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98/1,246

검색
  • 11488

    2020.11.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망간기반 암치료 나노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1) 방사선 병합치료 기술 개발 2) 면역조절 병합기술의 심화기술을 개발 3) 다양한 종양 이식 동물 모델 (피하 이식 모델/ 동소 이식 모델/전이 모델등)을 활용하여, 항암 효과를 검증하고 그 특성을 규명 4) 최적의 망간기반 암치료 나노플랫폼 기술 도출 ∎ 개발된 심화기술에 기반한 지식재산권 확보 및 창업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들을 위한 개발 완료하여 상용화를 위한 과학적/임상적 근거를 제시 □연구개발성과 ∎ 논문 (총 5편 게재) -나노플랫폼의 면역치료 적용을 위한 포석으로 다양한 입자와 면역치료제를 병합한 문헌을 정립 -효과적인 Hypoxia 제거를 위한 ROS 반응형 나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 논문 게재 -Tumor 내 Hypoxia와 연관된 factor인 ROS의 조절에 관한 논문 게재 -나노플랫폼 구축에 따른 확장성(기업으로의 기술이전) 확보를 위한 논문 게재 ∎ 특허 (총 2건 출원) -암치료 나노플랫폼 구성 재료 중 하나인 Lgals3bp 생산 및 이의 용대에 관한 특허 출원 완료 -망간 담지 나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복합치료 약물전달체 개발에 관한 특허 출원 완료 ∎ 국책과제 수주 (국책과제 4건, 연구용역 1건, 총액 88억) ∎ 연구소기업 창업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본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1) 임상연구 진행단계와 절차 2) 임상시험 승인절차를 확인하여 본 사업 이후(2024년~)에 실질적인 수익 및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할 예정 ∎ 항암 병합요법의 플랫폼이 완성될 경우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음 => 응용 범위 확대, 높은 가치 창출, 연구 활성화의 선순환 도출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인규
    • 주관연구기관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산소발생 나노입자;방사선치료;면역치료;암 저산소증;활성산소종; 2. Oxygenic nanoparticles;Radiation therapy;Immunotherapy;tumor hypoxia;Reactive oxygen species;
  • 11487

    2020.01.31

    ○ 학술발표 13편 - 아로니아 고랭지 경사밭재배시 적정 피복작물 선발 - 추비처리에 따른 아로니아와 댕댕이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 지역 및 재식거리가 곰취 ‘쌈마니’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곰취 신품종 식물체의 저온처리기간이 휴면타파에 미치는 영향 - 곰취 신품종 ‘쌈마니’의 재배지역 및 수확시기별 생리활성 비교 - 고랭지 산채류 경관농업을 위한 곤달비와 혼식용 자생식물 선발 - 고랭지 산채류 경관농업을 위한 곰취 다목이와 혼식용 자생식물 선발 - 곤달비와 자생식물의 혼식을 통한 흰가루병 진행 억제 효과 -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자생국화 15분류군의 형태적, 화학적, 유전적 분류 - Classification of fifteen taxa of Korean Chrysanthemum based on phenotyp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aves in Korean Chrysanthemum via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ase-2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 GC/MS를 이용한 감국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 경관작물 구절초의 고랭지 경사지밭 토양유실 경감 효과 ○ 논문게재 5편 - 아로니아 고랭지 경사밭재배시 적정 피복작물 선발 - 지역 및 재식거리가 곰취 ‘쌈마니’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cold treatment period on a plant’s dormancy breaking in the winter production of Gomchwi’s new varieties(Ligularia fischeri), 한자식지 -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nrDNA) Chrysanthemum species in Korea - 구절초의 고랭지 경사지밭 토양유실 경감 효과, 한자식지 ○ 영농활용 : 9건 - 아로니아 고랭지 경사밭재배시 적정 피복작물 선발 - 댕댕이나무 고랭지 재배기술 - 곰취 신품종 고랭지재배시 적정 차광과 토양 피복자재 선발 - 곰취 신품종 ‘쌈마니’ 재배시 적정 재식거리 구명 - 곰취 신품종의 동계 식물체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시간 구명 - 곰취 ‘쌈마니’ 지역 및 수확시기별 항산화 활성 비교 - 곤달비와 천궁 혼식을 통한 곤달비 흰가루병 진행 억제 효과 - 감국류 개화특성 및 향기성분 정보 제공 - 구절초를 이용한 고랭지 경사지 경관작물 활용 ○ 정책자료 1건 - 강원 고랭지 경사지밭 소과류 과원조성시 토양보존을 위한 피복작물 종묘비 지원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서종택
    • 주관연구기관 : 국립식량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소과류;산채류;꽃차;혼식;경관작물; 2. small fruit;wild vegetable.;flower tea;mixed planting;Landscape crop;
  • 11486

