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39/1,246

검색
  • 12078

    2022.06.30

    연구개발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곡류기반 HMR 식품의 경험의존적 가공 기술을 Water Dynamics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수치화하고, 이를 토대로 저장 중 품질 저하 요인 및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곡류기반 HMR 식품의 품질 증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전체 내용 [1차년도] 곡류기반 HMR 식품의 품질저하 요인 및 기작 규명 - 저장기간 및 조건에 따른 수분이동 특성 분석 - 열처리 및 저장조건에 따른 호화도 분석 - 열처리 및 저장조건에 따른 물성/구조 분석 [2차년도] 곡류기반 HMR 식품의 저장 중 품질 증진 조건 확립 - HMR 식품의 저장 중 품질개선을 위한 공정 제어 - HMR 식품의 저장 중 품질개선을 위한 원료 제어 - 공정 및 원료 제어된 HMR 식품의 냉장 저장 중 핵심지표 분석 연구개발성과 [1차년도] 곡류기반 HMR 식품의 품질저하 요인 및 기작 규명 - Lab scale 규모의 쌀 LL 파스타 제조공정 확립 - 쌀 파스타의 관능 및 기계적 평가의 상관관계 제시 (R=0.9645) - 저장 조건 (상온, 냉장, 냉동) 및 저장기간에 따른 다각적인 품질변화 결과 제시 - 저장에 따른 HMR 쌀 LL 파스타의 품질변화 예상 메커니즘 제시 [2차년도] 곡류기반 HMR 식품의 저장 중 품질 증진 조건 확립 - 열처리 방법, 공정제어, 원료제어에 따른 쌀 LL 파스타 품질변화 결과 제시 - 쌀 LL 파스타의 저장중 핵심 품질지표 제시 (Tensile property)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경험의존적 가공 기술에 대한 학문적 기초자료 제공 ▻ 고품질의 HMR식품 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HMR 가공식품 시장 활성화에 기여 ▻ 국내 HMR제품의 품질개선을 통한 글로벌 품질경쟁력 강화 ▻ 곡류기반 소재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다른 분야로의 응용가능성 제시 ▻ 국외 SCI논문 투고 및 학술대회 발표 예정 ▻ 확립된 Lab scale 쌀 LL 파스타 제조공정을 이용한 후속연구 지속수행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성민
    • 주관연구기관 : 세종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700
    • Keyword : 1. 물역학;가정간편식;곡류기반식품;면;핵자기공명; 2. Water dynamics;Home meal replacement;Cereal-based foods;Noodle;Nuclear magnetic resonance;
  • 12077

    2022.05.31

    방사선 재난에 대한 대비를 위해 사회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모델개발이 필요하며, 지속적 평가·운영을 위한 방사선재난시스템 개발에 대한 타당성 분석이 필요함. 연차별 연구개발목표는 아래와 같으며, - 방사선 사고가 국가 인프라시설에 미치는 장기 영향과 이에 따른 국내외 방사선 방호 대응 체계의 취약성과 건강 영향의 종속성 분석 - 방사선 사고가 국가 인프라시설에 해 확산 분석 기술의 국내외 현황 분석 및 국내 적용 타당성 분석 - 방사선 사고에 의한 직간접적 건강 영향 자료 분석 및 수집, 정량적 분석을 위한 활용 가능성 분석 - 방사선 방호에 복원력 개념의 해석 방법 및 기법 도입 타당성 분석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은 성과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사회 기능·시스템 복원관점의 방사선사고 대응력 평가 체계 구축에 활용 가능 - 원자력 사고에 대한 보건학적 복원력 강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 기여 - 방사선 비상 대응시 방사선 방호 최적화 방안 도출에 활용 (출처 : 최종보고서 초록 4p)
    • 연구책임자 : 서경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방사선 사고;복원력;복잡계;비상 대응;정량 분석 기법;보건 자료;방사선 감시;사후피폭선량 평가; 2. Radioactive Accident;Resilience;Complexity System;Emergency Preparedness;Qualitative Analysis;Health Implications;Radiation Monitoring;Retrospective Dosimetry;
  • 12076

    2022.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현종
    • 주관연구기관 : 라온넥스텝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가동원전;안전성;예비타당성;다부처; 2. Nuclear Power Plant in Operation;Safety-enhancement;Preliminary Feasibility;Inter-ministerial;
  • 12075

