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55/1,246

검색
  • 11918

    2022.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금속수소화합물의 수소 저장 능력 향상과 이를 위한 핵자기공명기법 개발 ○ 전체 내용 ● 다양한 크기와 특성을 갖고 있는 mesoporous materials(기공 구조물)에 금속수소화합물을 침윤(infiltration)시켜 수소 기체의 탈착/흡착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물리화학적으로 이해함. ● 금속 촉매가 금속수소화합물의 산화 및 수소 탈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 ● 금속수소화합물의 산화정도가 수소 탈착 온도에 미치는 영향 파악함. ● 기공 구조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함. □ 연구개발성과 ● 고체 핵스핀 이완 현상이론으로 LiBH4, Mg(BH4)2와 Ca(BH4)2 등의 금속수소화합물의 BH4 원자단의 회전 운동에 대한 정밀한 해석과 함께 열역학적 함수값을 측정함. ● MCM-41과 ZSM-5, SBA-15 제올라이트에 침윤된 Mg(BH4)2의 탈수소화 과정 확인함. 기공 구조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음. ● MCM-41 기공 속에 침윤된 Mg(BH4)2과 MCM-41 고체 표면에 침착된 Mg(BH4)2의 수소 탈착 반응에 대한 DSC 측정 연구를 수행함. ● LiBH4 , Mg(BH4)2 화합물에 대한 촉매 (ScCl3, TiF3, NiCl2) 효과를 검증하고, 촉매의 첨가량에 따른 탈수소화 반응 온도의 변화를 측정함. ● LiBH4, Mg(BH4)2와 Ca(BH4)2 등의 붕화수소화합물이 산화되어가는 속도 및 산화정도에 따른 탈수소화 온도의 변화를 측정함. 산화의 정도가 미치는 영향은 미미함. ● 붕화수소화합물의 산화에 대한 금속 촉매의 영향을 파악함. 금속 촉매의 산화 방지 및 탈수소화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함. ● 금속수소화합물을 침윤시킬 기공 구조물의 하나로 제올라이트의 내부 구조에 대한 실험을 수행함. CPMAS와 REDOR 기법을 활용하여 인으로 개질된 제올라이트 내부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함. 알루미늄에 결합되지 않는 인 화합물은 열화 과정에 의해 제거되었고 알루미늄에 결합한 인 화합물은 열화 과정 중에도 살아남아 산 촉매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함을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사중극자 핵스핀-격자 이완 현상에 대한 분광학적 이론 및 동력학적 해석에 대한 결과를 이용하여 topological insulator와 같은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electron band structure 연구에 활용함. ● 금속수소화합물의 특성 개선 및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에 활용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철
    • 주관연구기관 : 한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금속수소화합물;수소저장물질;핵자기공명분광학;사중극자원자핵;금속촉매; 2. Metal hydrides;Hydrogen storage materials;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Quadrupolar nuclei;Metal catalysts;
  • 11917

