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35/1,239

검색
  • 12042

    2022.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용선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비번역RNA;작은 핵RNA;스플라이싱;암; 2. nc886;noncoding RNA;small nuclear RNA;splicing;cancer;
  • 12041

    2022.02.28

    연구개요 고선량 방사선 피폭 환자 치료에서 나타나는 초기 생리적 변화는 피폭 손상 조직내 염증 사이토카인 증가로 전신염증반응증후군이 발생하며, 이것은 조혈계, 위장관계, 신경혈관계 등의 기능 상실로 나타남. 골수유래면역억제세포 (MDSC)는 면역 항상성을 무너뜨려 질환의 확산과 악성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MDSC에 대해 아직까지 방사선 피폭 손상 조직 염증 반응에서의 기능 및 영향 연구가 진행된 바 없으나, 인체 생리 반응 전체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피폭 상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분명함. 따라서, 방사선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반응의 효과적인 치료기술 개발을 위해 피폭손상 조직 MDSC의 방사선 반응을 평가하고, 그 기능을 조절하는 생리적 인자를 규명하여 제어하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 : 피폭 마우스 골수유래면역억제세포 및 면역세포 방사선 반응성 평가 - 피폭 마우스의 조직 병리학적 분석을 통한 방사선 반응성 평가 - 세포 표지 마커를 이용한 피폭 마우스 골수 구성 세포 분석 - 방사선 피폭 골수 유래 염증 사이토카인 (cytokine) 분석 - 피폭 민감 장기 (장, 비장) 염증 반응에서의 MDSC 분포 변화 측정 - 피폭 민감 장기에서 MDSC 하위 표현형 (PMN-MDSC, M-MDSC) 분석 • 2차년 : 피폭 손상 조직 MDSC의 방사선 신호전달경로 분석 및 염증 유도 인자 분석 - MDSC 활성에 의한 피폭 손상 조직 면역세포 (cytotoxic T세포, helper T세포, 조절 T세포, NK세포) 기능 분석 - 피폭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 (ROS, RNS) 반응 분석 - MDSC 하위 표현형별 면역 조절 인자 (arginase, NO, PGE2, TGFβ) 분석 - 분리 MDSC와 T 세포의 in vitro co-culture를 통한 기능 억제 확인 • 3차년 : MDSC 활성 제어를 통한 피폭 마우스 염증 억제 in vivo 반응 평가 - 단클론 Gr1 항체 (Anti-Gr1) 이용 MDSC 제어 방사선 염증 표현형 분석 - 피폭 마우스 면역 인자 분석에 의한 MDSC 특이적 염증 억제 반응 in vivo 검증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원자력 사고, 방사능 테러 등으로 피폭 사고의 잠재적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피폭치료기술 개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매우 높으나 피폭 증상을 직접 목표하는 치료기술은 없는 실정임 ◦ MDSC는 면역 불균형을 초래하는 감염 질환 (폐렴, 패혈증, 후천성면역결핍증)과 자가면역질환에서도 악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방사선 반응 MDSC연구 결과는 이러한 질환 치료에도 활용 가능함 ◦ 현재 의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지 않은 MDSC를 억제하기 위한 표적 저해제를 제시함으로써 급성 및 만성 염증 반응을 줄여줄 치료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임 ◦ MDSC를 활용한 방사선 염증반응 제어 원천지식 연구는 피폭환자치료기술 이외에도 염증을 매개로 한 다양한 질환 치료 기술 개발에 확대 적용 가능함 ◦ 종양세포 면역회피를 유도함으로써 암의 확산 및 전이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MDSC 역할과 접목한다면 방사선 종양 치료에도 그 잠재적 활용도가 매우 높은 연구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아름누리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골수유래면역억제세포;방사선;염증; 2.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irradiation;inflammation;
  • 12040

