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33/1,246

검색
  • 12138

    2022.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김준영
    • 주관연구기관 : (주)에네스지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비파괴검사;등가열부하;지능형 보상;디지털 신호처리;자동화 탐상; 2. Nondestructive testing;Equivalent heat transfer;Smart compensation;Digital signal processing;Automated inspection;
  • 12137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신뢰도 있는 우주방사선 계측기 개발 및 검증, 항공기에서 실측 실험 장기 데이터베이스 확보를 통한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고도화 및 현업화 ◼ 전체 내용 ❍ TEPC를 활용한 우주방사선 실측실험 및 실측 데이터베이스 확보 ❍ 실측값 기반 KREAM 모델 검증 및 고도화 ❍ KREAM 모델 현업화 ◼ 1단계[2년] ❏ 목표 ㅇ TEPC를 활용한 항공기 우주방사선 실측실험 ㅇ KREAM 모델 사전 검교정 ㅇ 항공기 실측 실험 및 TEPC 개선 ㅇ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KREAM 개선 ㅇ 실측 자료 기반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고도화 ❏ 내용 ㅇ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방안 선행 연구 조사 ㅇ TEPC, Liulin 관측기 활용 항공기 우주방사선 실측실험 시작 ㅇ KREAM 고도화를 위한 사전 검교정 ㅇ 국제선 항공기에 TEPC 탑재 실험 - 실측 자료 수집 시작 ㅇ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KREAM 개선 - GK-2A의 KSEM 관측값을 적용한 SCR 스펙트럼 계산 ㅇ 항공기 실측실험 자료 기반 KREAM 모델 고도화 - 실측실험 관측값을 기반으로 한 KREAM 모델 개선 ◼ 2단계[1년] ❏ 목표 ㅇ 항공기 실측 실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ㅇ KREAM 모델 현업 적용 ㅇ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 안전관리 개선 ❏ 내용 ㅇ 항공기 우주방사선 실측 실험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제선 항공기의 TEPC 장기 관측 데이터베이스 확보 - 관측값을 기반으로 한 KREAM 모델 개선 ㅇ KREAM 모델 현업화 - 항공사 및 일반인용 웹서비스 구현 □ 연구개발성과 안전기술보고서 6건, 국내논문 3건, 국내 특허 2건 출원, 국제 특허 1건 등록, 학술대회 발표 6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ㅇ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 의해서 항공기 승무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관리할 때, 신뢰도를 확보한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에 기반하여 피폭량을 산출할 수 있음. ㅇ 항공기 고도에서 우주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의 신뢰도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정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우주방사선;실측실험;모델검증;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조직등가비례계수기; 2. Space Radiation;Aircraft Measurement;Model Verification;Safety Management Act on Environment Radiation;Tissue Equivalent Proportional Counter;
  • 12136

