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57/1,239

검색
  • 11822

    2020.12.31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의 초고속 동역학을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성능의 초고속전자회절 장치를 개발하였음. 이 장치는 기존의 기술이 가진 한계를 독창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극복하였으며, pump-probe 실험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시간분해능 (32 펨토초)을 실증하였음. 본 성과는 Nature Photonics에 게제되었으며, 2020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및 최우수에 선정되었음. 세계 최고의 시간분해능을 얻기 위해서 가속기, 레이저, RF 기술을 융합하여 4.4 펨토초의 시간정밀도를 가지는 극초단 펄스 계측 기술도 함께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을 활용하여 테라헤르츠 파형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데 성공하였음. 또한 개발된 초고속전자회절장치를 이용하여 Bi, 페로브스카이트 및 기체 시료에 대한 초고속 구조동역학 분석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격적인 초고속 물성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음. 특히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동역학 측정은 국내에서 최초로 성공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203p)
    • 연구책임자 : 이기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초고속 방사선;초고속 전자회절;펨토초 레이저;시분해 전자회절;극초단 펄스 계측;고출력 테라헤르츠 펄스;고주파 광전자총;펌프-프로브; 2. Ultrafast radiation;ultrafast electron diffraction;femtosecond laser;time-resolved electron diffraction;measurement of ultrashort pulse;high-power terahertz pulse;RF photogun;pump & probe;
  • 11821

    2020.12.31

    본 과제를 통해 다음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 중성자 산란장치 유지 및 보수 ○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중성자 공급 시스템 유지보수 ○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 구축 본 과제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성자과학연구시설의 가동 상태 회복 및 안정적 운영 ○ 중성자산란장치의 핵심 부품의 안정적 운영 관리 및 최적화를 위한 장치 기술 개발 ○ 중성자빔 이용 기반 시설(빔포트, 유도관 등) 및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 관리 (출처 : 서지정보양식 117p)
    • 연구책임자 : 소지용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중성자 산란 장치;중성자 과학 시설;시료환경 장치;방사선 안전;장치 기술; 2. Neutron scattering instrument;Neutron research facility;Sample environment;Radiation safety;Instrumentation technique;
  • 11820