    2019.12.31

    1. 연구목적 ⚫ 생체선량계 개발 및 임상 적용 - 방사선계측 기초연구 분야에서 개발 중인 방사선크롬 염료/방사선감응 폴리머를 활용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맞춤형 3차원 생체선량계 제작 및 임상적용 ⚫ 생체계측 판독/검증시스템의 개발 및 임상 적용 ⚫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체계측 기반의 새로운 방사선독성 예측모델을 개발 2. 연구방법 ⚫ 방사선크롬 염료/방사선감응 폴리머 생체선량계 개발 - 암 진단/방사선치료 시, 수정체 피폭선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형태의 수정체 생체 생체선량계 개발 -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 시, 환자 구강 내, 직장 내, 및 피부 피폭선량 측정이 가능한 환자맞춤형 3차원 생체선량계 개발 ⚫ 생체계측 판독시스템/검증시스템의 개발 - 2차원 및 3차원 방사선량 분포 계측시스템의 개발 - 개발된 판독시스템의 불확도 산정 및 검증 프로토콜 개발 ⚫ 임상시험 - 생명윤리위원회 심사 후, 개발된 생체계측시스템을 방사선치료 대상 암환자에 적용 - 암치료 부위 별(두경부암, 유방암, 자궁암, 전립선암, 직장암, 피부암) 임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방사선독성 예측모델 개발 3. 연구결과 ⚫ 방사선크롬 염료와 방사선감응 폴리머 기반의 생체선량계 설계 및 시제품 제작 ⚫ 생체선량계 제품 개선 ⚫ 생체계측 판독시스템 및 검증시스템의 개발 ⚫ 개발된 생체선량계의 임상시험 수행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우홍균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생체선량계;의료방사선피폭;방사선치료;방사선 크롬 염료;정상조직 합병증 확률;방사선량 측정; 2. in vivo dosimeter;medical radiation exposure;radiation therapy;radiochromic dye;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radiation dosimetry;
  • 11485

    2020.11.30

    IV.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 플라즈마/수산소 결합형 수중 절단 시스템의 상용화를 완성하였다. 사 양: 80kW, 절단두께 40mm, 수심 깊이 300mm, 피재료: 원전용 NI계 20%이상 고온 합금. 해양 구조물 적용처 다양. 플라즈마 전원 60kW급. 수산소 발생기 40kW급, 99% 이상 역화 방지 - 직립 원형 Cell 방식, 가스 발생량은 전력 3.4Kw 사용 시 가스 발생량을 0.3 Nm3/h에서 1 Nm3/h을 일정하게 유지. 기존의 분리 격막을 제거하여 수소와 산소를 공유 결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중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성능 보여주었다. - 정격운전시(플라즈마 56kW, 수산소 20kW)절단 성능은 중 수심 깊이 300mm, 니켈,크롬 20%이상 함유된 합금강 뚜께 40mm 이상 절단. 절단 속도 600mm/min 으로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 절단 시험 평가에 의하면 합금강 SUS304 및 SUS316 절단시 절단 속도(400-600mm/min) 에서 수산소 가스 혼합량은 (Ar 70%, HOH 30%)으로 최적화 하였다. 절단 속도는 소재에 따라 가스량을 적당히 조절하면 최적화됨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수산소 가스가 증가해도 절단면이 매우 양호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플라즈마로만 POWER를 증가하는 것에 비해 수산소를 적당히 혼합해도 원전 설비인 합금강 SUS304 및 SUS316 절단시 매우 우수한 절단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전자식 광센서 및 기계적 장치를 혼용하여 99% 이상의 역화 방지 기능이 확보되었다. - 로봇을 이용하여 3D 절단이 이루어졌다. 직선, 곡선, 틸팅, 삼각선 등의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절단 기능이 완성되었다.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동상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84

    2020.10.31

    Ⅳ. 연구결과 소형 중성자선원 관련 국내외 현황과 중성자원 이용 국방·산업·의료, 중성자과학분야, 사용후핵연료 및 각종 중성자 응용산업 분야 조사·분석을 통해 소형 중성자원 기술을 이용한 산업화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성자원 이용 해외 산업 창출 사례를 제시하여 국내에서 소형 중성자원 이용 산업분야 발달에 대한 흐름이 어떤 형식으로 진행될지 그리고 어떤 산업이 발전할지에 대한 기본 연구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국내외 중성자원 관련 시장동향 조사를 통해 국가별·대륙별 시장 규모 그리고 주요 산업체 조사를 통해 소형 중성자원 기술 이용 산업화 전략마련이 어느 기술 분야에서 이뤄질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채종서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100
    • Keyword :
  • 11483