    2022.11.30

    IV. 운영결과 원내에서 사용중인 모든 밀봉선원은 건전성 확인을 위해 누설점검을 매년 1회 실시 하였고, 방사선발생장치는 각 연구팀에 방사선안전관리 담당자를 두어 관리 하였다. 501명의 내부 직원 및 92명의 외부 직원에 대한 개인피폭선량을 측정하고, 방사선 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 전원에 대한 건강진단 및 방사선안전교육을 수행하였다. 2022년 기본교육 대상자는 방사선작업종사자 409명이었고, 직장교육 대상자는 방사선작업종사자 477명 및 관계종사자 70명이었다. 또한 방사선안전관리구역에 출입하는 모든 인원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를 수행하였다. 5개의 방사선 사용 및 생산시설에 대한 공간선량률, 2개의 RI생산시설에 대한 표면오염도, 2개의 RI 사용시설에 대한 표면오염도, 2개의 파전용 저류조에 보관된 폐수의 방사능, 1개의 RI 생산시설 및 2개의 RI 사용시설의 실내 공기중 방사성물질의 농도 및 배기중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지점은 총 169개 지점이다. 이와 같은 구역관리를 위해 방사선안전관리팀에서 관리중인 방사선측정기 39개에 대한 교정을 완료했고, 각 연구팀에서 사용하는 방사선측정기 230개에 대한 교정을 지원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에 대한 월말보고,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발생장치 사용에 대한 분기보고를 모두 완료하였고, 개인피폭선량평가결과에 대한 보고, 방사선작업 종사자 교육에 대한 보고,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보고를 완료 하였다. 원자력 안전법에 따라 2022년부터 진행되던 1건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변경허가를 완료하였고, 방사성동위원소 양도양수신고를 1건 완료하였다. 방사선 발생장치 사용 변경허가 1건과 추가적인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변경허가 1건을 완료하였다. 2021년 부터 준비하고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생산변경허가를 위한 보고서 2건을 작성하였다. 방사선안전관리 수행 결과를 1건의 SCI(E) 논문과 1건의 해외 학술대회 발표 및 6건의 국내 학술대회 발표로 공유하였다. 또한 해외 학술대회 발표 중 확보한 일본 원자력학회에서 발간한 방사선차폐 Handbook의 일부를 번역하였다.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김상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1200
    • Keyword : 1. 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선작업구역;방사선피폭;방사선안전관리;방사성물질;방사성폐기물;최적화; 2. Radiation worker;Radiation control area;Radiation exposure;Radiation safety and control;Radioactive materials;Radio waste;ALARA;
  • 12039

    2021.12.31

    Ⅱ.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사업의 목적은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작업자 및 공공의 방사선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방사선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환경 및 공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 및 공공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국가의 방사선방어에 관한 법과 규제에 따라 이 사업은 본 원의 방사선안전관리에 관련된 의무적 요건이다. 방사선 사용시설 종사자, 환자 및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기관의 방사선 안전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당 사업은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원자력안전법의 규정에 근거한 기관의 방사선 사용시설,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안전성 확보 및 방사선안전관리 운영체계 확립 - 방사선작업종사자 개인피폭선량 측정 - 방사성동위원소 보안관리 - 방사선작업환경의 방사선 모니터링 - 배기, 배수설비를 통한 방사성 배출물의 방사능 감시 - RI 치료병실 배수배관 방사선량률 감시 - 방사성폐기물관리 - 방사선 사고관리 - 작업종사자 교육훈련계획 수립 및 이행 - 방사선사용에 관한 인, 허가 및 보고 관리 - 방사선발생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등에 관한 정기검사 Ⅳ. 연구개발결과 1. 방사선사용 시설의 외부 방사선량률, 방사성물질에 의한 표면오염도를 주기적 또는 필요시 상시적으로 측정하여 작업 환경의 방사성 준위를 법적 기준치 이하로 낮게 유지․관리함으로써 방사선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2.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평균유효선량은 핵의학과를 제외하고 기록준위 이하를 기록하였고 가장 많은 피폭선량이 발생한 핵의학과 방사선작업종사자의 1~3분기 집단선량은 5.02 man-mSv 수준이었다. 3. 대한산업보건협회 및 원내에서 작업자들의 건강검진을 실시하였으며 몇몇의 재검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이었다. 4. 작업자의 안전교육은 기본교육 및 직장교육으로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5. 혈액조사기 및 코발트조사시설에 방사성동위원소 보안관리 시설을 운영하여 도난 및 방사선테러를 방지하였다. 6. 액체 방사성폐기물의 방사능 농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환경에 배출하였다. 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정기검사는 면제 받았다. Ⅴ.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1. 방사선 감시 시스템 구축과 방사선안전관리 장비의 개선 및 방사선안전관리 측정 장비 확보를 점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방사선안전관리 실무향상에 기여한다. 2. 본 사업을 통해 얻은 결과물들은 본 기관 방사선 사용시설의 안전성 보증, 방사선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인식 전환 및 국가 의료 방사선안전관리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방사선안전 홍보를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3. 방사선 측정 데이터 확보 및 방사선 정보 관리체계의 근거로 활용가능하다. 4. 방사선방호시스템 확립을 통한 방사선방호 비용 절감 5.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의 심리적 안정 도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정기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방사선안전관리;방사선장해방어;종사자;피폭선량;교육;방사성동위원소보안관리;정기검사;방사선사고;건강진단;방사선작업종사자;방사성폐기물; 2. Radiation safety and management;Radiation workers;Radiation dose;education;Radioisotope security system;Regular investigation once a year;Radiation accident;Solid radioactive wasteProtection of radiation effects;R.I security system;Regular investigation;Radiation waste;
  • 12038