    2021.02.28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규제제도 체계화 및 규제검증 방법론 개발 ○ 전체 내용 1단계(단위과제)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2단계(총괄과제)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1단계 (단위) 목표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내용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건설/운영 허가신청시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안전 고려사항 분석 - 운영중 예비해체계획서 갱신 단계에서의 심사를 위한 안전 고려사항 분석 - 건설/운영 허가신청시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개발 - 운영 중 예비해체계획서 갱신 단계에서의 심사를 위한 지침 개발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국외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국제기구 기준 등의 평가를 통해 해체용이성을 위한 설계·건설 및 운영시 고려사항 분석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용이한 해체를 위한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마련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해체과도기 시설 변경항목들에 대한 안전성 검증방안 조사 및 분석 - 해체과도기 안전규제를 위한 고려사항 조사 및 분석 - 원자력시설 영구정지 및 해체과도기 관련 규제지침, 규제기준 및 안전심사 이행지침(안)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 안전검사를 위한 이행지침(안) 마련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 해체 선원항 평가 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국제기준 등의 검토를 통한 해체 선원항 평가대상별 핵심 고려사항 조사 및 분석 - 해체 선원항 평가를 위한 모델링 기법 분석 및 검증 지침안 마련 ○ 2단계 (총괄) 목표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내용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최종해체계획서 및 품질보증계획서 심사ㆍ평가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조사 및 분석 - 국제기준 등의 평가를 통해 해체승인 대비 안전 고려사항 분석 - 해체시 주요 분야(방사선방호, 폐기물관리, 품질보증, 화재방호, 주요 구조물·계통·기기의 유지 및 신규위험요소 감지 등) 안전성 검증을 위한 핵심인자 도출 - 해체전략 정당화 평가를 위한 규제입장 수립 관련 고려사항 분석 - 해체승인을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 관련 품질보증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를 위한 측정/분석방법 선행연구 규제 적용성 평가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검증을 위한 핵심 안전인자 도출 - 해체후 최종부지상태 및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검증을 위한 평가지침(안) 마련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 안전성평가 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방사선위험도 기반의 차등접근법을 고려한 해체 안전성평가 방법론 검증 - 해체 공정별 리스크 및 심층토양/지하수 잔류방사능 평가모델 검증 - 해체 전/중 환경감시와 방사선환경영향 평가 검증을 위한 평가지침(안) 마련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원전해체 폐기물 최소화 대비 규제분석 선행연구 규제 적용성 평가 - 해체 시나리오에 따른 방사선방호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규제 고려사항 도출 - 해체폐기물 처분 적합성 확보를 위한 특성별 분류, 감용 및 처리 전략의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대형 해체폐기물 운반 안전성 평가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잔류방사능 분석 및 평가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재활용 위험도 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자체처분 기준 및 검증지침 개발 ○ 해당 연도 목표/내용 - ※ 상기 단계별 연구목표 및 내용에 포함하여 기술 □ 연구개발성과 ○ 1단계 (단위) ▪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 고도화 ✔ 건설/운영 허가신청시 예비해체계획서 심사를 위한 지침서 초안 ✔ 운영중 예비해체계획서 갱신 단계에서의 심사를 위한 지침서 초안 ▪ 원자력시설 건설/운영 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 ✔ 국외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분석 ✔ 국제기구 기준 등의 평가를 통해 해체용이성을 위한 설계·건설/운영시 고려사항 분석 ✔ 설계·건설 및 운영시 용이한 해체를 위한 규제요건 이행지침 초안 ▪ 해체과도기(영구정지 후 해체 전 단계)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 ✔ 해체과도기 시설 변경 항목들에 대한 안전성 검증방안 도출 ✔ 해체과도기 안전규제를 위한 고려사항 도출 ✔ 원전 영구정지 후 해체과도기에 대한 안전 심사 및 검사 지침 초안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 평가 및 검증기술 개발 ✔ 해체 선원항 평가 관련 선도국의 규제요건 조사 및 분석 ✔ 국제기준 등의 검토를 통한 해체 선원항 평가대상별 핵심 고려사항 도출 ✔ 해체 선원항 평가를 위한 모델링 기법 분석 및 검증 지침안 마련 ○ 2단계 (총괄) ▪ 원자력시설 해체승인 심사를 위한 최종해체계획서 심사지침(안) 개발 ✔ 해체 관련 국외 선도국의 최종해체계획서 심사 규제요건 분석 ✔ 최종해체계획서 심사 평가 항목별 안전 고려사항 도출 ✔ 최종해체계획서 및 해체 관련 품질보증계획서 심사지침 초안 ▪ 해체후 시설과 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 방법론 개발 ✔ 해체 후 시설 및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방법 비교평가 ✔ 해체 후 시설 및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 방법의 국내 적용성 분석 ✔ 해체 후 시설 및 부지 잔류방사능 조사방법의 검증 지침(안) ▪ 원자력시설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검증 ✔ 해체 단계별 해체 공정별 위험도 평가모델 검증 : 고리 1호기 해체단계 및 공정별 리스크 검증을 위한 리스크 평가 항목 및 절차 가이드라인 제시 ✔ 심층토양/지하수 잔류방사능 평가 규제요건 적용을 위한 핵심 안전고려사항 도출 및 잔류방사능검증 평가 방법론 제시 ✔ 해체에 특성화된 방사선환경영향평가 검증 기술 : 규제검증모델 및 적용결과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최적 규제관리 및 방사선 특성평가 선행연구 조사·분석 및 평가 ✔ 해체 중 방사성폐기물 발생특성 및 규제요소 조사·분석 ✔ 해체 중 방사성유출물 규제관리 개선방안 도출 ✔ 표면오염 및 체적오염 해체폐기물 특성평가 검증방법론 개발 ✔ 대형 해체폐기물 운반 안전성평가 검증 방법론 개발 ✔ 해체폐기물 처분전 관리 단계별 안전성평가 검증방법론 개발 ✔ 해체폐기물 재활용 위험도 평가기술 검증 ✔ 해체폐기물 자체처분 기준 및 검증지침 개발 ✔ 해체 시 방사성폐기물 종합관리계획 검증지침(안)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자력시설 예비해체계획서에 대한 최초심사 및 운영중 주기적 갱신 심사지침 제정에 활용 ▪ 원자력시설 설계·건설 및 운영시 해체 용이성 관련 규제요건 이행지침안 개발을 통해 해당 사업자에 관련 지침 제공 및 해체계획서 심사업무에 활용 ▪ 원자력시설 해체과도기 안전규제를 위한 이행지침안 개발을 통해 고리1호기 영구정지를 위한 변경허가 신청서에 대한 심사지침 제정에 활용 ▪ 원자력시설 해체 선원항평가 검증기술 개발 연구결과는 해체 선원항평가에 대한 규제검토 ㆍ지침 제정에 활용 가능하며, 또한 사업자에게 활용 가능한 평가지침 제공 ▪ 국내 최초 원전인 고리1호기 영구정지 후 5년 이내 제출하는 해체승인용 최종해체계획서의 심사지침 및 안전성평가 검증에 활용 ▪ 해체후 시설/부지내 잔류방사능 조사 검증방법론 개발을 통해, 고리1호기 최종해체계획서 심사, 해체완료보고서(최종부지상태보고서 포함) 검토, 해체완료 검사 등에 대한 심사 및 검사지침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됨. ▪ 해체 안전성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검증기술 개발을 통해, 원자력이용시설 해체 과정에서 차등접근법을 적용한 안전성평가 방법론을 수립하고 해체 단계별 종합 안전성 평가 및 검증체계 구축 ▪ 해체폐기물 안전성평가 기술 검증 및 지침 개발을 통해, 원자력이용시설 해체에 따른 안전성 심사 및 검사 과정에서 해체폐기물 관리의 종합안전성을 확인·검증하는데 활용할 예정으로, 해체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방사능준위를 가진 대량의 해체폐기물 관리 안전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고, 또한 해체폐기물에 대한 국민 안심과 신뢰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해체에 대한 미래 규제수요에 대비하며,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해체 규제기준 확립에 기여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최경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해체;해체계획서;심사지침;규제검증;안전성평가; 2. Decommissioning;Decommissioning Plan;Review Guideline;Regulatory Verification;Safety Assessment;
  • 11819