    2022.01.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통계기반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정량적인 계량/검증 선진화 기술 확보 ○ 전체 내용 ○ 중량취급시설의 핵물질 계량관리 데이터 분석, 전용여부 판단 및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기법 기반 물질수지평가 방법론 및 프로그램 개발 ○ 1단계 □ 목표 ○ 통계분석 기반 물질수지평가 방법론 개발 □ 내용 ○ 기존 국내 중량취급시설 물질수지평가 선행 기술 분석 ○ 국외 핵물질 계량관리시스템 기반 물질수지평가 기술 분석 ○ 핵물질 취급계통 별 재고량 평가 기법 분석 및 안전조치 접근 (안) 개발 ○ 공정 별 미계량핵물질 발생 요인(기록오차, 측정 또는 사고 손실 등) 분석 ○ 공정 및 측정시스템 Random 및 Systematic 오차 요인 분석 ○ 통계 기법 기반 미계량핵물질 발생량 추정 기법 개발 ○ 2단계 □ 목표 ○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개발 □ 내용 ○ 핵물질 전용여부 판단을 위한 가설검증기법 개발 ○ 핵물질 전용시나리오 및 예비 평가 개념 도출 ○ 공정 특성 기반 미계량핵물질 발생량, 분산 평가 및 유의성 검사 ○ 물질수지평가 전산 프로그램 개발 ○ 개발 프로그램 성능평가 및 규제적용성 검토 ○ 프로그램 운영절차서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음 (성과목표 대비 실적). 1차년도 성과목표 [N-STAR 보고서 1건] · IAEA 물질수지평가 방법론 등 국내외 물질수지평가 기법 개발 연구 동향 분석 보고서 - 유형1 성과실적 [N-STAR 보고서 3건] · IAEA 물질수지평가 방법론 등 국내외 물질수지평가 기법 개발 연구 동향 분석 보고서 – 유형1 ·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개발 현황 분석 보고서 - 유형1 ·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설계 보고서 - 유형2 성과목표 [규제 코드 1식] · DB 구조 반영 소프트웨어 모듈 초안 성과실적 [규제 코드 1식] · 물질수지평가 DB 구조 반영 소프트웨어 모듈 (저작권 등록번호: C-2021-036727, 상세기술정보 등록번호: ASSET_0007575) 성과목표 [기타 2건] · 국내 학술대회 발표 1건 (RFP외 추가 반영) · 국내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DB 구조 설계안 1건 (RFP 외 추가반영) 성과실적 [기타 4건] · 국내 학술대회 발표 2건 · 국내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확인 및 검증계획서 1건 · 국내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DB 구조 설계서 1건 [특허 1건(출원)] · 합성표준불확도를 이용한 중량취급시설의 물질수지평가 방법 (출원번호: 10-2021-0130336)) ○ 국내외 중량취급시설 물질수지평가 기술 현황 분석 - 국내외 물질수지평가 기법 규제현황 및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핵물질 계량관리 규제요건 및 물질수지평가 관련 연구개발 현황 분석 • IAEA 물질수지평가 관련 연구개발 현황 분석 • 미국 및 유럽의 핵물질 계랑관리시스템 기반 물질수지평가 기술 현황 분석 - 통계분석 기반 국내 고유 물질수지평가 정량화 기법 개발 (추가 성과) • 물질수지평가 정량화 기법 개발 및 절차 수립 • 물질수지 모의 평가를 통한 적용성 확인 ○ 국내외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현황 분석 및 DB 설계 -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개발 현황 분석 • 규제용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현황 분석 • 연구용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현황 분석 -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DB 설계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규제적용 - 기존 및 신규 원자력시설 안전조치 접근법 개발 및 독립적 물질수지평가 기술 확보 - 안전조치 적용을 위한 국내 규제기준 제시 및 이에 따른 능동적인 규제활동 수행 - 연구기관 간 기술협력·교류 활성화 및 안전조치통합정보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한 규제활용성 강화 - 개발된 DB는 추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규제검증 기술의 고도화에 활용될 수 있음. ○ 국제화 - 국내 환경을 고려한 독자적 물질수지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검사 적용을 통한 국가 역량 제고 - 미계량핵물질에 대한 가설검정, 신뢰구간 추정, 국제표준, 탐지확률 설정 및 비교검증을 통해 보다 정밀화된 미계량핵물질 평가로 국제사회 우려 불식 - 각 시설 및 공정 특성 분석에 따라 유효성이 입증된 검증기술로 정확도 높은 측정값을 도출하여 국내 고유 물질수지평가 결과의 신뢰성 확보 ○ 기대효과 - 핵물질 재고변경(선적인수차, 미계량핵물질 발생 등) 원인 분석 및 정밀 측정에 요구되는 국가 인프라 구축 및 검증기술 확보 - 효율적인 물질수지평가 및 계량관리를 통한 특정 핵물질의 악의적 사용을 사전에 방지 - 중량취급시설 안전조치 이행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고, 기술 고도화를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검증 수행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용석
    • 주관연구기관 : 미래와도전
    • 발행년도 : 20220200
    • Keyword : 1. 중량취급시설;물질수지평가;미계량물질;핵물질 계량관리;안전조치; 2. bulk handling facility;material balance evaluation;material unaccounted for;accounting and control of nuclear material;safeguard;
  • 11916

