 3분기~2019년 4분기까지 원자력발전소 안전도 92.0, 원자력 안전 기여도 82.2로서 원자력 안전도 제고 기여지수A는 82.4로 평가 되었음 - 원자력 안전 기술 체감지수는 83.1으로 조사됐으며, 원자력 안전기술 역량지수 82.5를 적용하면 원자력 안전도 제고 기여지수B는 82.6으로 평가되었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기혁
    • 주관연구기관 : 비피기술거래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05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암 면역치료는 이제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와 함께 4가지 암치료의 기둥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2015 년에만 암 면역치료제의 연간 판매액이 26 억 달러를상회하였으며 이 시장은 연평균 20 %의 복합 성장률로 2024 년까지 총 340 억 달러 매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 그럼에도 암 면역치료제들은 치료 반응률이 20% 정도에 머문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음. 또한 30-40% 의 환자들이 면역항진에 의한 부작용을 경험하며 3-4%에서는 grade 3 이상의 심각한 부작용을 겪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 면역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암항원 포착 방사성 나노약제를 개발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 PLGA 나노입자의 합성과 사이즈 조절 방법 확립 - 암 항원 포착 능력을 확인하였으며 균일한 사이즈로 합성이 가능하였음. ▶ pH sensitive PLGA 나노입자의 항원 포착 능력 확인 - 암 부위 low pH 에 의하여 항원 포착 능력이 상승하는 pH sensitive PLGA 나노입자 기능개발 ▶ 클릭 화학 기반 알부민 나노약제 플랫폼 개발 - 높은 암 표적 능력 및 체내 순환 능력을 갖는 알부민 나노플랫폼 개발 ▶ 방사핵종 통한 광역학 치료 용 Europium 담지 liposome 나노입자 개발 - 외부 조사하는 빛이 아닌 방사핵종의 방사선을 통하여 광역학 치료 효과를 일으키는 나노약제 개발 - 향 후 면역치료 효과 증진을 위하여 병용될 수 있을 것임. ▶ 광열 치료 용 Liposomal Au-liposome (LAL) 나노약제 개발 - 체내 안정성이 뛰어나고 암 표적능이 높은 LAL 개발 - 체내 광열 치료 효과 확인하였으며 면역 치료와 병용 시 치료 효과 상승을 확인하였음. ▶ 면역 항상성 치료를 위한 비장 표적 황화수소 리포좀 개발 - 체내 면역 세포에 표적되는 H2S donor 리포좀을 개발함 - 체외 면역 세포 M2 macrophage 분화에 유용함을 밝힘 - 체내 Treg 세포 분화 촉진을 확인함. - 향 후 암 질환, 자가 면역질환 등에 면역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임. ▶ FDG PET – genomic data를 이용한 암 이질성 연구 - 면역세포 침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암의 이질성을 체내 영상,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함. - 통합적 분석은 암환자 예후 예측에 유용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난치성 암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주어 생존율을 상승시킬 뿐 아니라 항암 치료의 부작용을 줄여주어 암 환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광역학 광열 치료와 면역치료를 융합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할 것임. ▶ 방사선 의학 및 나노의학 분야의 산업화 및 임상 적용을 혁신적으로 도약시킬수 있을 것임. ▶ 항암면역치료의 부작용은 때로 매우 심각한 정도인데 다양한 면역치료 효과증진을 위한 나노약제의 효과적인 개발은 면역치료제 사용 용량을 줄여 부작용을 줄여 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13p)
    • 연구책임자 : 임형준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면역치료;나노약제;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테라노스틱스; 2. Immunotherapy;Nanomedicine;Therapeutic radionuclide;Theranostics;
  • 11404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연구개발 목표는 “PS 강재 긴장력 모니터링용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Smart concrete anchorage) 기술” 개발을 통하여 혁신적이고 독자적인 PS 강재 정착구를 만드는 것이다. 상기의 “PS 강재 긴장력 모니터링용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기술 개발”을 위하여 크게 두 가지 중점 연구 내용을 아래와 같이 수행하였다: 1)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개발을 위한 복합적 연구; 2) 실제 적용성 평가를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의 정착구의 전기-역학적 모니터링 성능평가이다. 우선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개발을 위한 복합적 연구를 위하여 세부적으로 아래와 같은 상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전기-역학적 민감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 배합 개발 •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 인자가 스마트 콘크리트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스마트 콘크리트의 전기-역학적 성능평가 및 역학적 성능평가 •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설계(안) 제시 제시된 스마트 콘크리트 정차구 설계(안)을 바탕으로 실제 적용성을 위한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한 상세연구내용은 아래와 같다. •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용 Plug-in형 매립식 전극 개발 •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의 전기-역학적 성능평가 마지막으로, 개발된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가 실제 PSC 교량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시공방안과 노후화로 인한 보수보강이 필요한 교량에도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PS 강재 긴장력 모니터링용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기존 스마트 콘크리트의 탄성영역에서 미미한 전기적 민감도를 증대시키면서, 긴장력이 도입된 PS 강재의 긴장력 저하 또는 손실이 발생함에 따른 전기-역학적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PS 강재의 