    2020.08.31

    □연구개요 방사선 피부염에 대한 저출력레이저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자 계획된 연구임. 현재 의료계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극단적 피부 손상의 상태인 방사선 피부염을 대상으로 저출력레이저의 효과와 안전성을 관찰하는 동물 실험과 임상 연구를 진행하였음. 1차 년도 방사선 피부염의 동물 모델을 구축하고 1,2차 년도에서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확인하는 동물 실험 시행함. 2,3차 년도에서 유방암환자의 유방 부위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한 방사선 피부염의 예방효과를 증명하고자 임상 실험을 시행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 년도에서 방사선 피부염의 동물 모델을 구축하고 이 모델을 통해 동물에서 방사선 피부염 정도의 육안적 평가를 numeric scale 표준을 마련함.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pilot study를 통해 먼저 확인하고 2차 년도에 대조군, 633nm, 830nm 의 두가지 파장의 저출력레이저를 사용하여 동물 실험을 시행하고 이를 육안적 평가 뿐 아니라 조직검사를 통해 염증의 정도, 피부 손상과 변화의 정도를 객관화함. (이 결과는 Lasers in Medical Science, SCI 에 2020게재 예정) 2,3차 년도에서 동물실험을 근거로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유방암 환자에서 대조군, 633nm, 830nm의 저출력레이저 조사군간의 방사선 피부염의 정도, 피부 수분도, 경피 수분 손실, 탄력도와 유분도을 평가함. 통계분석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임상적 방사선 피부염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피부 수분도 유분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임. 이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방사선으로 인한 피부손상이 덜하고 손상으로부터의 회복이 더 나음을 보여주는 결과임. 통계적으로 두 파장 633nm와 830nm 사이의 측정값의 차이는 없었음. 이 결과는 현재 논문화 작업이 진행중임.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선 피부염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의학적 예방, 치료방법들을 확인하기 위한 동물 모델을 구축함. 방사선 피부염 동물 모델은 저출력레이저의 효과 뿐 아니라 다른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음. 2. 현재 의료계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출력 레이저의 안전성과 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확인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활용을 확대할 수 있음. 3. 임상실험을 통해 저출력 레이저가 현재 허가된 상처 회복 뿐 아니라 방사선 피부염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줄이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저출력 레이저의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됨. 4. 암 치료 등에 방사선 치료가 국소적으로 다른 장기에 피해를 최소화하는 치료 방법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그에 반해 방사선 피부염을 막기 위한 객관적으로 증명한 예방법은 없는 실정으로 이 연구를 통해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혜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900
    • Keyword : 레이저;저출력;방사선 피부염;상처;유방암;
  • 11482

    2020.02.29

    ⦁ 고온가스로 열이용 국내/외 및 경제성 평가 - 국내/외 수소 시장 분석, 국내/외 공정열 시장 분석, 기타 연계 시장 분석 ⦁ 고온가스로/열이용 계통설계 및 연계 성능평가(열화학SI 공정) - 고온가스로 연계, 고온 열화학SI 공정 현황 조사, 고온가스로 SI 수소생산 연계 설계 및 성능평가, 고온가스로 및 SI 수소생산 설계 요건 개발 ⦁ 고온가스로/열이용 계통설계, 연계성능평가 및 기술비교평가(비열화학SI 공정) - 고온가스로 설계 및 수소생산(비 열화학SI) 공정 현황 조사, 고온가스로 비 열화학SI 수소생산 연계 설계 및 성능평가, 고온가스로 비SI 수소생산 및 비SI 수소생산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상일
    • 주관연구기관 : 현대엔지니어링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초고온가스로;고온열 이용시스템;원자력수소;수소생산공정;수소생산; 2. VHTR;High Temperature Heat Utilization;Nuclear Energy for Hydrogec;Hydrogen Production Process;Hydrogen Production;
  • 11481

    2019.12.31

    - 원전 해체 중 에어로졸 발생, 이송, 흡착의 수리적 모델 확보 -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특성 측정 방법론 확보 및 인프라 구축 - 에어로졸의 물리화학적 기초 데이터 구축 - 방사성 에어로졸 선원항 계산 방법론 확보 - 방사성 에어로졸 이송 및 안전성 평가 기술 확보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송종순
    • 주관연구기관 : 조선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제염해체;에어로졸;금속;안전해석;내부피폭; 2.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Aerosol;Metal;Safety Analysis;Internal Exposure;
  • 11480