    2022.02.28

    □ 연구개요 산화적 스트레스는 암을 비롯한 노화, 당뇨, 심장 질환 등을 유발하는 중요한 유발인자로 잘 알려져 있음.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인 Nrf2의 역할이 중요하게 여겨짐에 따라, 본 연구 과제를 통해 Nrf2의 활성 및 저해 인자를 발굴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고, 항암제 내성을 통해 얻어진 Nrf2 활성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에 관해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항암제 내성 극복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기간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음. ○ 1차 년도 연구 목표는 Nrf2와 상호작용하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관련 유전자 재조합 및 그 유전자 발현과 Nrf2와의 상관관계를 관찰하고자 함. 본 연구에는 Nrf2 단백질 활성이 새롭게 동정된 PFKP 단백질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내용으로, PFKP 재조합 단백질 재조를 통해 이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에 유치하고 있고, 과발현을 통해 Nrf2 활성이 저해됨을 관찰할 수 있었음. 반변 siPFKP 통해서는 Nrf2 활성 및 타겟 유전자의 변이가 발생하지 않았음. ○ 2차년도 연구 목표는 1차년도의 연구를 바탕으로 Nrf2 파트너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에서 어ㄸ허게 상호작용을 하는지 촞넘을 맞춰, 분자생물학적 기법 및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Nrf2 alc PFKP가 미토콘드리아 활성 및 형태에 어떻게 미치는가에 대한 내용임. 본 연구를 통해 Nrf2가 미토콘드리아의 PFKP와 직.간접적으로 결합을 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음. 그러나 PFKP 과발현 자체가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및 형태 (fission,fusion)에 주요하게 작용하지는 않음을 확인하였음. ○ 3차년도의 연구 목표는 Nrf2의 활성 저해가 PFKP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판단하에 기 선별된 파트너 단백질의 기능을 좀 더 세밀하게 연구 하고자 함. Nrf2의 negative 파트너로 선별된 ATAD3A 와 ClPP의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위해 제조합 단백질 제조가 이루어졌고,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AlphaScreen 방법을 하고자 였음. 3차년도의 성과는 Nrf2의 분해를 촉진하기위해 Nrf2-ATAD3-CLPP axis가 중요하다는 것을 기초실험을 통해 밝혔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Nrf2의 활성조절을 통해 항암제 개발을 하기 위한 초석으로 하고자 하였음. 현재 Nrf2가 과발현된 암세포는 항암제의 내성을 획득하여 치료가 용의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전략으로 사용하여 Nrf2의 저해제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 또한 최근 CLPP 활성제가 항암제로 임상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Nrf2-CLPP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됨. 이를 통하여 항암제 내성을 통해 쉽지않은 항암전략을 새롭게 수립하고, 관련 약물 개발에 기초적 연구 지식을 습득하는 동시에 항암제 개발에 주요한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정환
    • 주관연구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산화적스트레스;미토콘드리아;항암제내성; 2. Nrf2;PFKP;Mitochondria;CLPP;ATAD3A;
  • 11915