    2022.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의 EMP(Electromagnetic Pulse) 취약성 평가 검증을 통한 EMP 방호 규제 체계 구축 - 원자력시설 EMP 방호 관련 법령 개정안 및 EMP 방호 대상식별 검증 방법론 개발 - 원전 EMP 취약성 평가 검증 방법론 개발 - 한수원 HEMP(High-altitude EMP)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통한 원전 대표노형별 HEMP 취약성 평가 결과 검증 ○ 전체 내용 ○ 1차년도: 원자력시설 EMP 방호 규제 기반 구축 - 원자력시설의 EMP 위협 정의 - 원자력시설의 EMP 방호를 위한 법령 및 고시 개정안 개발 - 원자력시설의 EMP 방호 규제 기준 개정 - EMP 방호 대상 원자력시설 및 기기 식별 검증 방법론 개발 ○ 2차년도: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지점 식별 - 원전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검증 절차 개발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방호 대상 기기 식별 및 구역별 방호 현황 조사 - 원전 대표노형별 HEMP 취약성 평가를 위한 취약지점 선정 ○ 3차년도: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결과검증 -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방법론 조사 및 분석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시험 수행 - 원전 대표노형별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결과에 대한 검증 ○ 4차년도: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결과 검증 - 전도성 HEMP 취약성 평가 방법론 조사 및 분석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전도성 HEMP 취약성 평가 수행 - HEMP 방호 대상 기기의 HEMP 내성 평가 수행 - 원전 대표노형별 HEMP 취약성 평가 결과에 대한 검증 ○ 1단계 □ 목표 ○ 원자력시설의 EMP(Electromagnetic Pulse) 취약성 평가 검증을 통한 EMP 방호 규제 체계 구축 - 원자력시설 EMP 방호 관련 법령 개정안 및 EMP 방호 대상식별 검증 방법론 개발 - 원전 EMP 취약성 평가 검증 방법론 개발 - 한수원 HEMP(High-altitude EMP)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통한 원전 대표노형별 HEMP 취약성 평가 결과 검증 □ 내용 ○ 1차년도: 원자력시설 EMP 방호 규제 기반 구축 - 원자력시설의 EMP 위협 정의 - 원자력시설의 EMP 방호를 위한 법령 및 고시 개정안 개발 - 원자력시설의 EMP 방호 규제 기준 개정 - EMP 방호 대상 원자력시설 및 기기 식별 검증 방법론 개발 ○ 2차년도: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지점 식별 - 원전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검증 절차 개발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방호 대상 기기 식별 및 구역별 방호 현황 조사 - 원전 대표노형별 HEMP 취약성 평가를 위한 취약지점 선정 ○ 3차년도: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결과검증 -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방법론 조사 및 분석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시험 수행 - 원전 대표노형별 복사성 HEMP 취약성 평가 결과에 대한 검증 ○ 4차년도: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결과 검증 - 전도성 HEMP 취약성 평가 방법론 조사 및 분석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전도성 HEMP 취약성 평가 수행 - HEMP 방호 대상 기기의 HEMP 내성 평가 수행 - 원전 대표노형별 HEMP 취약성 평가 결과에 대한 검증 □ 연구개발성과 ○ EMP 방호 관련 방사능방재법령 및 고시 개정안 개발 및 EMP 방호 기준 개정 ○ EMP 방호 대상 원자력시설 및 기기 식별 검증 절차 개발 ○ 원전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검증 절차 개발 ○ 한수원 HEMP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 평가 ○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결과 검증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방안) EMP 관련 규제기준 수립을 통해 원자력시설 EMP 방호 규제 체계를 확립하고, HEMP 방호 대상 식별 검증 방법론 및 HEMP 취약성 평가 검증 방법론 개발을 통해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결과를 검증할 수 있음 ○ (기대효과) 원전 대표노형에 대한 HEMP 취약성 평가 결과 검증을 통해 HEMP 방호규제 체계를 구축하여 HEMP 위협으로부터 국가 산업 및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송동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400
    • Keyword : 1. 고출력 전자기파;취약성 평가;원전;검증;규제; 2. Electromagnetic Pulse;Vulnerability Assessment;Nuclear Power Plant;Verification;Regulation;
  • 12037

