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3 Page 97/1,246

검색
  • 11493

    2019.12.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기술검증을 통한 실용화 수준의 해체 핵심기술 개발 - 해체 대상 및 폐기물 방사선학적 특성평가 기술개발 및 측정 시스템 구축 - 원전 일차계통 화학제염 및 대형기기 나노복합유체제염 기술 개발 및 공학검증 기반 구축 - 고방사성 원전 핵심설비 해체를 위한 차세대 원격절단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난처리성 해체폐기물 고감용, 안정화/고화 기술개발 및 처리시스템 구축 - 오염 토양 복합처리 및 현장형 지하수 환경 복원 시스템 구축 -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기술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시설 및 부지 오염도 측정시스템 구축 성능검증 및 연구로 및 원전 적용 실용화 기반 구축 - HyBRID 제염기술의 원전 적용 성능 검증 및 기술실용화 기반 구축 - 원전 핵심설비의 최적 해체공정 설계를 위한 해체공정 시뮬레이션 실용화 기술 개발 - 해체폐기물 감용 및 안정화 처리를 위한 실용화기술 개발 ○ 연구개발성과 ■ 해체 시설 및 부지 측정시스템 구축, 연구로 및 원전 적용 성능검증 ■ HyBRID 일차계통 화학제염기술 국내원전 적용을 위한 실용화 수준 기술 확보 ■ 원격조작 상호연동 기술 기반 차세대 원격절단 시스템 ■ 고리 1호기 원전 핵심설비 원격해체 공정 시나리오 ■ 해체폐기물 처리 신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실용화 기술 확보 ■ 난처리성 오염토양 및 현장형 지하수 복원 시스템 개발 ■ 해체 핵심기술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해체 대상 시설의 방사선학적 특성평가를 위한 고방사능 환경 및 난분석 핵종현장 측정 기술 확보를 통한 해체작업 효율 향상 및 해체폐기물 저감 ■ 원전 일차계통 화학제염기술 및 대형/대면적 설비의 표면오염 제거를 위한 나노복합유체 제염기술 개발로 국내 해체사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고방사성 핵심설비의 차세대 원격절단 시스템 개발을 통한 해체사업의 안전성과 경제성 확보 ■ 대량 발생 해체폐기물 고도감용 기술 개발을 통한 폐기물 저감화 및 처분 적합화 방안 확보 ■ 난처리성 점토/실트 처리 기술 확보, 국내환경에 적합한 현장형 지하수 복원 기술과 삼중수소 제거 원천기술 확보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서범경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특성평가;제염;원격절단;폐기물;부지 환경복원; 2.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decontamination;remote cutting;waste;site remediation;
  • 11492

