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95/1,239

검색
  • 11442

    2020.01.31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핵심기술인 기상정보의 상세화 기술과 재해위험 판정기술을 고도화하였고, 총 30개 작물에 대한 생육단계별 재해위험 대응조치를 DB화하였으며,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전북 14개 시·군이 포함된 총 24개 시·군으로 확대 구축하여 서비스 받기를 원하는 자원농가에게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서 농장단위의 기상 및 재해예측 정보, 그리고 피해저감을 위한 대응조치를 최대 10일 前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심교문
    • 주관연구기관 : 국립농업과학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조기경보 서비스;농장맞춤;기상위험;생육단계;대응조치; 2. Early warning service;Farm-specific;Weather risk;growth stage;counter-measures;
  • 11441

    2020.02.29

    o 최근의 신개념 기기 및 안전계통 등을 도입함에 따라 안전규제 인프라 강화 차원에서, 원전 주요 기기 내의 열수력 현상에 대한 정밀 해석 코드 성능 평가 및 모델 개선 연구를 수행함. o 본 연구에서는 (1) 비응축성기체 존재 시 벽면응축열전달에 대한 기기해석코드 모델을 개발하였고 (2) 안전해석코드 MARS-KS 및 REALP5의 벽면응축열전달 모델을 개선하였음. (3) 기기해석코드의 대형 수조 유동 해석 성능을 검증하고, 이를 계통해석코드와 연계하여 피동보조급수 냉각계통에 대한 다중스케일 열수력 해석을 수행함. (4) 수평관 표면 비등 기포 거동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관측결과를 기반으로 피동보조급수계통 열교환기에 사용가능한 비등열전달 모델을 제시하고 기기해석코드에 적용. (5) 아울러, 학연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원자력안전해석 인력양성을 양성하였음. o 2단계 연구를 통해 (1) 열수력 정밀해석 코드 성능 개선, (2) 미래 규제 검증 해석 기술 강화, (3) 안전성평가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완수함.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조형규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원자력안전;정밀해석;다중스케일해석;기기스케일해석;열수력 모델; 2. Nuclear Safety;High resolution simulation;Multi-scale analysis;Component scale analysis;Thermal-hydraulic model;
  • 11440