    2022.11.30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 원자력발전소 잉여전력을 이용한 수소생산 전략 평가 • SMR 및 원자력발전소를 이용한 수소생산 전략 평가 전체 내용 • 세계 수소 경제 현황 조사 • UAE 에너지 및 수소 시장 전망 • UAE 원자력발전소를 이용한 수소생산 전략 분석 연구개발성과 세계 수소 시장 및 국가 정책 조사 수소 생산 방식 분석 및 청정수소 생산전략 분석 SMR을 포함한 원자력발전소를 이용한 수소생산방식 분석 및 수소 생산비용 평가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해 세계 수소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파악하고 청정수소 생산 방식에 대한 고찰과 원자력발전소를 이용한 청정수소 생산방식 분석을 통해 향후 UAE 및 대한 민국 수소 정책 수립 및 수소 시장 발전에 기여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용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청정수소;원자력발전소;수소 정책;그린수소;소형모듈원자로; 2. Clean hydrogen;Nuclear power plant;Hydrogen policy;Green hydrogen;Small modular reactor (SMR);
  • 12074

    2022.11.30

    4. 연구결과 가. 유전체 정보 확보 및 적응·진화 연구 (1) 개야길앞잡이 소기관 유전체 정보 확보 및 근연종과의 계통학적 연구 (2) 반날개상과의 딱지날개 및 복부 분비샘 진화 - Illumina와 PacBio를 통한 청딱지개미반날개의 전장유전체 염기서열 데이터 확보 (3) 서식지별 거머리 비교유전체 연구 - Illumina를 통한 시퀀스 분석으로 거머리류의 유전체 크기를 예측하고 서식처별 거머리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 (4) 새우류 유전체 분석을 통한 면역 관련 유전자 분석 - de novo DNA 시퀀싱과 RNAseq 등을 이용하여 도화새우의 간췌장 조직에서 발현하는 면역 유전자 분석 (5) 수염하늘소속의 재선충 매개 진화 연구 - 소나무재선충 비매개종인 수염하늘소의 염색체 수준의 표준유전체 제작 나.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관련 대상종 집단 분석 연구 (1) 열대거세미나방 유입·정착 가능성을 위한 집단분석 연구 - 열대거세미나방의 국내 유입 및 해외 개체군의 계통 분석 및 생태학적 고찰 (2) 비래곤충 된장잠자리 집단분석 연구 - 된장잠자리 국내외 개체군의 mtDNA COI 영역을 이용한 단상형 분석 - 집단분석을 위한 된장잠자리 특이적인 SSR 마커 개발 다.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분류 실체 규명 연구 (1) 갈색여치 은폐종 및 종 실체 규명 연구 - 국내 각지에 분포하는 갈색여치 개체군에서 mtDNA COI 분석으로 구분 가능한 은폐종 구명 (2) 유전 및 형태 분석을 통한 새뱅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 생물다양성 감소 관찰종이자 제주 고유종인 제주새뱅이 및 근연종 시료 확보 - COI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 분석과 형태적 비교 분석 진행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전미정
    • 주관연구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 12073