    2020.02.29

    ○ 연구개요 방사선 치료하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부위와 방사선에 취약한 정상부위가 방사선치료계획에 따라 방사선량이 조사되는지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함 특히 소아 남환아 중 생식기 주위가 치료인 경우 방사선 차폐장치를 사용하여 고환에 최소의 선량이 전달되도록 치료를 진행하고 있음 방사선 치료 계획 시 사용되는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차폐 부위를 선택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하여 차폐 부위에 맞는 틀을 제작 제작한 틀에 차폐물질을 선택하여 채운 후 착용이 유용한 차폐장치 완성 완성된 차폐장치 내부와 외부에 방사선량 측정센서(광자극발광선량계,OSLD)를 사용하여 방사선량 측정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환아의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획득 - 장기별 영상 구분하는 윤곽선 작성 - 방사선 치료 계획에 따른 방사선량 분포 확인 - 차폐 목적의 정상조직 부위 결정 - 차폐 부위의 스캔시행하여 위치의 정확성 및 재구성 여부의 재현성을 확인함 -재구성된 차폐 부위 영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한 차폐 부위의 틀제작 -환아의 차폐 부위에 착용감이 밀착되는 소재 검색 - Polymer를 사용하여 차폐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합 조사 - Polymer 조성에 따라 차폐 효율성 검증이 가능한가에 대한 Simulation 여부 검증 - 제작된 차폐장치를 팬텀에 적용하여 광자극발광선량계를 조사 시 방사선량 검증 - 방사선량의 검증은 각 차폐물 종류에 따라 평가 - 제작된 차폐장치의 방사선차폐의 적합성 판단되면 - 기술문서 관련 연구원과 기술문서 작성에 대한 논의 시작 - Computer software simulation을 통한 Polymer 차폐소재 추가 선정 - Polymer 차폐장치의 의료기기 시험 평가용 시험항목 논의 - 식약처 의료기기 인허가를 위한 시험 평가 및 기술문서 진행 - 환자 맞춤형 차폐 장치를 임상 적용을 위한 절차 준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의 결과 제작된 차폐장치를 방사선 치료 시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적용하여 방사선 치료 시 유발될 수 있는 불임을 최소화함 기존의 차폐 장치는 사이즈 선택이 불가능하고 환자에 적용 시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무게가 소아의 경우 무리가 갈 수 있어 이를 환자 맞춤형으로 할 시 편안한 착용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정민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소아암;방사선치료;차폐피복;3차원 프린터;
  • 11491

    2020.09.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전산화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은 의료 방사선 피폭의 주요한 진단적 검사로 CT 저감화 (dose reduction) 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 ◦저선량 CT 영상 품질 개선에 인공지능 기술의 하나인 딥 러닝 기술이 적용된 연구들이 최근 발표되어 의료 영상 인공지능 시장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 ◦딥 러닝 학습을 위해서 짝을 이루는 데이터 (정답이 있는 데이터, 예; 환자가 저선량 CT 1회, 표준선량 CT 1회 각 각 촬영)가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료 환경에서 얻은 짝이 없는 자료들을 이용하여 저선량 CT 영상 품질 개선이 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객관적인 평가 과정을 거쳐 범용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함 □연구개발성과 1. 데이터 준비 ◦빈도수가 가장 높은 복부/골반 CT를 대상으로 하여 짝이 없는 데이터 준비 2. 적합한 딥 러닝 알고리즘의 개발 ◦저선량 CT를 표준 선량 CT 로 변환 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저선량 및 표준선량 CT 영상 (training set)으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학습 ◦학습에 쓰이지 않은 저선량 CT (test set)를 이용하여 가상의 표준선량 CT 영상 획득 3. 가상의 표준선량 CT 영상 평가를 통한 딥러닝 알고리즘 성능 평가 ◦가상의 표준선량 CT 영상과 원본 저선량 CT 영상을 정량적/정성적 비교 평가함 4. 두부 CT와 흉부 CT 에 복부/골반 CT 연구 내용 적용 ◦복부/골반 CT 다음으로 많은 건수를 차지하고 있는 두부 와 흉부 CT 검사에 확대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 중 5. 저선량 복부/골반 CT 영상에 적용 가능한 딥 러닝 기반의 잡음 제거 방법으로 특허 출원 6. 저선량 복부/골반 CT 영상에 딥 러닝 기반의 잡음 제거 소프트웨어를 실시간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연구책임자가 속한 병원에 서버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저선량 흉부 및 두부 CT 영상에도 적용할 예정임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최신의 저선량 고품질 CT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기존의 CT 장비에서도 저선량 CT 의 영상 품질 저하를 극복 함으로써 기존 CT 장비의 활용도를 높임 ◦의료 진단 보조 측면에 집중되어 있는 의료 영상 분야 인공지능 기술의 산업화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유도 ◦궁극적으로는 국민 의료 방사선 피폭 선량 저감화에 기여하고 방사선 안전 및 국민보건 증진을 기대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유선경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인공지능;딥 러닝;전산화 단층 촬영;영상 잡음;방사선량 저감화; 2. Artificial intelligence;Deep learning;Computed tomography;Image noise;Radiation dose reduction;
  • 11490