    2020.02.29

    □ 연구 개요 < 최종목표 > 단속평형 진화모델에서 염색체 불안정성을 조절하는 췌장암 특이적 핵심 유전자 발굴 및 기전규명에 관한 연구. ▶ 암은 국내를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망 1위인 질명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 질환임. 특히 췌장암 환자의 45%가 다배체화(polyploidization)과 관련이 있고, 염색체 파열(chromothripsis) 현상이 보였고 이로 인해 유전자의 손실과 이득이 생기며 단속평형(punctuated equilibrium)적인 진행과정을 거치게 됨. 따라서 췌장암 성공적인 암 치료를 위해서는 췌장암의 punctuated equilibrium에 관여하는 조절 유전자를 발굴하고 암의 계속분열(mitotic catastrophe)과정과 다배체화(polyploidization)의 원인이 되는 특이적 유전자를 동정하여 그 기능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목표 1 > 세포분열 조절이상과 염색체 불안정성 원인이 되는 핵심 유전자 발굴 ■ 췌장암에서 chromosome instability(CIN) 및 chromothripsis와 관련된 유전자 발굴 ○ 췌장암 환자에서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발현, 임상적 의의 분석 및 세포주에서 검증. - 결과: 췌장암 환자(TCGA data) 및 세포주에서 증가 되어 있는 CIN 관련 유전자 3개를 선정함: NCAPH, CDC6, Zwint-1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가 세포증식 및 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췌장암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측정: 콜로니-형성를 이용한 세포증식 능력 및 FACS와 Annexin V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측정. - 결과: NCAPH의 조절이 췌장암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caspase-3 dependent pathway를 통해서 세포사멸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Z-VAD-Fmk (pan-caspase 억제제)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증명함. - 결과: 췌장암 세포에서 Zwint-1의 억제가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NF-κB target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 < 연구목표 2 > 췌장암 세포의 증식 및 전이 능력에 특이적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의 역할 규명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조절이 세포분열(mitosis)의 조절이상과 CIN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세포분열에 미치는 영향 측정 : FACS, 염색체 확산 분석(chromosome segregation) 그리고 mitosis 관련 유전자 변화 측정. Pericentrin을 이용하여 중심체(centrosome)의 개수를 측정. - 결과: NCAPH와 Zwint-1의 억제는 S/G₂-M arrest 및 Cyclin A와 p-Histone H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비정상적으로 segmentation 되어있는 chromosome morphology를 관찰함. - 결과: 췌장암 세포에서 CDC6의 억제는 중심체 개수의 증가로 비정상적 mitosis를 거쳐 G₂-M arrest가 일어남을 확인함. ■ 핵심 유전자의 변형이 chromosome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 확인 ○ Chromosome integrity에 미치는 영향 측정: Thymidine double block 후 염색체 확산 분석하여 측정. alpa-tubulin을 이용하여 anaphase 과정을 측정. - 결과: NCAPH가 poorly condensed chromosome에서 mature condensed chromosome으로 진행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증명함. - 결과: CDC6와 Zwint-1이 정상적 chromosome segregation에 필수적임을 증명함. ■ 핵심 유전자의 변형이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측정: p-H2AX의 발현의 차이를 측정, 관련 signaling pathway의 규명. - 결과: NCAPH의 억제가 DNA 손상을 높이고, Chk1/Chk2 signaling pathway를 통해서 증가됨을 확인하고 ATM 억제제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증명함. < 연구목표 3 > 췌장암에서 핵심 유전자의 조절 기전 규명 ■ 핵심유전자의 항체 및 tagging vector를 제작하여 관련 단백질 선정 및 검증 ○ 췌장암 특정 유전자를 Flag 또는 GST tagged vector로 제작하여 타깃 유전자와의 결합을 규명: Immunoprecipitation 방법을 이용. - 결과: NCAPH가 Holliday junction 5' flap endonuclease인 GEN1과 G₂-M phase에서 chromatin에서 결합이 증가됨을 확인함. ■ 결합 단백질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핵심유전자의 역할을 규명 ○ 타깃 유전자의 발현 및 위치화에 미치는 영향 규명: 세포면역염색법과 chromosome, nuclear 그리고 chromatin을 분리하여 발현 확인. - 결과: NCAPH와 GEN1이 DNA 손상에서 결합이 증가됨을 증명하였고, 췌장암 특정 유전자의 조절이 타깃 유전자의 위치화(localization)에 관여함을 증명함. □ 연구개발 결과의 중요성 ▶ 췌장암의 발달과정의 규명과 응용을 통한 학문적 수월성 확보 및 기초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 ▶ 췌장암 특이적 조절유전자의 발굴 및 분자 기전 연구에 관한 총체적 집중 연구는 해당 질환의 기초 기전 및 질환기작 규명의 비약적 발전은 물론 이들로 인한 혁신적 의료관리 체제를 구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국가 의료·바이오 기술의 경쟁력을 향상시킴. ▶ 신물질의 탐색으로 인한 새로운 항암분자표적 발굴의 가능성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재형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췌장암;단속평형진화;염색체 불안정성;염색체 파열;다배체화;세포분열;세포전이;
  • 11439