    2022.02.28

    연구개요 본 연구는 간질성폐섬유화증 (interstitial fibrosis)을 반영하는 모델 중 방사선폐섬유화소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폐손상 과정 중 FPRs family 매개 efferocytosis에 의한 항염증 작용 및 Efferocytosis 매개-폐섬유화증 제어의 중요기전 조절의 FPRs의 핵심신호경로를 규명하여 간질성 폐질환의 보호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염증종결 기전을 바탕으로 한 합당한 druggable target 및 진단 마커 연구를 위한 기반 제공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목표: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폐섬유화 진행동안 FPRs family와 염증종결의 유도 efferocytosis 관련성 연구 ● Efferocytosis가 유발됨에 따라 폐섬유화 제어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함 ● 폐섬유화 모델의 efferocytosis 유도 동안의 FPRs family의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 함 2차년도 연구목표: FPRs family의 조절을 통한 efferocytosis 조절 및 관련 신호전달 경로 규명 ● 폐섬유화모델에서 efferocytosis 관련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해 FPR2가 발현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isotype인 FPR2와 lipoxin A4의 합성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양상도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함 ● FPRs agonist인 LXA4 처리시 efferocytosis를 통한 방사선폐섬유화의 제어 가능 함을 확인 함 ● Efferocytosis와 발현 증가된 FPRs 통하여 ROS, Rho-ROCK기전 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함 3차년도 연구목표: Efferocytosis 연관 FPRs family 조절을 통한 폐섬유화 조절 및 관련 기전규명 및 염증종결관련 타겟유전자들의 유효성 검증 ● FPRs의 조절을 통한 efferocytosis에 의한 폐섬유화 제어 변형을 확인 함 ● 상피세포 및 혈관세포에서 FPRs와 EMT 마커의 변화를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 함 ● 임상샘플을 통한 FPRs 염증종결 타겟의 유효성을 검증 함 - 방사선을 조사한 폐손상 부위에서 FPR2의 발현이 fibrosis marker인 alpha-SMA와 co-localization되는 것과 방사선 치료를 받은 폐암환자의 폐조직에서 치료 받은 주위조직에서의 FPR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 발생과 FPR2의 발현 양상이 연관이 있으리라 사료 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에서의 FPRs 연관 염증종결촉진을 통한 폐섬유화억제 연구결과는 새로운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반 기술의 확립으로 제품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난치성 질환의 치료개발의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 됨 ○ 염증종결촉진인자를 통한 폐섬유화기전을 밝힌다면 방사선폐섬유화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현 상황에서 염증종결촉진은 물론 관련 유전자조절을 통한 치료법도 제시할 수 있어 방사선폐손상 제어제 개발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임. ○ 방사선 관련연구의 관점에서도 방사선생명과학에 대한 국제논문이 SCI impact factor 가 높은 국내연구진에 의해 계속 발간되고 있고 국제학회에서도 인정받고 있어 현재 세계 6위에 있는 원자력분야의 위상에 맞는 방사선생명과학 분야의 과학 선진성 및 방사선의 평화적 이용의 국제적 경쟁력 확보가 가능함. 따라서 현재 세계적으로 연구가 시작단계인 폐섬유화 질환의 진단제 및 치료제 개발로 연결 가능함. ○ 본 연구를 통한 새로운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반기술의 확립으로 First-in-Class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약물이 전무한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 제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높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재호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간질성폐질환;방사선폐섬유화;포밀 펩타이드 수용체;염증종결;사멸세포 탐식촉진; 2. interstitial lung disease;radiation-induced pulmonary fibrosis;formyl peptide receptors;inflammation resolution;efferocytosis;
  • 11914

    2022.02.28

    □ 연구개요 ▶ 레이저-플라즈마 가속 연구에 사용될 20 TW/35 fs TI:sapphire 레이저 시스템의 temporal contrast ratio 향상. ▶ 레이저-플라즈마 가속에서 고출력 레이저 펄스가 진행하는 종방향으로 개스/플라즈마 밀도를 점점 더 높여 dephasing effect를 줄여 전자빔 에너지를 높일 수 있는 개스셀 설계, 제작 및 동작특성 연구. ▶ 개스셀에 수소나 헬륨 개스를 주입시키고 20 TW/35 fs Ti:sapphire 레이저 펄스를 개스셀 내부에 집속시킴으로써 레이저-플라즈마 가속에 의한 고에너지 전자빔 펄스 발생 및 진단. ▶ 고에너지 전자빔 펄스를 금속 포일을 통과시키면 THz 영역의 CTR 펄스가 발생하는데 CTR/THz 펄스 한 개로도 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개발. ▶ 레이저-플라즈마 가속으로부터의 고에너지 전자빔 펄스를 고체 포일을 통과시켜 THz 영역의 CTR 펄스를 발생시키고 그 특성을 실험 및 시뮬레이션으로 연구.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20 TW 레이저 성능 (temporal contrast ratio) 향상 연구 Spectral matching 방법을 최초로 고안하여 간단하면서도 temporal contrast ratio를 1/10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하였음. ▶ 전자빔 소스 개발 연구: 종방향 밀도 조절이 가능한 개스셀 개발 고출력 레이저 펄스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밀도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capillary 개스셀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동작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음. ▶ 고에너지 전자빔 펄스 발생 및 진단 14 TW 내외의 Ti:sapphire 시스템과 개발된 capillary 개스셀을 사용하여 100~230 MeV의 고에너지 전자빔 펄스를 발생시켰고 에너지, 에너지 분포, 전하량 등을 측정하였음. ▶ CTR/THz 펄스 single-shot 진단 방법 개발 Spectral-encoding 기반 방법을 사용하여 THz 영역의 CTR 펄스를 single-shot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완료 하였음. ▶ CTR 발생 및 특성 연구: 실험 및 시뮬레이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고출력 레이저 시스템의 부품 수급 문제가 발생하여 CTR 발생 실험은 연기되어 있으나 PIC (particle-in-cell)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CTR발생 및 그 특성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결과 얻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THz파는 과학기술이나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음. 레이저-플라즈마 가속 방법으로 발생시킨 CTR은 규모가 작으면서도 강력한 THz 소스가 될 수 있을 것이므로 THz 분광학을 통한 새로운 사이언스 연구나 THz 이미징 등을 통해 실용적 측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석희용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레이저-플라즈마 가속;테라헤르츠파; 2. laser-plasma acceleration;THz wave;coherent transition radiation (CTR);
  • 11913