    2020.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연구의 목적 - 본 연구개발은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질환 모델 구축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그것의 임상적, 병리학적, 분자생물학적 기능 규명을 통해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제어를 위한 기반기술과 치료 후보를 확보 및 효능을 평가하고자 함. 연구의 내용 1.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마우스 모델 구축 및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 발굴 ◦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마우스 모델을 구축하고 장관 조직에 대한 유전체/전사체 분석을 통해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의 대량 발굴 ◦ 생물학적 정보 분석을 통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질환 제어 후보의 선별과 유전자 변형 마우스 및 세포주의 제작 2. 선별된 바이오마커에 대한 유전자 결손 및 야생형 마우스를 이용하여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의 치료 후보에 대한 기능 분석 ◦ 유전자 결손 및 야생형 마우스에서 방사선을 복부에 조사 후 유발되는 임상증상과 생존율을 비교분석 ◦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여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의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의 유효성 분석 3. 질환 모델 및 방사선 유도 대장염 환자 샘플에서 임상적 유효성 검증 ◦ 질환 모델에서 병리학적,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확보하여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의 질환 제어용 바이오마커의 유효성 분석 ◦ 방사선 조사된 인체 조직 병변에서 바이오마커의 발현 증감 여부와 임상적/병리소견과의 상호 일치도 분석을 통해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 4. 급성 방사선 위장관 증후군 모델에서 타겟 유전자 활성화물질의 효능 분석 ◦ 타겟 유전자 활성 물질을 대량 스크리닝하고 세포 모델을 통한 선별 ◦ 구축된 동물모델에서 in vivo 효능 분석: 실험군(전처치, 후처치군)과 대조군 사이의 체중변화 및 생존율, 염증반응 및 장점막 세포 사이의 연결 관련 물질의 발현, 장내투과성 의 차이 측정 □ 연구개발성과 ◦ 1단계 : 학술발표 1회, 논문 1편, 특허 1건 ◦ 2단계 : 학술발표 1회, 논문 1편, 특허 1건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방사선에 의해 생체 반응 네트워크 핵심 조절인자의 기능 규명을 통한 급성방사선증후군의 병인에 새로운 지시 제공, 방사선 생물학 분야의 선도적 지식 제공 및 방사선 보호제 개발 ◦ 사회경제적 측면: 암은 가장 흔한 사망원의 하나이며 전체 암환자의 수는 계속 증가하며, 이들 중 50%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어 위장관 방사선 보호제를 개발함으로써 암환자에 큰 희망을 될 수 있음. ◦ 세계의 방사선 증후군 치료 시장은 2016년 46억 5,500만 달러에서 2024년까지 82억 5,6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2016-2024년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6.57%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됨. 따라서 보호제 개발에 따른 세계 공공보건 증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 이윤 창출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섭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급성방사선위장 관증후군;방사선 보호제;바이오마커;마우스 모델;유전체 분석; 2. Gastrointestina l acute radiaton syndrome;Radioprotector;Biomarker;Mouse model;Genome-wide analysis;
  • 11489

    2020.11.30

    1. Research Purpose In nuclear power plant systems, the role of primary coolant water is to transfer the produced heat from the core to the secondary system for steam generatio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a number of different corrosion products can be produced due to the normal degradation of the structural materials. These corrosion products can be comprised of ionic species or can be metal oxides. The build-up of these corrosion species beyond a certain limit can not only deteriorate the coolant performance also can redu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uel cladding. These corrosion products after irradiation and becoming radioactive can cause high radiation level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radiation doses of the radiation workers during routine maintenance work. The higher fuel cladding temperatures due to the reduced heat transfer efficiency may cause CRUD-induced localized corrosion. Also, preferential boron deposition on the CRUD may lead to Axial Offset Anomaly (AOA). It may also increase the monitoring costs, additional fuel inspects, premature fuel discharge and storage and a possible fuel reconstitution. (출처 : 본문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류호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488