    2023.02.28

    □ 연구개요 ■ 연구목표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의 multi-stress resistance(고방사선, 건조, 산화 스트레스 등 극한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에 기여하는 특이 two-component system 반응 조절 단백질(response regulator, RR)들에 의한 스트레스 대응 기작을 밝히고, 3차구조 규명을 통해 환경 스트레스 감지/반응 원리를 연구함. 또한, 구조기반 재설계를 통해 two-component system 단백질을 개량하여 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강화에 응용함으로써 산업용 환경내성 균주/환경정화 미생물소재 개발 연구에 활용하고자 함 ■ 연구내용 대표적인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Deinococcus radiodurans는 효과적인 DNA 손상 복구 시스템과 강력한 항산화 능력을 보유하여 극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응함. 또한, Deinococcus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에는 미생물의 대표적인 외부 신호 감지/대응 시스템인 two-component signal transduction system(TCS) 구성 단백질들도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TCS는 일반적으로 신호 감지 단백질(sensor histidine kinase, SHK)과 반응 조절 단백질(response regulator, RR)로 구성됨.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Deinococcus 특이적 RR 2종(DR1175, DR0743)을 발굴하고 돌연변이 연구를 통해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감소함을 확인.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해 Deinococcus 특이 TCS 구성 단백질들의 생화학, 분자생물학적 특성 연구뿐만 아니라 단백질체, 전사체, 3차구조 분석을 통해 환경 스트레스 감지/반응 기작을 규명하고자 함 ■ 연구범위 1) Deinococcus 속 미생물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는 RR(DR0743), RR-SHK domain이 동시에 존재하는 hybrid-RR(DR1175) 총 2개 RR의 인산화 신호전달 기작 및 하위 조절 유전자/단백질 규명 2) Deinococcus의 방사선, 산화 스트레스 등 환경 스트레스 감지/반응 인산화 네트워크 핵심 단백질인 RR(DR1175, DR0743)의 고해상도 3차구조를 X-선 결정학으로 규명하여 인산화에 의한 환경 스트레스 대응 기작을 분자수준에서 밝힘 3) 단백질체, 전사체, ChIP-seq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 RR에 의해 조절되는 다양한 하위 유전자/단백질을 분석하여 각 RR에 의한 환경 스트레스 감지/반응 기작을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Non-canonical hybrid SK/RR(DR1 175)의 스트레스 감지/반응 기작규명 연구목표 1. DR1175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 인산화 단백질체 분석을 통한 하위조절 타겟 단백질 발굴 2. DR1175에 의한 하위 조절 단백질의 활성 조절 연구 및 핵심 잔기기능 규명 3. DR1175의 3차구조 규명을 통한 인산화 신호전달 기작 규명 연구결과 1. DR1175의 인산화 신호전달 핵심잔기 규명 2. DR1175에 의한 catalase, RecA의 유전자/단백질 발현 조절 규명 3. DR1175 모델 구조 분석을 통한 인산화 기작 분석 완료 ○ Essential RR(DR0743)의 스트레스 감지 / 반응 기작 규명 연구목표 1. Bacterial ChIP-seq 분석을 통해 DR0743 결합 DNA 분석 및 하위 조절 유전자 발굴 2. DR0743에 의한 타겟 유전자의 발현 조절 기작 규명 3. DR0743의 3차구조 규명을 통한 인산화 신호전달 및 DNA 결합 기작 규명 연구결과 1. DR0743 하위 조절 유전자 특성분석 완료 2. DR0743에 의한 ParA3, Gyr 조절 및 세포 분열, 세포막/벽 생성 조절 규명 3. DR0743 고해상도 X-선 결정 구조 규명 및 DNA 결합 기작 규명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사회/경제적 측면 - Deinococcus 유래 스트레스 내성 조절 유전자/단백질 도입을 통해 산업용 미생물을 개량하여 생명공학 관련 산업에 기여 가능 ■ 과학기술적 측면 - Deinococcus 균주의 극한 스트레스 내성 원리를 활용, DNA 손상/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체 질병 치료 목적의 기초 연구에 활용 가능 - 강한 우주 방사선에 대응하기 위한 지구 생명체의 우주 환경 적응 연구에 활용하여 미래기술 선도 가능 - 새롭게 밝힌 hybrid sensor kinase 및 response regulator의 3차 구조-기능 상관관계 규명 연구를 통해 미생물의 환경 스트레스 대응 기작과 관련된 TCS 체계에 대한 이해 확대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민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데이노코커스;2요소신호전달계;전사조절인자;항산화;스트레스 내성; 2. Deinococcus;TCS;Transcriptional regulator;Antioxidant;stress resistance;
  • 12135

    2023.08.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진희
    • 주관연구기관 : 인제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9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Abscopal 효과;면역치료;유방암;전이; 2. Raiotherapy;Abscopal effect;Immunotherapy;Breast cancer;Metastasis;
  • 12134