    2021.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화합물반도체 검출기인 CZT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감마선 및 중성자 방출선원의 탐지가 가능하고, 감마선과 중성자의 동시계측이 가능한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개발 ○ 전체 내용 ○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방사선 측정기 제품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연구현황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방사선 검출기 기술동향 조사 및 분석 ○ 중성자 검출 및 감마선 핵종분석용 CZT 검출모듈 설계 및 제작 - CZT 기반 방사선 검출모듈 설계 및 제작 • CZT 기반 방사선 검출모듈(CZT 검출기+MCA) 설계 및 제작 - 중성자 및 감마선 검출용 CZT 검출모듈 구성 및 배열 • 열중성자 및 감마선 검출용 : CZT 검출모듈(CZT #1) • 속중성자 검출용 : PE 감속재 + CZT 검출모듈(CZT #2) - CZT 검출모듈 전기 및 방사선 응답 시험 ○ 통합신호처리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중성자 및 감마선 동시측정 시스템 설계 - 신호처리부 제어기판(회로도, PCB) 설계 및 제작 • 핵종분석 및 중성자 검출용 센서 및 제어부 설계 • 고전압 및 Bias 전압 발생부 및 필터부 설계 및 제작 ○ 중성자 검출 및 감마선 핵종분석 알고리즘 개발 - 중성자 검출 알고리즘 개발 • 중성자/CZT 검출기 반응 2차 감마선 스펙트럼 및 배경 처리 ✔ 0 ~ 3 MeV의 감마선을 1,024 채널로 계측(2.93 keV/채널) ✔ 대상 선원 실측값에서 배경 방사선을 제외한 참값 산출 • 에너지 스펙트럼 내 첨두 검색 및 자료 처리(Peak Search and Fitting) ✔ 스펙트럼 내 특정채널과 주변채널(5개) 평균값 비교 ✔ 특정채널과 주변채널 평균값 차이의 백분율 산출 ✔ 차이 백분율에 대한 가중치 적용 및 제곱 (특성감마선 vs. 무의미한 채널과의 대비 효과 제공) • 중성자 에너지 준위 판별 ✔ 측정 대상 핵종으로부터 2개 검출기(CZT #1, #2)로 동시 계측 후, 2개 계측값 간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속중성자와 열중성자 선별 구분 - 감마선 핵종분석 알고리즘 개발 • 감마선원의 1차 감마선 스펙트럼 및 배경 처리 ✔ 0 ~ 3 MeV의 감마선을 1,024 채널로 계측(2.93 keV/채널) ✔ 대상 선원 실측값에서 배경 방사선을 제외한 참값 산출 • 에너지 스펙트럼 내 첨두 검색 및 자료처리(Peak Search and Fitting) ✔ 스펙트럼 내 특정채널과 주변채널(7개) 평균값 비교 ✔ 특정채널과 주변채널 평균값 차이의 백분율 산출 ✔ 차이 백분율에 대한 가중치 적용 및 제곱 (특성감마선 vs. 무의미한 채널과의 대비 효과 제공) • 감마선 핵종분석 ✔ 감마선 방출 핵종별 특성감마선 라이브러리(예, 137Cs: 662 keV, 60Co: 1175, 1333 keV) 자료와 측정결과 비교 및 핵종 판별 ○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시작품 개발 및 시험 -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시작품 제작 - 핵종분석 및 Peak 검출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 연동 태블릿 PC 내 설치 및 운영) -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시작품 시험 및 성능평가 • HPGe 정밀측정 장치와의 자체 비교 시험 • KOLAS 인증기관(KRISS) 공인 성능평가 시험 □ 연구개발성과 ○ 중성자 검출 및 감마선 핵종분석용 CZT 검출모듈 설계 및 제작 - CZT 기반 방사선 검출모듈(2대의 CZT 검출기) 설계 및 제작 • 열중성자 및 감마선 검출용 : CZT 검출모듈(CZT #1) • 속중성자 검출용 : PE 감속재 + CZT 검출모듈(CZT #2) ○ 통합신호처리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중성자 및 감마선 동시측정 시스템 설계 - 신호처리부 제어기판(회로도, PCB) 설계 및 제작 • 핵종분석 및 중성자 검출용 센서 및 제어부 설계 • 고전압 및 Bias 전압 발생부 및 필터부 설계 및 제작 ○ 중성자 검출 및 감마선 