    2020.01.31

    방사선 관련 연구 개발 시 무작위적인 방사선 반응 연구로 인한 방사선 반응의 기초 원천 기술이 부재한 상태에서 융합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기술 발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믹스 기반 방사선 반응 식물 스트레스 피지옴을 탐색하고 활용기술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과제는 4개의 성과목표의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성과목표는 1. 방사선 유도 산화스트레스 단백질변형 연구 2.방사선 반응 DNA 손상 및 회복 조절기작 연구 3. 방사선 유도 식물 생리활성 대사체 합성 기작 및 이용연구, 4. 방사선 반응 식물 유용물질 발굴 및 방사선 분자변환을 통한 고도화 연구이다. 연구의 대표결과는 1. 식물 DDR 조절 신규 전사인자 NAC103기능 규명, 2. 식물 DDR의 크로마틴 리모델링과 후성유전학적 조절기작 리뷰, 3. DNA 손상반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cis -element (CCACACC)를애기장대 AGO2 promoter로부터 규명(식물에서 최초 규명), 4. 인위적 조작에 의한 단백질 S-sulfhydration 여부 확인 및 단백질 구조의 활성 영향 규명, 5. 감마선에 의해서 유도되는 H2S(hydrogen sulfide) 유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의 일종인 S-sulfhydrated 단백질 동정 (118종), 6. RI이용 식물 이소프렌 생합성 경로의 재해석이다. (출처: 서지정보양식 - 초록 143p)
    • 연구책임자 : 이성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 반응;스트레스;피지옴;단백질변형;식물 대사체;생리활성; 2. Radiation response;Stress;Physiome;Protein modification;Plant metabolites;Bioactivity;
  • 11438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급성 심근경색 혹은 허혈-재관류 손상 이후에 유효 심근의 감소로 발생하는 허혈성 심부전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중간엽줄기세포가 심근세포로 분화하는 신호 전달체계를 밝혀 심근재생-줄기세포 유도제를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심허혈성 부전 이환률을 줄이고 환자의 생존률을 증가시키는 줄기세포 재생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함. □ 연구개발성과 1차년도 ● Apicidin에 의한 YAP1 단백의 변형인자와 주요 매개체 발굴 - Apicidin에 의한 중간엽줄기세포 YAP1 단백의 kinetics 연구 진행하여 중간엽줄기세포의 심근 분화 프로토콜 표준화 확립함. - YAP1 유전자가 발현 및 세포내 위치에 따른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골세포/연골세포로의 분화능, 증식활성, paracrine factor 발현패턴을 조사 분석하였음. - YAP1발현에 의한 중간엽줄기세포의 심근 분화 조절기전 연구로 apicidin 처리 후 MS/MS 분석으로 YAP1의 핵내 이동을 촉진하는 PTM 발굴 및 ChIP-seq으로 YAP1의 intranuclear target promoter 확인하였음. 2차년도 ● 최적의 줄기세포 심근 분화유도제 선별 -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여 중간엽줄기세포 심근 분화 개시 유도 활성이 우수한 안전한 후보물질을 선별하여 심장조직내 혈관신생, 심근염증, 섬유화 및 이식세포의 심근 분화를 특수염색과 면역형광염색법으로 규명하였음. - YAP1의 E3 ligase 확정 및 이를 억제하는 약제 발굴하기 위해 확정한 E3 ligase KO 생쥐를 확보 및 KO 생쥐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하여 심근세포분화 능을 확인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성과목표는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1편 및 특허출원 1건임. ○ 본 연구 결과의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6회 이상을 목표로 함. ○ 기술적 측면 ● 성체 줄기세포의 심근분화를 선별적으로 유도하는 인자들을 발굴하여 구조의 최적화를 거쳐 새로운 재생치료기술로의 플랫폼을 확립함. ● 본 연구를 통해 발굴한 심근분화의 유도 인자와 억제 인자의 발현정도를 분석하여, 줄기세포의 심근재생 및 치료효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줄기세포의 치료효율을 예측함으로써 치료비용을 절감하고 신속한 세포결정이 가능함. ● 성공적인 줄기세포 치료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확립함. 이러한 과정에서 지적재산권 확보와 관련 기술을 기업체에 이전하여 상업화를 목표로 함. ○ 경제적산업적 측면 ● 줄기세포 시장 규모는 업계에서는 현재 3조원 정도로 추정하며, 이 규모는 연평균 15.4% 성장세를 기록하여 2018년에는 5조 3000억원 정도로 커질 것으로전망됨. ● 본 연구진은 다양한 질환동물모델을 이용한 중간엽줄기세포 치료 연구에 대한 노하우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세포치료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 ● 치료목적의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는 단계에서, 심근유도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배양첨가제를 개발하여 의료비용 대비 우수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13p)
    • 연구책임자 : 안영근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심부전;중간엽줄기세포;심근분화;단백질번역후 변형; 2. Heart failure;Mesenchymal stem cell;Cardiac differentiation;Post translational;yes associated protein 1;
  • 11437