    2021.01.31

    □ 연구개요 PCM/SiC 기반 열에너지 저장 및 방출 합성골재의 개발 ● 1차적으로 상변화물질을 활용 에이징 및 진공기법을 통한 함침골재의 개발 ● 2차적으로 상변화물질이 함침된 골재의 표면위에 실리콘 카바이드를 활용하여 표면에 코팅하여 열전도성을 향상시키면서 기계적인 성질이 향상된 합성골재의 개발 개발된 PCM/SiC 기반의 합성골재를 함유한 콘크리트의 열에너지 저장 성능 및 내구성, 기계적인 성능평가 ● 개발된 에너지 저장 및 방출 합성골재가 함유된 콘크리트 모의 부재 제작을 통한 외기온도에 따른 실내 온도 특성분석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저장 및 방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개발된 PCN/SiC 기반의 합성골재가 함유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을 살펴보면 콘크리트는 구조재료로서 일정한 소요강도 요구되는 재료이다. 개발된 합성골재는 일반 골재에 비해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부착력이 떨어지고 강도가 약한 재료를 코팅했기 때문에 물리적인 성질은 감소된다. 결과를 보면 일반 골재가 함유된 공시체에 비해 개발골재가 함유된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10~25% 이상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설계기준강도를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냈기 때문에 건설재료 사용하기에는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실험결과 일반 콘크리트 보다 열에너지 저장 콘크리트가 온도를 평균 5℃ 낮추어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내부의 온도는 10℃ 이상 높으면서 외기로 배출되는 열기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에는 온도가 5℃ 이상 낮은 결과를 보였다. ■ 따라서 개발된 열 에너지 저장골재를 콘크리트에 함유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온도를 저장하여 내부에 침투가 되는 온도를 줄여 여름철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개발하고자 하는 골재의 주된 목적은 여름철 열 에너지를 저장해서 외기에 온도를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온도를 낮추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를 통해 산정된 결과를 보면, 여름철 시즌에 평균적으로 5℃ 이상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에너지 소비량은 여름철 900~1,200kWh 이상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연구개발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제로에너지의 의무화 기술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홍기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상변화물질;열에너지 저장;제로에너지;실리콘 카바이드;
  • 11818