    2023.10.31

    Ⅳ. 연구개발 결과 ○ 미국과는 성과 측면보다는 협력관계 창출 측면에서 목적성이 보였으며, I-NERI 사업 중단을 요구한 미국의 의도로 보아 성과 측면에서는 적어도 미국에는 큰 이득이 없었던 것으로 평가 ○ 영국과는 핵연료주기·방사성폐기물관리기술 분야에 편중되어 우리나라의 해체 분야 기술 습득의 목적으로 국제공동연구가 활용되었으며 최소 질적 성과 측면에서 봤을 때 상당한 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평가 ○ 이를 통해, 미국과는 협력관계 측면보다는 중요한 목표를 부여한 국제공동연구의 추진, 그리고 I-NERI 사업 중단에 따른 협력 논의를 위한 공식창구 재건 방안을 제안함. ○ 영국과는 기존 국제공동연구와의 연속성을 위해 영국의 해체 산업계와 협력하고, 선진원자로 등 양국의 현 시점에 수요로 하는 분야에 대한 협력 창출이 필요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영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31100
    • Keyword : 1. 한미 국제공동연구;한영 국제공동연구;국제공동연구 성과 평가;국제공동연구 추진전략;종합성과 평가; 2. Korea-U.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Korea-U.K.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Promotion Strategy;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 12133