    2022.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Epstein-Barr virus 감염 위암에서 발암 기전에 관여하는 viral oncoprotein, viral microRNA, cellular oncoprotein, cellular microRNA 및 관련된 세포신호경로를 증명하고, 발암 관련 핵심 분자를 찾아내어, Epstein-Barr virus 감염 위암의 예방, 조기 진단 및 치료에 단서를 제공한다. ◼ 전체 내용 ① Epstein-Bar virus에 감염된 위암에서, 위암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viral gene를 찾아낸다. ② Epstein-Barr virus에 의한 발암 과정에서, 후보 (putative) viral oncogene으로서의 LMP2A 및 BARF1를 검증한다. 즉, LMP2A 및 BARF1 바이러스 유전자가, 위암 세포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밝힌다. ③ 바이러스 유전자에 의한 위암 세포의 변화와 관련된 신호경로들 특히, Nuclear factor-kappa B (NFkB) 경로,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PD1 경로를 조사하고, 이들 경로 간의 상관관계를 수립한다. ④ 세포 신호 경로에서 핵심 단백을 증명하고, 변화된 cellular microRNA 및 그 target 단백을 증명한다. ⑤ Epstein-Barr virus-encoded microRNA, 즉 miR-BARTs로 인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세포신호경로의 변화를 분석하여, 발암과정과의 연관을 검증한다. ⑥ Epstein-Barr virus양성 위암 조직에서, 발암 관련 핵심 분자를 제시하여, ‘Epstein-Barr virus 감염과 연관되어 발생된 위암’의 향후 조기 진단, 예방 및 치료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 연구개발성과 ① Epstein-Bar virus에 감염된 위암에서, 위암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viral gene를 찾아낸다. ② Epstein-Barr virus에 의한 발암 과정에서, 후보 (putative) viral oncogene으로서의 LMP2A 및 BARF1를 검증한다. 즉, LMP2A 및 BARF1 바이러스 유전자가, 위암 세포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밝힌다. ③ 바이러스 유전자에 의한 위암 세포의 변화와 관련된 신호경로들 특히, Nuclear factor-kappa B (NFkB) 경로,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PD1 경로를 조사하고, 이들 경로 간의 상관관계를 수립한다. ④ 세포 신호 경로에서 핵심 단백을 증명하고, 변화된 cellular microRNA 및 그 target 단백을 증명한다. ⑤ Epstein-Barr virus-encoded microRNA, 즉 miR-BARTs로 인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세포신호경로의 변화를 분석하여, 발암과정과의 연관을 검증한다. ⑥ Epstein-Barr virus양성 위암 조직에서, 발암 관련 핵심 분자를 제시하여, ‘Epstein-Barr virus 감염과 연관되어 발생된 위암’의 향후 조기 진단, 예방 및 치료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① 바이러스 발암 기전에 관련된 PD-L1을 비롯한 세포신호경로 단백 분석으로, 향후 위암종의 예방 및 진단법 또는 이를 목표로 한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기초 자료 제공, 특히 면역조직화학검사의 셋업으로 진단 및 예후 설정에 응용. ② LMP2A-transfected cell에서 증가된 PD-L1과, CD8 T cell의 co-culture가 진행 중인데, tumor microenvironment에서 LMP2A/NFATc2/pSTAT3/PD-L1과 CD8 T cell기능 연관된 연구를 진행 중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미수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600
    • Keyword : 1.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위암; 2. Epstein-Barr virus;gastric carcinoma;BARF1;miRBART5;LMP2A;
  • 12072

    2022.11.30

    □ 조사 목적 ㅇ 우리나라 원자력산업계의 원자력관련 매출·투자·인력 현황, 원자력 관련대학 전공인력 현황 및 취업 실태, 원자력산업계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조사표에 근거하여 실태 조사하고, 심층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의 원자력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통계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를 목적으로 함 □ 조사 범위 ㅇ 조사 대상 - 국내 원자력발전사업자,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 원자력관련대학 ㅇ 조사 대상기간 - 원자력시장 규모(매출, 투자액, 수출실적 등) : 2021년 1월 ~ 2021년 12월 - 원자력산업체 기술인력 : 2021년 12월 - 원자력관련 대학 재학생 현황 : 2022년 3월 - 원자력관련 대학 졸업생 현황 : (2021년) 2020년 8월, 2021년 2월 졸업생, (2022년) 2021년 8월, 2022년 2월 졸업생 □ 조사 및 분석 방법 ㅇ 매출, 투자, 인력 등 조사항목별 기재 할 수 있는 조사표를 조사대상 기관과 관련 업체 및 관련대학에 메일, 팩스 등을 통해 송부하여 기초자료 수집 ㅇ 상장기업 공시 웹사이트(공인 정보) 및 주요기관 관련업무 자료 등 객관적 자료 수집 ㅇ 주요 기관 담당자 직접 면담을 통한 통계자료 수집 및 조사된 데이터 검증 ㅇ 분야별 전문가 자문 및 온・오프라인 관련자료 수집을 통한 관련 산업계 주요 동향 조사 (출처: 요약서 9p)
    • 연구책임자 : 조현갑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 12071