    2020.12.31

    ■ 2010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계기로, 환경에 누출된 방사성물질의 제염을 위한 기술개발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기존의 물리화학적제염 기술은, 제염된 토양이 환경으로 복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함께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광역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재안 기술 개발이 요구됨 ■ 이러한 대안 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생물학적제염 기술인데, 현제 제시된 생물학적제염기술은 제염효율이 매우 낮아 실제 오염지역 현장에 적용하는데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인 색동호박을 이용하여 방사성물질 중 인체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하는 세슘의 제염효율을 평가하였음 ■ 그 결과, 1 개체 식물당 4,000억 Bq 이상(최대 55조 Bq/kg plant)의 고효율로 세슘 제거가 가능함을 밝혔음 ■ 이러한 색동호박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세슘 제염에 대한 실험을 토대로, 실제 현장에서 생물학적 제염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완성하였음 ■ 이상의 결과는 기존의 한계로 여겨져 왔던 생물학적제염기술을 실제 오염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일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제염;식물제염;방사성핵종;세슘;색동호박; 2. remediation;phytoremediation;radionulcides;cesium;Cucurbita pepo;
  • 11817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주상규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불균질 밀도 보정;환자 맞춤형 선량 측정 팬톰;방사선량 예측;방사선량 검증;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2. Heterogeneity correction;Patient-specific dosimetric phantom;radiation dose prediction;dosimetric quality assurance;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11816

    2021.02.28

    □ 연구개요 본 연구는 고온의 QCD 매질에서 입자들의 생성, 상호작용 및 수송 과정을 연구하여 상대론적 중이온충돌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HIC과 LHC 등에서 측정되는 입자들의 생성량은, 초기 생성 뿐 아니라 쿼크-글루온플라즈마 내에서의 상호작용 및 상전이(phase transition) 후 강입자화 되는 과정에서의 메커니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이온 충돌계의 진화를 이해하는 것은 실험 결과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이 강입자(exotic hadron) 생성과 쿼코니움(quarkonium)의 해체(dissociation) 및 재조합(regeneration)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상대론적 중이온 충돌에서 특이 강입자의 하나인 네 개의 쿼크로 구성된 Tcc의 생성을 연구하였다. Tcc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분자(molecular) 상태이거나 치밀한 쿼크(compact multiquark) 상태일 가능성이 있다. 유체역학(hydrodynamics)을 이용하여 강입자 상태 물질의 진화를 모델화하고, 구조에 따른 Tcc의 초기 생성 및 파이 중간자와의 반응을 계산함으로써 RHIC과 LHC에서 그 특이입자의 생성량을 예측하였다. 무거운 쿼크와 그 반쿼크의 색 전하(color charge)에 의한 쌍극자(dipole)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글루온 흡수와 비탄성 충돌에 의한 쿼코니움의 해체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가 pNRQCD(potential nonrelativistic QCD)에 수렴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쿼크-글루온 플라즈마 내에서 쿼코니움의 해체와 재조합, 에너지 손실(energy loss)등에 대한 현상론적 모델을 만들었고 이 모델을 bottomonium의 바닥 상태(ground state)에 적용하였다. central rapidity 영역에서 RAA(nuclear modification factor)와 v2(elliptic flow)를 계산하였고 이를 CMS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본 과제에서 연구된 강입자 상태 물질의 유체역학적 모델과 반응 속도식(rate equation)을 이용한 입자들의 생성량 계산은 다른 특이 입자들의 생성량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2) 쿼코니움의 해체, 재조합, 에너지 손실을 이용한 현상론적 모델은 bottomonium의 바닥 상태 외에도 들뜬 상태(excited states) 및 charmonium 등에 적용하여, 이들의 RAA및 그 비율 등 다른 실험 데이터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3) 본 과제에서 개발된 쿼코니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무거운 쿼크 및 쿼코니움에 대한 시뮬레이션 코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홍주희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상대론적 중이온 충돌;쿼크-글루온 플라즈마;강입자 상태;쿼코니움; 2. relativistic heavy ion collisions;quark-gluon plasma;hadronic gas;quarkonium;
  • 11815