    2022.02.28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1. 뇌졸중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compensation mechanism,과 recovery mechanism을 신경학적 그리고 운동학적 수준에서 명확하게 규명하고 2. 방사광을 기반으로 뇌졸중 동물모델의 근육조직을 3차원 모델링 및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여 이를 토대로 3. 뇌졸중 환자의 compensatory movement 감소시키고 recovery movement를 증가시키는 질적 향상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troke 모델링을 실시하고 뇌졸중 흰쥐모델을 대상으로 forelimb과 hindlimb의 행동학적 평가를 통하여 compensation movement를 분석하였다. 또한 뇌졸중 흰쥐모델의 histologic analysis를 통하여 흰쥐 brain의 motor cortex의 BDNF와 NGF의 발현양상 관찰하여 뇌졸중 흰쥐모델의 뇌조직 손상 및 회복과 이와 관련한 행동양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muscle tissue와 bone tissue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bone tissue 분석을 위하여 micro CT, Phase contrast X-ray microtomography를 활용하였으며 muscle tissue 분석을 위하여 Phase contrast X-ray microtomography를 활용하였다. 특히 하나하나의 muscle fiber의 내부구조를 Hard X-ray nanotomography를 활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 뇌졸중 환자의 보상적인 움직임을 감소시키고 질적 움직임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 활용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rigger FES 자극 & 거울치료 적용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치료 이후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증진을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질적 움직임 수준을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sk specific training 적용방법에 조사하였고 Task specific training이 뇌졸중 환자의 spasticity를 감소시키고 고유수용성 감각능력 증진시켜 뇌졸중 환자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보행과 일상생활 동작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에서 신경학적인 변화와 연관하여 움직임 손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추후 뇌손상으로 나타나는 운동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방사광을 활용한 생체조직의 미세구조 분석의 효용성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추후 동물조직의 내부 세부구조를 명확하게 관찰하는데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에 활용된 3차원적인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병리학적 메카니즘과 회복 메카니즘 연구의 고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적용 이후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잠재력을 향상시키고 기능 능력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상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통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뇌졸중;보상작용;근육;방사광가속기;질적 움직임; 2. stroke;compensation;muscle;synchrotron radiation;qualitative movement;
  • 11912

    2022.03.31

    Ⅳ. 실태조사 주요 결과 가. 2020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총 매출액은 22조2,436억원으로 전년도 20조7,317억원 대비 1조5,119억원 늘어 7.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 원자력발전사업체(17조1,303억원, 77.0%), 원자력공급산업체(4조573억원, 18.2%), 연구·공공기관(1조560억원, 4.7%) 나. 2020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총 투자액은 8조7,986억원으로 전년도(9조5,279억원) 대비 7,293억원 줄어 7.7% 감소 - 원자력발전사업체(7조6,767억원, 87.2), 원자력공급산업체(1,536억원, 1.7%), 연구·공공기관(9,683억원, 11.0%) 다. 2020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전체 인력은 35,276명으로 전년도(2019년 35,469명) 대비 193명이 줄어 0.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원자력발전사업체(12,788명, 36.3%), 원자력공급산업체(19,019명, 53.9%), 연구·공공 기관(3,469명, 9.8%) 라. 2021년 3월 기준 재학생 전체는 2,165명으로 전년도(2020년 2,190명) 대비 1.1%(25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마. 2020년도 국내 원자력 관련 대학별 원자력 관련 학과 배출인력은 총 597명으로 전년도 590명 대비 7명(1.2%)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바. 2020년도 원자력산업분야 해외 수출 현황은 12개국, 30건(전년대비 3건 증가)에 3,372만 달러(전년대비 1,228만 달러 증가)를 수출함 사. 2020년도 원자력산업분야 기술도입 현황은 58건(전년대비 16건 감소)에 71억원(전년대비 1,293억원 감소)으로 국내에서 도입한 기술은 34건, 국외로부터 도입한 기술은 24건으로 조사됨 - 도입국가 :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등 11개국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조현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발행년도 : 20220400
    • Keyword : 1. 원자력 동향;원자력 산업;원자력 인력;원자력 산업 규모;원자력 매출액;원자력 투자액;원자력 지역경제 기여도;제염·해체 현황;원자력 관련 대학; 2. Nuclear Industry Trends;Nuclear Industry;Nuclear Manpower;Nuclear Industry Revenue;Nuclear Industry Investment;Contribution of Nuclear Industry to Local Economy;Status of Decontamination and Decommisioning;Nuclear Engineering College/University;
  • 11911