핵종분석 알고리즘 개발 - 중성자 검출 알고리즘 개발 • 중성자/CZT 검출기 반응 2차 감마선 스펙트럼 및 배경 처리 • 에너지 스펙트럼 내 첨두 검색 및 자료 처리(Peak Search and Fitting) • 중성자 에너지 준위 판별 - 감마선 핵종분석 알고리즘 개발 • 감마선원의 1차 감마선 스펙트럼 및 배경 처리 • 에너지 스펙트럼 내 첨두 검색 및 자료 처리(Peak Search and Fitting) • 감마선 핵종분석 ○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시작품 개발 및 시험 -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시작품 제작 - 핵종분석 및 Peak 검출 프로그램 제작(시스템 연동 태블릿 PC 내 설치 및 운영) -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 시작품 시험 및 성능평가 • HPGe 정밀측정 장치와의 자체 비교 시험 • KOLAS 인증기관(KRISS) 공인 성능평가 시험 ○ 연구성과물 - 국내논문 : 1건 등재 및 1건 신청/진행 중 • 2020 방사선기술과학(KCI 등재) 제43권 제6호 등재 • 2021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SCOPUS, NDSL, KCI, KSCI, ESCI 등재)신청(2021.12.15.) 및 진행 중) - 국내학술발표 : 2건(2020 KRS 춘계학술대회, 2021 한국분석과학회 추계학술대회) - 국내특허등록 : 1건(10-2274785, 2021.07.02.) - 국내특허출원 : 1건(10-2021-0176621, 2021.12.10) - 프로그램등록 : 2건(C-2020-046038-2/2020.11.27., C-2021-059116/2021.12.29)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비핵화 검증 시 국가차원의 위성/영상을 통해 원격으로 핵활동이 탐지되면 본 휴대용 핵종분석 장치를 통한 현장 검증에 활용 가능하며, 실용화 단계에서는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위성/영상에 의한 원격 핵탐지 및 비핵화 현장 검증뿐만 아니라 통합관리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관리에 활용 가능 ○ 또한 국민안전과 직결되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핵물질 취급시설에서의 대규모 방사능 누출 사고와 같은 국가 재난상황 시 중성자 및 감마선 등으로 부터의 2차적인 방사선 피해 최소화 및 사고 수습을 위한 신속한 방사선 탐지와 방출선원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철저한 현장 조사에 활용 가능 ○ 원자력발전소 또는 핵물질 취급시설 등의 작업환경 내 안전관리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다양한 목적의 방사선 계측기 계발 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핵종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신속한 방사선 탐지와 방출선원 정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므로, 원자력 및 방사선 이용에 대한 안전 증진으로 국민적 이해와 신뢰 향상에 기여 가능 ○ 연구개발 장치의 핵심은 방사능 분석과 감마선·중성자 측정일체형 계측기이며, 정량화 설계 기법을 적용한 소형화된 IEC 60846 / 61525 규격에 충족하는 장치로서 국내 표준모델로 활용 가능 ○ 방사선(능) 분석/계측기 활용분야는 비핵화 검증 및 핵물질 감시, 원자력발전소 및 기타 원자력/방사능 이용 기관에서의 사고 및 안전 관리 그리고 보안검색산업 등으로 다양하며, 이러한 방사선 이용 및 활용 시 사용되는 중성자 검출이 가능한 방사선계측기의 국산화가 가능하며, 국내 반도체검출기 적용 방사능 분석 및 방사선계측기 제조분야의 기초데이터를 확보하여 계측기 분야 기술개발에 활용 가능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홍용호
    • 주관연구기관 : 엔이티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CZT 검출기;방사선 계측;핵종분석;중성자;감마선; 2. CZT (Cadmium Zinc Telluride);Radiation Measurement;Nuclide Analysis;Neutron;Gamma-ray;
  • 12036