    2022.08.31

    □ 연구개요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romatosus; SLE), 쇼그렌증후군과 같은 전신적 자가면역질환은 자가관용(self-tolerance)의 와해로 항핵항체(anti-nuclear antibody)와 같은 자가항체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혈관벽 및 장기조직에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것이 핵심과정임. 하지만, 자가항체 분비 B 세포의 발생 및 작용기전에 대한 원리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표적치료가 어려운 난치성 질환임. 본 연구과제의 최종 목표는 체액성 자가면역질환의 발병기전을 밝히기 위해, 자가반응적 B 세포에서 Bach2 전사억제인자가 지방대사 재편성(lipid metabolism reprogramming)을 통해 MZB 세포의 분화와 기능을 조절하는지를 밝히는 것임.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 목표 대비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함. • Bach2 KO 생쥐에서 비장 내 B세포 아형별 (FOB, MZB, T1B) 빈도와 표현형을 분석한 결과, FOB 대비 MZB 세포의 비율이 증가함. • Bach2 KO 생쥐에서 B세포 아형별로 세포를 순수분리한후 TLR 자극에 따른 전체 IgM/IgG, anti-dsDNA igM/IgG 항체 분비 양상을 조사하여 B 세포 아형별 항체 분비 양상을 비교분석함. • Bach2 KO B세포에서 지방대사 경로 유전자군 활성이 증폭하였고,, CD36 발현의 증가, 세포내 긴사슬 지방 함량 증가, oxLDL 섭취 증가, 산소호흡(OCR), 지방산 산화 증가가 관찰됨. • 세포를 mitotracker green, mitotracker deep red, mitosox로 염색하여 미토콘드리아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Bach2 KO B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밝힘. • in vitro에서,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etomoxir를 처리하면, Bach2 KO B 세포의 자가항체 생성능이 감소하여 지방산 산화가 자가항체 생성에 중요함을 밝힘. • Bach2 KO B 세포에서 BAFF 수용체 발현이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BAFF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되어 있음을 밝힘. • Bach2 KO 생쥐에서 일어난 현상이 B 세포 내 Bach2 기능에 의한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CD19-cre 마우스와 Bach2-flox 마우스를 교배하여 B 세포 내재적 Bach2 결핍 생쥐 모델을 제작함. • 이 모델에서 B 세포 아형별 분화 양상을 조사하여, 복강과 비장 내 B1 세포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밝힘. 이 모델 생쥐의 혈청에서 자연 항체인 IgM 분비가 감소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세포 분화에 필요한 지방대사의 수요와 조절과정에 대한 면역학적 원리를 밝혀 체액면역학 분야 발전에 일조함. - 적용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자가면역질환 및 대사성질환에서 B 세포의 발생과 기능을 조절하는 핵심인자를 밝힘에 의해, 이런 질환에 대한 면역요법을 개발하는데 원천지식을 제공할 것임. 특히 - 자가면역질환이 심혈관계 대사성질환을 동반할 때 치사율이 급증하므로, 본 연구결과는 의료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됨. - 자가면역질환에서 Bach2 역할을 제시하리라 예상되므로 transitional B 세포 단계 특이적으로 Bach2가 결핍된 floxed Bach2/CD23-Cre cKO 생쥐를 이용한 후속연구에 활용될 것임. - 자가면역질환 이외에도 지방대사가 중요한 대사성질환의 병리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 - 연구개발성과 제작된 B 세포 단계 특이적으로 Bach2가 결핍된 floxed Bach2/CD19-Cre cKO 생쥐를 활용하여 대사성 질환에서 B 세포 특이적 Bach2 결핍의 역할을 밝히는 후속연구에 활용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윤지희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900
    • Keyword : 1. 전사억제인자 Bach2;가장자리구역 B세포;자가항체;지방대사; 2. transcriptions repressor Bach2;marginal zone B;autoantibody;lipid metabolism;
  • 12070

    2022.08.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핵라민 유전자 변이에 의한 조기 노화의 발생 원인을 분자적인 수준으로 이해 ◼ 전체 내용 조기노화의 공통적인 분자기전을 통해 일반노화를 억제하는 천연물 저해제 개발 ◼ 1단계 ❏ 목표 핵 모양의 변형을 야기하는 조기노화 관련 돌연변이 선별 ❏ 내용 S143F 돌연변이와 프로제린 돌연변이 단백질 선별과 구조분석 ◼ 2단계 ❏ 목표 핵라민 돌연변이 단백질의 구조 규명 ❏ 내용 조기노화를 유발하는 프로제린 복합체 구조규명을 통한 발병기전 도출 □ 연구개발성과 라민 유전자 변이에 의한 조기노화의 발병기전을 도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돌연변이 단백질에 의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결합을 억제하는 인공단백질 치료제 개발을 통한 치료제 개발 가능성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안진숙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900
    • Keyword : 1. 핵라민;중간세사;프로제린;조기노화;조로증; 2. nuclear lamin;intermediate filament;progerin;premature aging;HGPS;
  • 12069