    2022.03.31

    Ⅳ. 연구 결과 ○ 2021년 4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수행한 16단계 사업에서는 <원자력 e-뉴스레터>를 총 10회 발간하였으며, 정부, 위원회, 광역자치단체, 연구기관, 원자력 산업체, 시민단체, 대학교 및 언론사 등을 포함한 약 1.3만여 명의 구독자에게 발송하였음 ※ 1단계 사업(2006년 3회), 2단계 사업(2007년 7회), 3단계 사업(2008년 4회), 4단계 사업(2009년 5회), 5단계 사업(2010년 5회), 6단계 사업(2011년 4회), 7단계 사업(2012년 5회), 8단계 사업(2013년 5회), 9단계 사업(2014년 5회), 10단계 사업(2015년 5회), 11단계 사업(2016년 5회), 12단계 사업(2017년 5회), 13단계 사업(2018년 10회), 14단계 사업(2019년 10회), 15단계 사업(2020년 9회), 16단계 사업(2021년 10회) 등 지난 16년간 총 97회 <원자력 e-뉴스레터>를 발간함 〇 <원자력 e-뉴스레터>의 「정책포커스」 코너에서는 원자력 정책의 방향과 주요 내용을 비롯해 해외 원자력 정책 동향, 국가경제의 원동력이 되기 위한 원자력의 역할, 국민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원자력 소개 및 국민과의 신뢰를 쌓기 위한 소통 등 원자력 연구개발의 중요성과 의의를 소개함으로써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확보 〇 「이달의 Pick」은 국민들의 관심 주제인 암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 국산화 연구, 미세먼지 원산지 추적 기술, 미세 플라스틱 체내 흡수 경로 규명, 항암제 저항성 폐암 세포 원리 규명 등 국민들이 관심이 많고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중점으로 소개해 원자력이 국민의 복지와 삶을 향상시키는 기술임을 알림 ○ 「현장 속으로」 코너에서는 2021년 한국원자력연차대회, 2021년 원자력협의회 심포지엄, 제11회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 등 원자력 관련 주요 행사를 소개했음 〇 「Global Reports」에서는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원자력 선진국의 기술 및 IAEA 정책 동향과 원전 對 탈원전 이슈로 유럽을 양분 시킨 그랜플레이션과 차세대 원전으로 각광받고 있는 SMR을 다루며 국민들이 해외 동향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음 〇 「원자력 이야기」은 원자력 기초 지식과 원자력 연구 분야를 국민의 눈높이로 알기 쉽게 설명해 원자력계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원자력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음 〇 ‘일반국민용’ <원자력 e-뉴스레터> 코너인 「원자력 웹툰」과 「원자력 탐구생활」에서는 웹툰을 통해 원자력 연구개발을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시키고, 국민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원자력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관심을 제고함 〇 ‘일반국민용’ <원자력 e-뉴스레터> 신설 코너인 「원자력 톡」은 유튜브 연계 콘텐츠로, 원자력 연구개발 및 관련 유튜브 콘텐츠를 소개하며, 흥미 유발 가능한 내용의 유튜브 콘텐츠를 국민에게 쉽게 소개함 〇 ‘전문가용’ <원자력 e-뉴스레터>에 신설된 코너 「원자력리포트」는 국내외 원자력 정책 현안을 담은 콘텐츠로서, 원자력계 종사자에게 최신의 전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함 ○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결과, 주요사항으로 ‘<원자력 e-뉴스레터>가 원자력에 대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는데 도움이 된다.’ 는 항목 84.62점※ 달성하였음. 이는 지난 2020년 10월 실시한 고객만족도 조사의 주요사항으로 ‘뉴스레터 발간을 통한 이미지 개선’ 항목 80.43점을 달성한 것과 비교하여 4.19점 상승(5.2% 상승)한 것으로 본 사업을 통해 전년도 대비 일반국민과 전문가 집단을 구분하여 전략적 소통을 추진한 결과 원자력 인식 제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됨 ※ 리커트 척도를 반영한 것으로, 단계별로 100/80/60/40/20점으로 환산함 ○ 2021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참가하여 <원자력 e-뉴스레터> 콘텐츠를 소개하는 리플렛을 제작·배포하였고, 동시에 구독자 증대 이벤트를 현장에서 실시함. 리플렛은 1,000 부 정도 배포됐고, 구독자는 500여명 추가 확보하였음. ○ 온라인으로 <원자력 e-뉴스레터> 구독자 확대 이벤트를 실시하여, 3,000여 명의 구독자 추가 확보하였음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황순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400
    • Keyword : 1. 원자력;소통;뉴스레터;국민인식;이해증진;이슈 발굴;홍보; 2. Nuclear;Communication;newsletter;Public relations;Public Awareness;Public understanding;Public issue;Nuclear issue;
  • 11910