    2020.06.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목적 방사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생명, 나노, 환경, 소재, 의료,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난제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기술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연구의 내용 1. 방사선 기술 개발 정책 자문 그룹 운영 가. 국내 방사선 기술 전문가 그룹 조직 및 운영 방안 마련 나. 방사선 기술 전문 자문위원 위촉 및 운영 다. 분야별 방사선 기술정책 개발 및 제안 시스템 구축 2. 국내외 방사선 응용 기술 개발 난제 조사/분석 가. 국내 방사선 기술 연구개발 현황 분석 나.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동향 분석 다. 국내 방사선 응용 기술 개발 난제 조사 3. 방사선 응용 기술개발 역량 강화 방안 연구 가. 방사선 응용 기술 분야 난제 극복 R&D 사업화 검토 나. 사업 추진, 운영 및 평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체계 구축 다. 기타 방사선 응용 기술개발 연구역량 강화방안 마련 등 □ 연구개발성과 ○ 방사선 기술전문 자문위원회 운영 - 연구사업 관리기관, 대학, 출연연, 협회 등 방사선 기술 전문가 자문위촉 - 온오프라인 회의를 통한 전문 자문위원회 운영 ○ 난제 극복 필요 기술수요조사 - 고위험탐색, 성과 불확실성으로 인한 제한적 투자영역의 도전기술 발굴 - 연구재단 기획마루를 활용한 2차례 기술수요조사 실시 ○ 국내 방사선 응용 기술 난제 분석 및 극복 기술 도출 - 수집된 기술수요조사 정밀검토를 통해 방사선 융합기술개발 난제 선별 - 전문가 의뢰를 통해 난제분석 및 극복기술 제안 ○ 방사선 이용 미래혁신 기반기술 연구사업 기획보고서 - 방사선 융합 기술개발 난제 극복에 필요한 모험적 연구의제 발굴 - 중점추진기술 제안 및 사업 운영 방식을 포함한 기획 제안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방사선 기초기반 기술개발 연구 신규 사업 기획 자료로 활용 - 일몰사업 성과기반 후속사업과의 연계를 연착륙 시키는 방안으로 활용 - 방사선 이용 미래혁신 기반기술 연구 사업(안) 도출 및 세부과제의 과학 기술적 근거를 제공함 ○ 과학적, 기술적 활용 방안 - 방사선 응용 기술 개발 정책 관리 기관의 제도 및 정책 수립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사업화 추진 및 리스크 관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 - 방사선 응용 기술 분야별 경계를 허물어 각 장점을 융합하여 창조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개발 잠재력이 강화 ○ 사회경제적 활용 및 기대효과 - 미래 사회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주도하는 방사선 응용 기술 분야를 제시함으로써 국가 미래 기술전략 수립에 방사선 기술 분야 기여가 기대 - 방사선 융합 핵심 원천기술 확보로 방사선 신산업 창출을 유도하여 직간접적 고용 및 일자리 창출 효과 발생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진영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방사선 기술;방사선 정책;방사선 산업;연구 역량;과학적 난제; 2. Radiation technology;Radiation policy;Radiation industry;Research potential;Scientific challenge;
  • 11487