    2020.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분화갑상선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치료(adjuvant treatment)로 흔히 시행되는 방사성요오드치료가 저위험군의 갑상선분화암에서도 재발방지에 도움이 되는가 확인하고자 함. - 저위험 갑상선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후 반응을 비교함. 1) 연구 대상: 국립암센터 갑상선암센터를 방문하여 갑상선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들을 방사성요오드치료군(Arm 1)과 비치료군(Arm 2)으로 함.   2) Primary endpoint: 무질병 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 3) 연구 방법 · 수술 후 3~4개월 사이에 저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 혹은 갑상선호르몬 중단후 전신촬영 영상 및 T4-off Tg를 확인한다. · 수술 후 6~9개월 사이에 경부 초음파 및 T4-on Tg를 확인한다. · 수술 후 12~15개월 사이에 갑상선 호르몬 중단 후 T4-off Tg를 확인한다. · 이 후 6~12개월 간격으로 경부 초음파 및 T4-on Tg를 확인한다. · 장기적으로 무질병 생존 여부를 관찰한다.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성과 > - IRB 승인 - eCRF 구축 및 오픈 - 질병관리본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 등록 - 환자용 안내문(리플렛) 제작 - 현재, 치료군 11명, 대조군 14명, 총 25명 모집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갑상선암의 증가로 진단 및 치료받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들의 긴 생존기간을 고려하면 재발 및 전이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위험성에 따른 치료를 최소한으로 적절하게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하지만 의료비용 및 환자의 삶의 질 저하, 침샘염, 방사성 물질의 노출 등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들을 고려할 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음. · 현재까지 방사성요오드치료 시행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는 저위험군에서의 치료 효과 비교는 앞으로의 치료 및 추적관찰 방향을 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임. (출처 : 국문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보율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분화갑상선암;방사성요오드치료;예후;재발률;치료 반응률; 2.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Ablative radioiodine;Prognosis;Recurrence rate;Biochemical response rate;
  • 11436

    2020.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교모 세포종에서 PPARγ에 의한 종양대사 조절의 분자생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교모 세포종 아형 분화 조절과 항암 기전을 이해하고 PPARγ 매개 종양대사 기반 치료 근거를 제시함 ■ 1차 연도: 교모세포종 아형(subtype) 분류에 따른 PPARγ의 기능적 상관관계 연구 ▪ The Cancer Genome Atlas data(TCGA)’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교모 세포종 그리고/또는 아형 분류에 따른 overall survival 또는 disease-free survival을 나타내는 Kaplan-Meiers plot 구성 ▪ 교모세포종 CCLE 또는 TCGA 유전자 발현 데이터 베이스의 bioinformatics 분석을 통한 잠재적인 PPARγ 표적 유전자 조사 ▪ TNFα 유도 PMT 시스템 구축을 통해 PMT 동안 PPARγ 발현 조사와 PPARγ 활성을 통한 PMT 변화 연구 ■ 2차 연도: 교모세포종 PMT분화 조절에 따른 PPARγ의 치료능 평가 ▪ 교모 세포종 성장 억제 및 줄기세포능 억제 평가를 통해 치료표적으로서 PPARγ의 치료능 규명: 각 아형별로 3종류 이상의 세포주에 대해 평가 ▪ 기존 치료제(예. EGFR-TKI, Temozolomide)와 병용투여를 통해 TZD에 의한 기존 치료제 민감성 향상 조사: 2종류 이상의 Mesenchymal GBM에서 Temozolomide내성을 획득한 세포주에 TZD와 병용투여 ▪ Proneural과 Mesenchymal 각 대표 세포주에서 TZD에 따른 metabolomics분석: Proneural(X01,528)과 Mesenchymal(83,1123) 세포주에서 free fatty acid, ceramide, sphingosine 측정 ■ 3차 연도: 교모세포종 PMT과정에서 PPARγ에 의한 종양대사조절과 분자생화학적 기능 평가 ▪ PPARγ 매개 ALDH1A3 발현 조절 분자기전과 지방대사 조절에 관한 생화학적 기전 연구: SILAC 접근을 통한 PPARγ에 의한 ALDH1A3 조절관여 co-regulator 후보군 2종류 이상 확보 ▪ PPARγ에 의한 교모세포종 Warburg effect 조절 연구: 아형별 2종류 이상의 세포에서 TZD에 의한 Warburg effect 조사 ▪ 아미노산-conditioned 배양액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reductive-carboxylation을 통한 세포 내 지방 대사 조절 기작 연구 ▪ 교모 세포종 종양대사 연구를 통해 PMT과정에서 아형별 성장에 필요한 아미노산 의존성 조사 ▪ PPARγ에 의한 아미노산 의존성 조절 연구 □ 연구개발성과 ■ 논문, 특허 및 인력 양성 ▪ 논문: SCI 국제논문 발표 총 6편(5편 발표, EMM 1편 최종 revision후 리뷰 중. SCI 상위 4.4% 1편 EBiomedicine 표지 논문 선정) ▪ 특허: 특허 등록 2건 ▪ 인력양성: 박사 1명, 석사 1명 배출 ■ 현장적용 및 미래원천기술 확보 ▪ 본 연구는 ‘PPARγ 리간드인 TZD 처리에 의한 교모 세포종 환자의 생존율 증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함 ▪ 향후 교모 세포종 환자 치료에서 수술과 방사선 치료 이외에 Temozolomide-TZD 병용투여법과 Ferroptosis 유도 표적 치료법 개발 가능 ▪ 혈당강하제(예,Metformin, TZDs)에 의한 종양대사 조절을 통한 항암 치료제 개발 연구기반 확충 ▪ 인슐린 민감제들의 교모 세포종 발생 예방 가능성에 대한 전향적 연구 근거 마련 ■ 후속 연구 교두보 마련 ▪ 교모 세포종 종양 대사 연구에서 핵수용체들의 역할에 대한 후속 연구 필요성 제시 ▪ 종양대사 조절 기반 교모 세포종 치료를 위한 심화 연구 필요 ▪ 교모 세포종내 oncogene 신호 변화에 따른 종양대사 연구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 교모 세포종 발생 예방 및 극복에서 혈당강하제의 치료 adjuvant로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시 : 암의 heterogeneity 특성으로 인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molecular targeted therapy는 다약제 내성 발생으로 인한 재발로 그 한계에 봉착하고 있음 따라서, cancer의 universal feature를 타겟으로 하는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 당뇨병 치료를 위한 혈당 강하제로써 Metformin의 항암 효과가 그 한 예임 ■ 경제적.산업적 측면 ▪ 조기암 발생 예방 또는 late stage cancer에 대한 대사적으로 homogenous한 population으로 유도하여, 수술 요법 또는 기타 다른 항암요법 극대화에 기여함으로써 항암 치료 비용 절감 ▪ 교모 세포종의 약 50%정도가 EGFR amplification 또는 돌연변이가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 gefitinib 또는 erlotinib을 이용한 치료에서 내성이 발견되고 있음. 따라서, 교모 세포종 치료에서 종양대사적 접근에 기반을 둔 molecular targeted 치료 연구 개발이 가능함 ▪ 교모 세포종 기초 연구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연구력 확대 기여 (출처 : 요약문 13p)
    • 연구책임자 : 정양식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교모 세포종;종양대사;종양내성;인슐린 민감제; 2. Glioblastoma;Cancer metabolism;PPARγ;Tumor resistance;Insulin sensitizer;
  • 11435