    2021.02.28

    연구개요 본 연구는 방사광 X-선 (Synchrotron radiation X-ray)를 이용한 폐암의 비파괴적 진단 검사기법의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음. 방사광 X-선을 이용한 영상의학적 검사는 기존의 X-ray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병리적 영상 검사에 필적하는 정밀도와 해상도의 획득이 가능하여 해부학적 미세구조의 관찰이 필수적인 초기 폐선암의 진단에 특히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음. 또한 방사광 X선을 이용한 단층촬영 영상의 3차원 재구성을 통해 폐암의 구조와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절제 범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의 연차별 목표 및 결과는 다음과 같음 1차년도 목표: 방사광 X-선을 이용한 고정밀 3D resolution 영상획득 1차년도 연구결과: 폐암 조직에 대한 3D reconstruction 영상을 얻기 위해 2019.05.15.~17 일본 츠쿠바의 고에너지 가속기 연구소 내 Photon factory BL14B와 BL 14C에서 1차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019.11.19.~22일에 2차 실험을 진행하였음. 두 번의 실험을 통해 Refraction –based tomgraphic imaging 기법을 이용하여 폐암 검체의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결과에 대해 2019.09월 상해에서 열린 제13회국제 생물방사광 학회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logy and Synchrotron Radiation)에서 발표되었으며 논문을 저술되어 2021년3월 Diagnostic에 online 게재됨. 2차년도 목표: 방사광 virtual lung biospy를 위한 비파괴적 폐암진단 모델 구축 2차년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폐암 진단을 위한 비파괴적 검사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함. COVID19 유행으로 인해 일본에서의 직접적인 실험은 진행하지 못하였으며 Photon Factory의 연구진과 On-line을 통해 Refraction-based tomographic imaging technique의 개선 방법을 논의함. Field of View 및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Asymmetrically-cut monochromator (ACM)의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새로 개발된 monochromator를 이용한 영상 실험이 일본연구진을 통해 현재 진행 중임. 또한 포항 가속기 연구소 내 6C biomedical beamline에서 2020년 10월 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Synchrotron X-ray를 이용한 Phase-contrast micortomographic imaging을 획득하였으며 attenuator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이 연구 결과는 2020년 11월 방사광 이용자 연구회에서 발표되었으며 향후 본 연구에 참여하였던 고려대학교 이은주 연구원이 6C biomedical beamline의 임재홍 박사와 함께 연구를 지속할 예정임. 2차년도 연구에는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생기능성 나노입자 도입이 시도되었으며 염색 방법의 개선과 새로운 영상기법의 개발을 목표로 예비 실험을 계획 중임.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Human-scale imaging technique의 개발: 1차년도 연구를 통해 Refraction-based synchrotron radiation tomographic imaging technique 중 Dark-field imaging optics의 개선을 통해 해상도 저하 없이 Field of View를 확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 중이며 이는 임상적용의 전제 조건인 human-scale의 영상획득을 위한 기술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됨. 폐암 영상의 정밀도 개선을 통한 virtual lung biopy 기법의 개발: 획득 가능한 영상크기의 증가와 더불에 폐암으로 의심되는 병변에 대한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영상기법을 개선하였음. 영상으로 관찰되는 병변이 염증조직과 구분이 어려운 초기 폐암병변의 진단을 위해 폐암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이용한 생기능성 나노입자의 개발을 위해 전단계 실험을 진행 중임. 이 기법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 생체 적합도와 염색기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차후 연 과제로 진행하고자 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석양기
    • 주관연구기관 : 순천향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광;폐암;진단; 2. Synchrotron;Lung cancer;Diagnosis;
  • 11814