    2020.05.31

    □ 연구개요 ● Development of polyelectrolyted complex coacervate (PCC) based protein carrier for delivery into cell: -To design polyelectrolytes (PE) having chiral monomers and large number of cations and/or anions in the polymer ch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CC formed by optimizing the condition parameter to control electrostatic interactions between polycation and polyanions within the PCC complex by including chiral monomers into the polyelectrolyte chains. -Super-charging of proteins would be done if they could not be loaded into the PCC. ● Real-time imaging of protein transfer through PCC in living cells: - To investigate the delivery and release of protein from the PCC inside the living cell via real-time imaging.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The model polyelectrolyte has been synthesized successfully and during this study an efficient synthetic route has been developed and the work has been published. ● Coiling/uncoiling behavior of NaPSS was studied in aqueous 2-ethoxyethanol media have been studied to understand the compactness of polyion chians when they coaceravte and the work has got published. ● The intra- and inter-chain electrostatic interactions of polyelectrolytes with different chain lengths have been explored as a function of various condition parameters and the work is published, too. ● Role of polymers to design biocompatible nanocarriers for drug delivery has been studied and review article has been published. ● In an other work, the role of polyelectrolyte in wastewater treatment and thereby the protection of disease has been studied and a review manuscript is submitted for publication. ● Finally, a PCC system has been desigened in such a way that the supercharging of the model protein could be avoided and imaging of the protein delivery using polyelectrolyte functionalized upconversion nanoparticle (UCNP) as carrier has been executed. The results are now used to prepare a manuscript for publication.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olyelectrolytes and the protein in the coacervate (PCC) is greatly expanded and explains the protein stability within the complex. ● The protein carrier has been designed which has the capability to be used for long-time bioimaging and has no photo-bleaching, photo-blinking, etc. Additionally, since IR radiation can be used as source during the diagnosis, there is no induce phototoxicity during this live-cell imaging. ● Thus, a UCNP-PCC based protein delivery system for bio-imaging and monitoring has been designed and developed to be used for live cells.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De Ranjit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polyelectrolyte;coacervate;protein;UCNPs;bio-imaging;
  • 11486

    2020.02.29

    □ 연구개요 -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및 체르노빌 사고 등의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하여 방사성 요오드 오염 가능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 여파로 도쿄 시내의 한 정수장에서는 1리터당 210 베크렐의 요오드-131이 검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전국적으로 대기 및 음용수에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됨. 따랏, 환경 친화적이며 방사성요오드 특이적, 고효율 및 경제성을 갖는 방사성요오드 제거 기술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됨. -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해 차세대 생명공학 및 나노기술의 융합을 통하여 금 나노입자 합성능이 있는 미생물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제거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 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Deinococcus radiodurans를 활용하여 방사성 요오드 제거 기술을 개발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2017)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는 “Deinococcus radiodurans 균주 개량을 위한 분자 생물학적 도구 개발 및 미생물 나노입자 생합성 메카니즘 규명” 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Cre-loxP 시스템 기반의 Deinococcus radiodurans specific 유전체 개량 기술을 개발 완료 하였으며, 나아가 이를 D. radiodurans 미생물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 할 수 있도록 개량 하였다. - 2차년도 (2018)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는 “효율적으로 금 나노입자를 생합성 할 수 있는 D. radiodurans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방사성 요오드 제거능이 있는 기초 미생물을 제작” 으로 설정하였으며, 목표달성을 위해 SEM-EDX, TEM을 포함한 DLS 분석을 통하여 금 나노입자가 효율적으로 생합성 되는 것을 확인 하였고, 나아가 seawater, urine 및 PBS 조건에서 방사성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3차년도 (2019) 3차년도 연구개발 목표는 “효율적으로 방사성요오드 제거를 위한 맞춤식 효소 개량 및 scale up을 통한 고효율 방사성 요오드 제거 기술 개발” 로 설정하였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Metallothionein 및 phytochelatin synthase 등의 효소를 추가 도입하여 나노 생합성 효율을 향상 시켰고, 나아가 lysophilized D. radiodurans를 개발, scale-up 및 효율성 개선을 통하여 실제 on-site remediation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AuNP-D. radiodurans를 이용한 방사성 요오드 제거 기술’은 방사성 요오드의 제거 효율성 및 선택성이 매우 우수하여 학문적으로 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 후 대형병원, 산업체 및 원전 사고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폐수로부터 방사성 요오드를 제거 하는데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또한, Deinococcus radiodurans 미생물은 높은 방사선에 저항성을 갖기 때문에, 추가 미생물 개량을 통해 방사성 요오드 이외에 우라늄, 스트론튬, 세슘 등의 방사성 폐기물 제거에도 적극 활용 할 수 있음.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 제거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 큰 경제적부가 가치 창출을 예상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용준
    • 주관연구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Radioactive waste;Radioactive iodine;Bioremediation;Deinococcus radiodurans;Gold Nanoparticle;Biosorption;
  • 11485