파단을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긴장력을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개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제안 기술은 새로 건설되는 PSC 교량 또는 보수보강이 필요한 교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스마트 기술과 일반 건설재료와의 융합으로 독자적인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를 개발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 자체가 긴장력을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구조진단 및 유지관리 분야 기술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관련 기술의 대외 의존도 감소 및 독자적인 기술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래 4차 산업혁명 건설 분야를 주도하기 위한 원천기술 연구로써 스마트 콘크리트 정착구 개발은 미래형 토목 구조물 관리의 기초적인 연구이자, PSC 교량 시설물의 안전 모니터링에 혁신적인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동주
    • 주관연구기관 : 세종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스마트 콘크리트;PS 강재 정착구;모니터링 시스템;섬유;나노재료; 2. Smart concrete;PS steel anchorage;Monitoring system;Fiber;Nano materials;
  • 11403

    2020.11.30

    소듐냉각고속로개발사업의 3단계 연구는 소듐냉각고속로 핵심기술 인증을 위한 특정기술주제보고서 심사대응, 사용후핵연료 연소성능 향상 기술 개발 및 소듐·안전 현안 해결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부피·독성저감 기술에 대한 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수행되었다. 특정기술주제보고서 심사대응은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에 관한 특정기술부제보고서(TR) 승인 획득을 위한 인허가 대응 총괄을 목표로 한다. 특정기술주제보고서는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제131조에 규정하는 바에 의해 소듐냉각고속로 설계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 및 안전성 관련 핵심 기술로서 TRU 소각용 SFR 개발에 직접 활용 가능한 주제인 금속연료봉 설계, 핵설계 전산체제, 소듐방사화 평가, 열유체 설계, 지진응답 해석, 소듐화재 및 소듐-물반응 해석 그리고 동특성해석에 관한 기술 10종을 선정하였다. 현재 TR 인허가 심사대응 현황은 TR 1종에 대한 서류적합성검토 진행 중, TR 1종에 대한 서류적합성 검토 종료(부적합), 그리고 TR 8종에 대한 본 심사가 진행 중이다. 국내 금속연료 기술 검증을 위해 BOR-60 연료봉 조사시험의 경우 목표 연소도 7 at.% 달성하였으며 노내성능 검증자료를 확보함. 또한, BOR-60 피복관 조사시험을 통해서는 목표 조사량 75 dpa 달성하여 노내크리프와 물성 자료를 확보하고 피복관의 노외 크리프 시험자료와 연계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설계를 마친 원자로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소듐 열유동 종합효과 시험장치구축 및 시험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국내 소듐냉각고속로 설계기술, 전산체제, 소듐기술 등의 종합적인 검증을 수행하였고 설계 중심의 기술개발 능력을 하드웨어적 검증단계까지 발전시켰으며 세계적 수준의 대형 시설을 구축하여 우리나라의 제4세대 원자력 기술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신뢰성 있는 소듐 누설 감시시스템 및 소듐 계측기기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첨단 계측기술인 분포형 온도 계측시스템을 도입한 차세대 누설감지 시스템 개념을 개발하였으며, 이 계측기기들은 소듐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체금속(비철금속,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철산업, 용융염 등)을 활용하는 산업에서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에 신산업 발굴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였다.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내 독성저감을 위하여 주요 독성원소인 TRU를 연소시킬 수 있는 TRU 함유 노심을 개발하고, 소듐냉각고속로의 사회적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듐-물 반응사고의 원천 방지가 가능한열교환기 후보개념을 개발하였다. 또, 에어로졸 거동 방정식과 3차원 유동방정식을 연계함으로써 소듐에어로졸의 3차원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를 설계 및 설계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전산해석체제를 구축하였다. SAS4A 전산코드의 주요 중대사고 모델인 SSCOMP-A, DEFORM5-A, PINACLE-M, LEVITATE-M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를 사용한 검증 해석을 통해 용융핵연료 분출 이후 시점까지 해석이 가능하도록 코드를 확장 개발하였으며, START 코드 내 ISFRA 모듈의 에어로졸 핵분열생성물 수송모델 (질량추적방법론)을 ABCOVE 실험에 대하여 검증하였고, 그 수송모델의 특성과 해석 기제가 분석되었다. 소듐냉각고속로의 지진 및 소듐사고에 대비한 대응기술을 개발하고,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가동중검사 및 구조감시기술을 개발하여 SFR 원형로의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진 취약 구조물에 대한 한계내진성능 향상 연구 및 대형지진에 대응할 수 있는 면진장치를 개발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하였다. 또한, 소듐 누설확률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이중배관을 개발하여 소듐에 대한 안전성을 증진하였다. 주요 구조물에 대한 가동중검사 센서 시작품을 개발하고, 고온구조물의 크립-피로 손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소듐 누설사고를 예방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50p)
    • 연구책임자 : 어재혁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소듐냉각고속로;부피·독성 저감;핵심기술;초우라늄;금속연료;종합효과시험;특정기술주제보고서;기술 검증; 2. Spent fuel;Sodium-cooled fast reactor;Volume·toxicity reduction;Key technology;TRU;Metal fuel;Integral effect test;Topical report;Technology Verification & 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