    2021.02.28

    □ 연구개요 생리적 노화의 주요 분자생물학적 원인인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하여 노인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발굴하고자 함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노인성 심혈관질환의 상관성 규명 -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과 노인성 심혈관질환 상관성 규명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 작용기전 규명 - lamin에 의한 줄기세포 고갈 억제 기전을 기반으로 한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노인성 심혈관질환 연구모델 정립 및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과 줄기세포 고갈에 의해 발생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 구축 • 확립된 질환 모델에서의 심혈관질환의 병리학적 분석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이 심혈관조직 구성 세포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에서의 줄기세포의 생리적 활성 변화 여부 확인 2)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적 활성 감소와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표지인자 및 전사인자의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이동능 비교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내피줄기세포의 membrane stiffness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 비교 분석 3)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 활성 감소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및 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를 활용한 동물모델의 치료효과 검증 • 노인성 심혈관질환 환자로부터 획득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활용한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 작용 기전 연구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로 세계적 경쟁력 확보 및 그에 따른 기술 경쟁력 확립 • 세계 최초로 노인성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빠른 채택률을 보일 것이며, 개발된 노인성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활용은 또 다른 경제적 측면에서 막대한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우철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라민;핵구조 결손;줄기세포 고갈;노인성;심혈관질환; 2. lamin;defect in nuclear architecture;stem cell exhaustion;aging;cardiovascular diseases;
  • 11813

    2021.11.30

    □ 연구내용 ○ (실용화기술 개발) 지역산업 연계 원전해체 핵심기반 기술 실용화 - 핵심기반기술 중 지역산업과 연계된 제염, 절단, 폐기물 처리의 실용화 기술 개발 -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역내 산업체 참여를 통한 기술이전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향후 해체시장해체산업 기술 고도화 지원의 허브 역할 ○ (기업 기술지원) 원전해체 중소기업 기술고도화 지원 및 육성 - 원전해체 기술분야별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지원 및 육성 - 원전해체 핵심기술 및 실용화 기술 검증을 위한 실증 시설, 장비 등을 활용한 시험·분석 지원 □ 연구개발 성과 ○ 정성적 성과 -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원전해체 관련 기술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한 부품 국산화와 국외 수출을 통한 동남지역 부품소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정량적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환경오염물질 저감 및 제거 기술 - 에너지 생산 및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폐수 중에 포함된 환경오염물질을 제거, 저감 및 폐기하는 기술 ○ 극한로봇 솔루션기술 - 사람이 작업하기 어려운 제조환경이나 조작하기 어려운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한 기술 ○ 안전보호 제품화 및 소비재 안전보장기술 - 미래산업현장의 위험요소로부터 인력을 보호하는 제품을 제조하고, 유통 및 사용환경에서 소비재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기술 □ 성과활용 계획 ○ 산업적 성과 - 전문가 신속연계 지원을 통한 현장애로기술 해결 - 공동장비의 활용으로 수익성 제고 및 실용화 기술과제의 발굴, 민간수탁과제 활성화 - 고부가가치 창출형 글로벌 기업으로의 체질 개선 ○ 기술적 성과 -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원전해체 관련 기술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한 부품 국산화와 국외 수출을 통한 동남지역 부품소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원전해체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기여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남대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원전해체;원전산업;제염;절단;폐기물 처리; 2. Nuclear Decommissioning;Nuclear Industry;Decontamination;Cutting;Waste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