    2023.02.28

    □ 연구개요 RNA결합단백질인 PUF protein family의 특이점은 target mRNA의 3’UTR 또는 5‘UTR에 sequence-specific하게 결합한다는 것과 mRNA localization과 전사후조절에 작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에서 Puf6가 효모의 Ste12 전사인자의 생성을 repression하며 5’UTR의 Puf6-binding sequence에 의함을 밝혔고, 본 연구에서는 1) STE12 및 TEC1 target mRNA를 대상으로 PUF family의 mRNA 위치조절과 단백질생성에서의 기능 분석 2) target mRNA – PUF 단백질 – cofactor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단백질생성조절에서의 기능 연구를 목표로 수행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PUF protein의 STE12 target-mRNA에 대한 위치조절과 단백질생성 기작 분석 - PUF4,5,6 유전의 deletion 돌연변이 효모균주를 제조하였고, filamentous growth 연구에 적합한 Σ1278b 균주배경에서 이배체 puf5Δ/Δ와 puf6Δ/Δ 돌연변이주 제조. - PUF4,5,6 의 Ste12 및 Tec1 단백질생성에서의 기능 확인. Haploid mating 조건과 다른 filamentation조건에서의 기능 확인 - Nuclear periphery로의 STE12 및 TEC1 mRNA의 localization 확인 - Puf6와 Puf5가 STE12 와 TEC1 mRNA의 핵주위로의 위치 결정에 관여한다는 결과 - Filamentarion 유도조건인 SLAD media에서 STE12 및 TEC1 mRNA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Puf6와 Puf5의 조절 기능을 분석함 2. Target-mRNA 특이적 RNA-binding complex 분석과 이들의 세포조절에서의 기능 연구 - RNA granules 구성원인 Dhh1과 Puf 단백질의 상호관계 분석. dhh1Δ/Δ 돌연변이주는 PUF 돌연변이주와는 다른 양상을 보임. - Puf6와 Dhh1 RNA helicase와의 complex 형성에 FUS3와 TPK2 protein kinase가 관여함을 보임 - PUF5와 PUF4의 이중돌연변이 제조를 통한 상호관계 분석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Cancer, stem cell, neuronal development 등에서의 PUF 단백질의 작용 기전에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 특히 단백질 생성과 mRNA decay pathway 조절에 중요 기전을 제시. - 최근 급격히 대두되고 있는 mRNA의 세포내 organelle-tageting 주제 연구에 중요한 예시를 제공할 수 있음. 주요 전사인자들의 NLS 기반의 핵이동 외에도 mRNA의 위치결정이라는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 - PUF protein family에 속하는 7개 단백질의 기능연구로 확대 가능 - 단백질 및 RNA 위치결정 기술 선진화 - RNA의 분자유전학적 세포유전학적 분석 기술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진미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PUF RNA 결합단백질;mRNA 위치결정;Ste12 전사인자; 2. PUF RNA-binding protein;mRNA localization;Filamentation;Ste12 transcription factor;Dhh1;
  • 12132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TiO2 광촉매를 이용한 일사 저항형 Thermochromic 파우더의 도료화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최근 여름철 외기온도가 상승되면서, 건물외피의 표면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있다. 가열된 건물외피의 표면은 실내로 더 많은 열을 전달하여 냉방기의 용량 및 가동시간을 증가시켜 냉방에너지 소비를 더욱 촉진시킨다. 특히, 지붕표면은 타 구조보다 더 긴 시강동안 높은 고도의 강한 일사에 노출되기 때문에, 표면온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지붕의 표면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 태양일사의 반사에 탁월한 흰색 도료 형태의 Cool Roof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Cool Roof 시스템은 연중 여름철이 우세한 지역에 적합한 방식이다. 반면, 국내와 같이 겨울철이 긴 기후지역에서는 Cool Roof가 지붕의 표면온도를 더욱 냉각시킴으로서 난방에너지 소비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연간 건물에너지 및 온실가스 배출 또한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Thermochromic 재료를 이용한 'Cool & Warm Roof'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rmochromic 재료는 온도에 따라 색이 검정계열에서 무색(투명)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흰색계열의 도료와 순차적으로 시공된다면 지붕표면의 일사를 조절함으로서 여름철과 겨울철에 지붕표면 온도를 유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hermochromic 재료는 태양 자외선에 노출되면 변색 기능이 파괴되기 때문에, 이를 지붕 표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취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 해결책으로서 본 연구는 TiO2 광촉매를 통해 Thermochoromic 재료의 자외선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며, 동시에 이를 지붕에 적용하기 위한 도료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ol & Warm Roof를 구현하기 위해 TiO2 광촉매 기반의 일사 저항형 Thermochromic 분말의 도료화 기술 개발‘에 최종 목적이 있다. Thermochromic 기술은 촉매제 내에 유기산화물과 착색제를 첨가한 후, 이를 캡슐화한 나노기술의 하나이다. 촉매제의 융해점을 기준으로 고온 혹은 저온에서 색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Thermocromic 재료는 일반적으로 (1) Liquid Crystal과 (2) Leuco Dye로 구분된다. 이중, Leuco Dye 타입은 일반적으로 유색에서 무색(투명)으로 변화시키며 마이크로파우더(미세분말) 현태로 존재한다. 