    2020.05.31

    □연구개요 ● 연구 배경 - 폐암의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 폐암의 5년 생존율은 약 22%에 불과함. - 새로운 예후 인자의 발굴을 통해 개인별 맞춤 치료를 진행하여 생존율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함. -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은 orphan nuclear receptor의 한 종류이며 일주기 생체리듬 조절자로 알려져 있음. - 여러 orphan nuclear receptor와 암 발생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나, 폐암을 비롯한 다른 암종에서 NR1D1과 암 발생의 연관성은 연구된 바가 없음. - 폐암 환자의 임상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남성 선암 환자에서 NR1D1의 발현양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폐암에서 NR1D1의 종양 억제 기능이 예상됨. ● 연구의 최종목표 -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 확인 및 작용 기전 연구를 통해 NR1D1 유전자의 새로운 종양억제 역할 규명. -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 폐암의 예후 인자로 NR1D1의 활용 가능성 제시. ● 연구범위 1)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 - NR1D1 발현양 조절에 따른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 변화 관찰. 2)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vo 연구를 통해 확인. - 폐암 발생에 미치는 NR1D1 소실의 영향을 NR1D1 소실 쥐와 쥐 폐암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 3) 폐암에서 NR1D1의 작용 기전 분석. 4)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양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종양미세환경에서 NR1D1이 종양억제인자로 작용할 가능성 입증. - in vitro 연구를 통해, NR1D1 은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 - NR1D1 소실 쥐와 Kras-LSL 쥐 폐암 모델 및 동소 이식 동계 쥐 모델을 활용하여 NR1D1의 종양미세환경 작용 가능성을 입증. 2) NR1D1의 Th17 세포 조절 가능성 확인. - RNA sequencing을 통해 NR1D1의 면역세포 조절 가능성을 확인. - Immune cell profiling을 통해 NR1D1 소실에 의한 CD4+ T cell 증가 입증. - CD4+ T cell 중, Th17 세포의 주요 싸이토카인 (IL-17A, IL-17F, IL-23)의 발현이 NR1D1 소실에 의해 증가함을 확인. 3) 폐암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 확인. - 임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폐암 환자의 정상 조직에 비해 폐암 조직에서 NR1D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학문적 측면 1)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 세포 조절을 통해 폐암 발생을 저해하는 NR1D1의 역할을 처음으로 규명함으로써 NR1D1에 대한 지식을 축적시키는 학문적 가치를 지님. 2)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암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높여 향후 다른 암종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연구 수행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됨. ● 기술적 측면 1) 폐암에서 NR1D1의 치료 표적 인자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표적 치료제 개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음. 이를 통한 폐암 환자의 개인별 맞춤 치료의 기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선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폐암;종양미세환경;종양억제; 2. NR1D1;Th17;
  • 11434