    2021.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국내 원자력 활동 분석을 위한 통제지침 및 원자력 정보 분석‧관리 시스템 개발 ○ 전체 내용 ▪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민감분야(농축, 재처리, 형상변환 등) 조사·분석을 통한 통제지침 개발 ▪ 핵주기 관련 공개자료 및 연구개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개발 ▪ 원자력 산업체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개발 ▪ 우려거래자 정보 수집 시스템 개발 및 NEPS 연계(추가성과) ○ 1차년도 □ 목표 ▪ 국내 주요 원자력 기술 및 핵무기 관련 기술 조사‧분석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 구축 기반 마련 □ 내용 ▪ 국내 주요 원자력 기술 및 핵무기 관련 기술 조사‧분석 - VHTR, SFR 등 차세대 원전 관련 품목 및 기술 조사·분석 - 농축, 재처리, 핵무기 등 민감 분야 관련 품목 조사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 구축기반 마련 - 국내외 오픈 소스(논문, 신문, 웹 등) 등 핵주기 관련 공개정보 수집 및 특성 분석 - 핵주기 관련성 판단을 위한 핵심 기준 수립 - 공개자료 수집‧분석 시스템 개념 설계 및 시스템 구축기반 마련 ○ 2차년도 □ 목표 ▪ 주요 원자력 기술 관련 통제품목 선정 및 데이터베이스화 ▪ 원자력 기술별 전략물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수집‧분석을 위한 전산체계 구축 □ 내용 ▪ 주요 원자력 기술 관련 통제품목 선정 및 데이터베이스화 - 주요 원자력 기술 분석 결과와 통제품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통제품목 선정 ▪ 원자력 기술별 전략물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 주요 원자력 기술에 대한 통제품목과 원자력산업 정보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수집‧분석을 위한 전산체계 구축 - 핵주기 관련 공개자료 수집 시스템 구축 - 핵주기 관련성 판단을 위한 분석 시스템 구축 ○ 3차년도 □ 목표 ▪ 국내 주요 원자력 산업 및 연구개발 현황 조사·분석 ▪ 주요 원자력 산업 및 연구개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 개발 □ 내용 ▪ 국내 주요 원자력 산업 및 연구개발 현황 조사·분석 - 민감분야 관련 통제품목 선정 및 품목 데이터 구체화 - 민감 분야 관련 품목의 개발, 제조, 수출 기관 정보 수집 및 분석 ▪ 주요 원자력 산업 및 연구개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통제품목 및 핵주기 관련 원자력 산업, 연구기관, 연구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 개발 - 주요 원자력 산업 및 연구개발 정보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시스템 개념 설계 및 구축 - 旣 구축된 수출통제 시스템과의 연계에 대한 개념 설계 ○ 4차년도 □ 목표 ▪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핵무기 관련 기술·품목에 대한 통제지침 수립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수집 분석 시스템 개선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의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 개발 □ 내용 ▪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핵무기 관련 기술·품목에 대한 통제지침 