    2022.02.28

    □ 연구개요 1) 최종 목표: 본 연구는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심장의 구획 자동화 알고리즘과 심장 세부 구조 별 방사선 견딤 선량 지표를 개발하여 환자 개인 별 심장 보호 맞춤형 방사선 치료가 가능케 하고자 함. 2) 세부 연구 목표 ➢ 1차 세부 목표: 심장 세부 구조와 유방암 방사선 치료시 필요한 정상장기에 대한 매뉴얼 구획화 (manual contouring)한 레이블링 데이터 확보 ➢ 2차 세부 목표: 유방암 방사선 치료에 필요한 영상 자동 분할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개발 ➢ 3차 세부 목표: 심장 세부 구조를 포함한 정상장기 별 방사선 견딤 선량 지표 개발. 3) 연구 내용 ➢ 유방암 방사선 치료 후 심장병 발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구축 ➢ 유방암 방사선 치료 관련 심장 세부구조 자동 구역화 인공지능 개발 및 타당성 유효성 검증 ➢ 심장 구조의 방사선 선량-3차원 체적 정보를 이용한 방사선 심장병 유발 선량 및 예측 모델 개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최종 목표: 목표하였던 연구 내용을 100% 달성하였음. 2) 세부 연구결과 ➢ 레이블링 데이터 구축: 유방암 환자 >1000명의 진단, 치료, 심장독성 데이터 확보하였고, 심장내과 전문의와의 협력체 구성을 통한 데이터 관리 질향상 및 관리 하였음, >200 명의 방사선치료계획용 CT에 심장세부구조를 포함한 20개이상의 정상구조를 레이블링 작업을 진행하여 학습/검증 데이터 확보하였음. ➢ 인공지능 모듈 개발: 구축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U-Net with Efficient Net를 통해 자동분할모듈을 개발하였음. 성능의 타당성 및 일관성, 범용성을 다각도로 검증하기 위하여 dosimetric 연구, 설문지 연구, 일치도 평가 연구 (Dice, Hausdorff 등), 다기관 전문가 집단 비교 연구를 통해 성능을 확인하였음. ➢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개발한 자동분할기능을 이용하여 심장독성을 비롯한 방사선 치료 독성 예측 모듈 개발을 진행하였음 (예: Acute coronary event, 갑상선기능저하 등).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 1) 유방암 방사선 치료 계획에 사용되는 영상 분할에 활용하고 있음. 2) 다기관 연구의 치료 질 관리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임상연구를 진행 중. 3) 국가 의료 질 향상 정책 및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음. 4) 심장독성을 비롯한 방사선 치료 독성을 예측하는 영상 분할 작업에 활용하고 있음. 기대 효과 1) 기술적 효과 ➢ 유방암 뿐 아니라 두경부암, 폐암, 직장암, 간암 등 타 장기의 방사선 치료용 자동 영상 분할 기법에 활용되어 방사선 치료의 치료 기술 향상 ➢ 방사선 치료 부작용을 치료 계획시에 예측하여 부작용을 줄이는 환자 맞춤 정밀 설계가 가능케 함. ➢ 방사선 치료 뿐 아니라 영상자료를 활용한 다른 치료 기술에 활용될 수 있음. ➢ 환자 및 학생 교육 자료에 활용 될 수 있음. 2) 사회적 효과 ➢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유방암 환자의 치료시 부작용 감소를 통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 ➢ 환자/ 학생 설명 자료에 활용되어 의학적 영상 자료의 이해도 증가. 3) 경제적 효과 ➢ 방사선 치료 계획에 필요한 의료진, 인력의 시간 및 인건비를 절약하여 병원 및 국가 의료 재정을 절감하고 더 많은 환자에게 양질의 치료를 제공. ➢ 영상 데이터 활용을 통한 지속 가능한 의료사업의 경쟁력 기반 확보.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지석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유방암;방사선치료;심장독성;영상분할;인공지능; 2. breast cancer;radiotherapy;cardiac toxicity;Image segmentation;Deep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