    2019.12.31

    Ⅳ. 연구결과 ○ 2019년 4월 11일부터 2020년 2월 10일까지 수행한 14단계 사업에서는 < 원자력 e뉴스레터 >를 총 10회 발간하였으며, 정부, 위원회, 광역자치단체, 연구기관, 원자력 산업체, 시민단체, 대학교 및 언론사 등을 포함한 약 6,200여명의 구독자에게 발송하였음 ※ 1단계 사업(2006년 3회), 2단계 사업(2007년 7회), 3단계 사업(2008년 4회), 4단계 사업 (2009년 5회), 5단계 사업(2010년 5회), 6단계 사업(2011년 4회), 7단계 사업(2012년 5회), 8단계 사업(2013년 5회), 9단계 사업(2014년 5회), 10단계 사업(2015년 5회), 11단계사업(2016년 5회), 12단계 사업(2017년 5회), 13단계 사업(2018년 10회), 14단계 사업 (2019년 10회) 등 지난 14년간 총 78회 <원자력 뉴스레터 >를 발간함 〇 원자력 e-뉴스레터의 「정책포커스」 코너에서는 원자력 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을 비롯해 해외 원자력 정책 동향, 사용후핵연료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방향, 소재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원자력 기술, 미래 에너지시장을 대비하는 소형원자로 연구 등 원자력 연구개발의 중요성과 의의를 소개함으로써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확보 〇 「이달의 Pick」은 국민들의 관심 주제인, 문화재 보존·복원 기술, 방사성폐수 속 세슘을 제거하는 로봇, 치료가 어려운 삼중음성유방암 치료기술 개발, 우주·심해에서 활용 가능한 원자력 전지 개발 등 국민들이 관심이 많고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점으로 소개해 원자력이 국민의 복지와 삶을 향상시키는 기술임을 알림 ○ 「현장 속으로」 코너에서는 원자력연차대회, 춘계 원자력학술학회, 원자력 미래포럼 종합세미나, IAEA 총회 등 원자력 관련 주요 행사와 함께 미래 원자력 R&D 추진 방향변화 등을 자세하게 소개했음 〇 「Global Reports」에서는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원자력 선진국의 기술 및 정책 동향과 더불어 원자력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소개했으며, 「원자력 이야기」는 원자력 기초 지식과 연구 분야를 국민의 눈높이로 알기 쉽게 설명해 원자력계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원자력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음 〇 2019년부터 새로 기획한 「원자력 웹툰」과 「원자력 궁금증」는 일반인 및 학생 독자층을 위한 신규코너로, 만화를 통해 원자력 연구개발을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시키고, 질문 답변의 코너를 통해 원자력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관심을 제고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황순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 11433

    2020.03.31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방사선 암 진단/치료 기술에서 벗어나 방사선 치료 불응성 두경부암을 표적지향 할 수 있는 암 세포 유래 엑소좀을 분리 한 후 방사선 민감성 증감 치료제로 가능한 나노중합체와 결합한 나노복합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상세포의 손상 없이 표적 암세포만의 사멸뿐만 아니라, 치료의 내성을 갖는 암세포만이 갖는 독특한 기능을 제어하여 방사선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을 수행하고자 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지혜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 불응성 종양;방사선 감응제제;나노복합체;엑소좀;나노메디슨; 2. Resistance cancer cell against radiation therapy;Radiosensitizer;Nanocomposite;Exosome;Nano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