수립 - 차세대 원자력 및 핵무기 관련 기술과 품목에 대한 통제품목 확정 - 통제품목 별 수출통제 가이드라인 및 피규제자 제도 편입을 위한 법령 등 규정 수립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연관 검색 시스템 구축 - 데이터베이스 간 연관검색을 위한 온톨로지(ontology) 구축 - 품목, 기업, 연구 관련 정보 등의 연관검색을 위한 시맨틱(semantic) 검색시스템 구축 ▪ 旣 구축된 전략물자 수출통제 시스템과의 연계 및 실용화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수집 분석 시스템의 알고리즘 및 UI개선을 통한 최적화 - 기존 수출통제 전산시스템과 최적화된 개발 시스템 간 연계 및 검증 □ 연구개발성과 ▪ 차세대 주요 원자력 기술 조사 및 분석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VHT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 관련 통제품목 데이터베이스 - 농축‧재처리‧핵무기 등 민감기술에 관한 통제품목 데이터베이스 - IAEA 정보, 공개정보 등 핵주기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 ▪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원자로 외 핵주기 관련 수출통제 품목 및 통제지침 수립 -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민감기술에 관한 수출통제 지침 및 NSG 통제지침 개정안 - 전략물자수출입고시 개정안 ▪ 국가 원자력 기술 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한 전산 시스템 구축 - 핵주기 관련 공개자료 및 연구개발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개발 - 원자력 산업체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개발 - (추가성과) 우려거래자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 개발 ▪ 정량 성과 - 원자력안전성과: 안전기술보고서 6건, 규제정책제안 5건 - 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국외 비 SCI(Scopus 등재지) 3건, 학술대회 발표 9건 - 특허 및 소프트웨어: 특허 3건 출원, 소프트웨어 등록 6건 - 성과홍보 및 연구시설 장비: 성과홍보 4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차세대 원전에 대한 전문판정 심사지침서 및 원자로 외 핵주기 품목을 포함하여 개정된 전문판정 심사지침서는 향후 차세대 원전 및 원자로 외 핵주기 품목의 수출통제 규제활동 및 유관기관 기술검토 문의에 활용 - IAEA의 추가의정서 의무이행에 핵주기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상선정 및 검토에 활용 - 원자력 산업체 정보 수집분석 시스템은 제도권 외의 원자력 산업체에 대한 아웃리치 대상 발굴에 활용 - 우려거래자 정보 수집시스템으로 수집한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수출허가 및 전문판정 심사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민원인이 수출하고자 하는 대상이 우려거래자에 등재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자료로도 활용 (출처 : 요약문 6p)
    • 연구책임자 : 이상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수출통제;전략물자;핵주기;민감기술;핵무기; 2. Export Control;Strategic Items;Nuclear Fuel Cycle;Sensitive Technology;Nuclear Weapon;
  • 12035