    2019.12.31

    본 연구는 국가원자력연구시설을 이용한 전문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함으로써 원자력공학 전공 대학원생 및 대학원 진학 예정 대학생들에게 전문화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현장적응 능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보유한 국가원자력연구시설과 전문연구인력을 이용한 전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차세대 전문가를 양성하였으며, 원자력공학 전공 대학원생 및 대학원 진학 예정 대학생들에게 현장실험실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원자력안전연구 분야의 잠재 이용자를 육성하여 원자력안전연구 인력의 저변 확대를 하고자 하였다. 6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과정 운영을 위해 과정별로 교재와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총 13개 대학에서 126명이 교육을 신청하여 과정을 수료하였는데 수료자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경희대 6명, 단국대 1명, 부산대 13명, 서울대 10명, 세종대 9명, 영남대 2명, 유니스트 9명, 전북대 3명, 조선대 12명, 중앙대 6명, 카이스트 30명, 포항공대 3명, 한양대 22명이다. 교육수료 후 6개 과정에 대한 설문지결과를 합산하여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기대치 4.3, 전체 교육 만족도 4.5,새로운 지식 습득 4.6, 강사 및 강의내용 4.7, 교육환경 4.5로 높은 교육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원자력공학 전공 대학원생 및 대학원 진학 예정 대학생들에게 과정별로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실험실습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15p)
    • 연구책임자 : 신병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원자력 안전연구;실험실습;개발;운영;교육생 수;논문 발표;교육과정;교육만족도;인력양성; 2. Nuclear safety research;Experiment training;Development;Operation;Trainee number;Paper presentation;Curriculum;Educational Satisfaction;Cultivation;
  • 11484

    2019.12.31

    ◦ 2019년 수출입통제 사업으로 원자력수출입통제 관련 정책수립 및 이행을 위한 대정부 기술지원, 수출통제 관련 법령 검토, 산업계에 대한 아웃리치 활동, 국제협력활동 등을 수행함 ◦ 수출입통제 이행과 관련하여, 전문판정 3,915건, 수출허가 586건 및 핵물질 수출입 요건확인 264건 등에 대한 기술 심사를 지원하였으며 온라인 수출입통제 민원시스템인 NEPS를 유지관리 및 재구축사업을 수행하여 민원 편의를 도모하였음 ◦ 전문판정 업무위탁기관 지정을 대비하여 UAE 등 원전수출에 따른 전문판정심사 경험사례를 반영한 전문판정 심사지침서를 개정하고, 핵물질 수출입요건확인, 정부보증 업무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침서를 마련하였음 ◦ 제9차 NSSC-FANR 수출통제 연례회의에 참석하여 UAE BNPP 시운전 및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는 ECI 접근에 대한 문제를 논의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협력 활동을 수행하였음 ◦ NSG 총회, CG, TEG 등 국제무대에서 축적된 경험을 선진국 및 원전도입국과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노력을 하여 대외신인도 제고하였음 ◦ 수출통제 제도 인지도 및 이행률 제고를 위해 수출자 대상 교육 8회, 전시회 3회, 출판물 발간 3건 등 총 14건의 아웃리치를 수행함 (출처 : 초록 104p)
    • 연구책임자 : 신동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수출입통제;핵공급그룹;전문판정;수출허가;원자력수출입통제시스템; 2. Export Control;NSG;Classification;Export License;NE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