    2020.09.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전산화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은 의료 방사선 피폭의 주요한 진단적 검사로 CT 저감화 (dose reduction) 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저선량 CT 영상 품질 개선에 인공지능 기술의 하나인 딥 러닝 기술이 적용된 연구들이 최근 발표되어 의료 영상 인공지능 시장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 ◦딥 러닝 학습을 위해서 짝을 이루는 데이터 (정답이 있는 데이터, 예; 환자가 저선량 CT 1회, 표준선량 CT 1회 각 각 촬영)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료 환경에서 얻은 짝이 없는 자료들을 이용하여 저선량 CT 영상 품질 개선이 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객관적인 평가 과정을 거쳐 범용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 □연구개발성과 1. 데이터 준비 ◦빈도수가 가장 높은 복부/골반 CT를 대상으로 하여 짝이 없는 데이터 준비 2. 적합한 딥 러닝 알고리즘의 개발 ◦저선량 CT를 표준 선량 CT 로 변환 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저선량 및 표준선량 CT 영상 (training set)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학습 ◦학습에 쓰이지 않은 저선량 CT (test set)를 이용하여 가상의 표준선량 CT 영상 획득 3. 가상의 표준선량 CT 영상 평가를 통한 딥러닝 알고리즘 성능 평가 ◦가상의 표준선량 CT 영상과 원본 저선량 CT 영상을 정량적/정성적 비교 평가함 4. 두부 CT와 흉부 CT 에 복부/골반 CT 연구 내용 적용 ◦복부/골반 CT 다음으로 많은 건수를 차지하고 있는 두부 와 흉부 CT 검사에 확대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 중 5. 저선량 복부/골반 CT 영상에 적용 가능한 딥 러닝 기반의 잡음 제거 방법으로 특허 출원 6. 저선량 복부/골반 CT 영상에 딥 러닝 기반의 잡음 제거 소프트웨어를 실시간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연구책임자가 속한 병원에 서버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저선량 흉부 및 두부 CT 영상에도 적용할 예정임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최신의 저선량 고품질 CT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기존의 CT 장비에서도 저선량 CT 의 영상 품질 저하를 극복 함으로써 기존 CT 장비의 활용도를 높임 ◦의료 진단 보조 측면에 집중되어 있는 의료 영상 분야 인공지능 기술의 산업화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유도 ◦궁극적으로는 국민 의료 방사선 피폭 선량 저감화에 기여하고 방사선 안전 및 국민보건 증진을 기대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유선경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인공지능;딥 러닝;전산화 단층 촬영;영상 잡음;방사선량 저감화; 2. 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Computed tomography;Image noise;Radiation dose reduction;
  • 11479

    2020.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분화갑상선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adjuvant treatment)로 흔히 시행되는 방사성요오드치료가 저위험군의 갑상선분화암에서도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확인하고자 함. - 저위험 갑상선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후 반응을 비교함. 1) 연구 대상: 국립암센터 갑상선암센터를 방문하여 갑상선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들을 방사성요오드치료군(Arm 1)과 비치료군(Arm 2)으로 함.   2) Primary endpoint: 무질병 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 3) 연구 방법 · 수술 후 3~4개월 사이에 저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 혹은 갑상선호르몬 중단후 전신촬영 영상 및 T4-off Tg를 확인한다. · 수술 후 6~9개월 사이에 경부 초음파 및 T4-on Tg를 확인한다. · 수술 후 12~15개월 사이에 갑상선 호르몬 중단 후 T4-off Tg를 확인한다. · 이 후 6~12개월 간격으로 경부 초음파 및 T4-on Tg를 확인한다. · 장기적으로 무질병 생존 여부를 관찰한다.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성과 > - IRB 승인 - eCRF 구축 및 오픈 - 질병관리본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 등록 - 환자용 안내문(리플렛) 제작 - 현재, 치료군 11명, 대조군 14명, 총 25명 모집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갑상선암의 증가로 진단 및 치료받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들의 긴 생존기간을 고려하면 재발 및 전이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위험성에 따른 치료를 최소한으로 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하지만 의료비용 및 환자의 삶의 질 저하, 침샘염, 방사성 물질의 노출 등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들을 고려할 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음. · 현재까지 방사성요오드치료 시행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는 저위험군에서의 치료 효과 비교는 앞으로의 치료 및 추적관찰 방향을 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임. (출처 : 국문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보율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분화갑상선암;방사성요오드치료;예후;재발률;치료 반응률; 2.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Ablative radioiodine;Prognosis;Recurrence rate;Biochemical response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