    2022.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최종목표 >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3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임상정보, 영상정보와 조직병리검사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치료반응 및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예후예측모델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성과 > ✓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약 6년간 본원에서 3기 비소세포폐암으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300명의 환자의 임상데이터와 치료 데이터 수집 ✓ 상기환자들의 영상데이터 수집. 영상데이터는 조영증강 흉부 CT와 PET/CT에서 종양 크기, 전이된 영역림프절, standardized uptake value(SUV)등의 데이터 수집 ✓ CT, PET 등의 영상검사의 DICOM 파일을 수집하여, 딥러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영상검사를 이용한 폐암의 예후를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 구축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3기 폐암에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예후예측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가 적합한 환자의 선별을 통해 환자 맞춤형치료의 임상근거 확립 및 표준지침 마련 ✓ 개발된 딥러닝 기반 예후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이를 외부 검증하기 위한 다기관 임상연구의 토대 마련 ✓ 향후 대규모 전향적 임상시험 설계의 기반 마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양권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21000
    • Keyword : 1. 비소세포폐암;동시항암화학방사선 치료;치료반응;생존율;예후예측모델; 2. non-small cell lung cancer;concurrent chemoradiotherapy;therapeutic reaction;survival rate;prognosis prediction model;
  • 11909

    2022.01.31

    본 보고서는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방재대책법」에서 정하는 의무사항의 충실한 이행과 원자력시설 방사능재난의 전주기 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및 기술개발의 결과를 기술하며, 실전적 방사선비상 계획 수립·운영, 방사능방재 실용화 기술연구,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실효성 향상과 이행, 방사능재난대응 시설·장비 구축과 가용성 확보, 방사능방재대책 기술지원 및 협력 성과를 포함한다. 본 과제의 결과로 산출되는 방사능재난 『대비-대응-복구』 각 단계의 대책은 국가, 지자체, 전문기관 등의 방사능방재대책 개발과 수립에 직접 활용되어, 국가의 위기관리 능력을 제고할 것이다. 내부적으로는 연구원의 방사선비상 대비 및 대응체계를 공고히 함으로써 방사능재난 전과정에서 자주방재역량을 강화하고 재난시 신속한 사고수습을 통해 인명, 환경, 재산 피해의 최소화에 기여할 것이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33p)
    • 연구책임자 : 김현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200
    • Keyword : 1. 원자력방재;방사선비상계획;방사능방재교육;방사능방재훈련;비상대응시설; 2. Nuclear Emergency Preparedness;Radiological Emergency Planning;Nuclear Emergency Training;Nuclear Emergency Education;Emergency Respons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