    2021.12.31

    Ⅲ. 연구결과 1. 파동함수에 해당하는 궤적을 드브로이-봄 이론에 따라 계산 2. 계산한 궤적에 대한 비행시간 및 방사광의 주파수 성분 계산 3. 비행시간 및 방사광 성분 간의 결합 확률 분포 계산 4. 이중 틈새 실험과 전자 이온화 실험에 각각 적용 및 결과 예측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은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드 브로이-봄 이론;궤적;비행시간;방사광 스펙트럼;상관도;이중 틈새 실험;광전자;이온화; 2. de Broglie-Bohm theory;trajectory;time-of-flight;radiation spectrum;correlation;double-slit experiment;photoelectron;ionization;
  • 12034

    2021.12.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저선량 방사선의 치료 효능 중 관절염에 대한 통증 완화가 보고됨. 하지만 정확한 기전 규명이 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저선량 방사선의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 조절 기능을 확인 하고자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선량별 저선량 방사선의 염증 인자 발현 조절 차이를 비교 2. 새로운 HuR 매개 저선량 방사선 민감 생체 지표 발굴 확인 Ⅳ. 연구개발결과 ❍ LPS 유도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발현을 선량별 저선량 방사선 조사 후 면역염색법, 웨스턴 블롯 및 ELISA법으로 확인 비교 확인 ❍ 저선량 방사선 조사 세포에서 HuR에 결합되는 RNA 부분에서 새로운 유전자 발굴하고 HuR 매개 여부를 RT-PCR법, 웨스턴 블롯 으로 확인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저선량 방사선 치료분야의 확대 기대 ❍ 저선량(률) 방사선의 생체 영향에 대한 과학적 자료 확보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손태건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20100
    • Keyword : 1. 저선량(률) 방사선;항염증 효과;피폭 생체 지표;RNA 결합 단백질; 2. low-dose (rate) radiation;anti-inflammation effect;exposure biological indicator;RNA binding protein;
  • 12033

    2022.02.28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정부 에너지 정책 및 정책 불확실성의 영향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에너지 정책의 기준점을 마련하고 그 학술적 함의를 찾았다. 동태확률적 일반균형(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모델을 이용하여 정부의 제 7, 8차 에너지 계획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는 다음 세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첫째, 에너지 믹스 정책에 따른 거시경제적 영향과 사회후생 변화를 검증하였다. 에너지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의 비중이 변할 경우, 상이한 전력 발전단가로 인해 총 에너지 가격의 변동이 야기된다. 본 연구는 이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연재해에 따른 원전 사고 발생 시 거시경제적 영향과 사회후생 변화를 검증하였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원전사고 가능성 역시 높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정부의 에너지 정책 불확실성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정책의 불확실성은 투자를 보류하게 만들고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 불확실성의 거시경제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자력 에너지 비율의 확대는 경제성 측면에서 우세하나 자연재해에 따른 방사선 노출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에너지 믹스 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비용 효율성과 재난 위험 두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이들이 사회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가격 측면의 장점이 재난 위험의 단점을 상회할 것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1) 원자력 에너지의 비율 증가에 따라 소비와 생산 역시 함께 증가하며, 2) 재생 에너지의 가격이 66.7% 이상 낮아지지 않는 한 원자력 에너지 비율의 확대는 사회 후생 측면에서 긍정적이었고, 3) 자연재해 발생으로 인한 원전사고 가능성이 33.7% 이상이거나 사고 발생 후 자본에 28.7% 이상의 타격을 입히지 않는 한 재생 에너지의 확대는 사회 후생를 저해했으며, 4) 정책불확실성은 사회 후생 감소를 야기하였다. 연구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원자력에너지 장점을 재확인시켜주었으며, 일관된 에너지 정책의 중요성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 확인한 에너지 믹스 정책에서의 에너지원별 비중이 사회 후생에 미치는 영향은 앞으로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때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정책 불확실성과 사회 후생 간에 확인된 관계를 통해, 에너지 정책을 둘러싼 최근의 불확실한 정세에서 정책의 불확실성을 줄여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외 다양한 에너지 정책 사례들의 사회 후생을 분석 및 비교할 수 있다. 이들 실사례를 포함하여 에너지 정책으로 실현 가능한 다양한 경우의 정책에 대해 본 연구의 DSGE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여, 그들의 사회 후생을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에너지 정책을 발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안광원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20300
    • Keyword : 1. 에너지 믹스;사회 후생;가격 경쟁력;핵 재난; 2. Energy mix;Social welfare;Cost-efficiency;Nuclear dis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