또한 고온에 내구성 가지며 다른 입자들과 혼합되어도 본연의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물, 페이트, 오일 등과 혼합되어 도장의 원료나 미용, 자동차 등 많은 산업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지붕의 표면에 반사율이 높은 흰색계열의 도료를 도포한 후, 검정계열에서 무색(투명)으로 변화하는 Thermochromic 기반의 도료를 그 위에 도포한다면, 특정온도에서 지붕의 표면이 검정계에서 흰색계열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표면의 색 변화는 태양일사를 계절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붕의 표면온도를 계절 변화에 따라 감소 혹은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모든 Thermochromic 재료들은 태양의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내부의 조직이 파괴되어 변색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특히, Thermochromic Leuco Dye 타입은 고온에 저항성이 있기 때문에 뜨거운 열과 같은 고온에서도 변색기능을 유지할 수 있지만, 실외의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다른 재료와 마찬가지로 변색기능이 파괴되고 일사 반사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심각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 티타니움 (TiO2)를 이용하였다. TiO2는 일사의 자외선 및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을 반사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TiO2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표면으로 투영되는 일사를 산란시키는 능력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기존 Thermochromic Leuco Dye 타입의 일사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최적의 일사 반사율을 가질 수 있는 TiO2 의 종류 및 입자크기를 결정짓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일사 저항성을 가진 TiO2 및 Thermochromic의 최적 혼합물이 도출된 후, 이를 도료화하는 방법 또한 도출하였다. 이들 혼합물과 지붕에 도포하는 일반 도료와의 혼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학적 위험성을 관철하고, 도료화가 완성되었을 때 지붕 표면과의 부착성, 마모(벗겨짐), 변색 기능의 유지 등에 대한 분석 또한 수행하였다. ◼ 1단계 ❏ 목표 국내 기후조건을 고려한 Cool & Warm Roof 최적 디자인 도출 ❏ 내용 연간 기후변화에 따른 지붕의 일사 조절을 위한 표면 색상변화 시스템의 디자인 도출, 최적 Thermochromic 안료 및 TiO2 분말의 입자크기 결정 및 지붕과의 융합 방안 도출 ◼ 2단계 ❏ 목표 혼합 Thermochromic 안료 제작 및 사전 성능 테스트 ❏ 내용 Thermochromic 안료 및 TiO2 분말의 최적 혼합을 위한 혼합 방식 결정 및 혼합 테스트, 혼합 안료 및 액체 도료 용매와의 혼합 결과 분석, 혼한 Thermochromic 도료의 지붕 표면 적용을 위한 사전 테스트 수행 ◼ 3단계 ❏ 목표 기존 지붕 대비, Thermochromic 도료 적용에 따른 지붕 표면 온도 저감 효과 분석 ❏ 내용 국내 건축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녹색 및 회색 표면 대비, Thermochromic 기반 Cool & Warm Roof 시스템의 표면온도, 실내 천정온도 및 실내 공기온도의 쾌적성 검증 □ 연구개발성과 Thermochromic 도료의 연구와 관련하여 국내외 연구개발의 격차는 약 15년 이상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미국과 일본 및 일부 유럽국가에서는 이미 이러한 스마트 도료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그 성능 또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몇몇 연구문헌에서 Thermochromic 안료에 대한 소개와 간단한 성능 정도가 보고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응용사례나 혁신 연구에 대한 보고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국외에서는 Thermchromic 안료가 건축뿐만 아니라 금속,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의 관점에서도 일부 건축물 적용에서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금속 피막의 내구성 강화를 위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곧 자외선에 완전히 저항할 수 있는 기술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용 대비, 에너지 절감 효율이 매우 탁월한 재료이며 미래 스마트 에너지 절감 재료로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함으로, 본 연구가 국내 Thermochromic 안료 및 도료 기술발전의 기폭제 역할이 될 것으로 매우 기대하고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건축물 관련 에너지 절감을 위한 요소기술은 이미 선진국 수준으로 다달았으며, 현재는 이러한 요소기술 적용에 따른 적용과 효과에 대해 국가 인증을 통해 검증하는 단계에 있다. 그럼에도, 건축물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가벽고 적용이 쉬운 스마트 재료들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해외에서는 도료라는 주제로 스마트 기술을 적목하여 간단한 적용으로 효과적인 건물에너지 절감을 도모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완성기에 접어들고 있다. 반면, 국내는 해외 기술과 약 10년 이상 차이가 있을 만큼, 스마트 재료 및 이러한 도료 기술에 소극적이며, 연구 문헌의 비교를 통해서도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과정 중에서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사태가 발생되어 연구 진행에 많응 어려움이 있었지만, 어렵게 실험을 통해 스마트 도료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건물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본 기술의 성숙기로의 진입을 기대하며, 다양한 산업에서 본 도료를 통한 응용연구 및 기술개발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백상훈
    • 주관연구기관 : 한경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온도변색도료;이산화티타니움;스마트지붕시스템;일사조절;건물에너지절감; 2. Thermochromic Paint;Titanium dioxide;Smart Roof System;Solar Radiation Control;Building Energy Reduction;
  • 12131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RPC5 유전자 매개 방사선 저항성 매커니즘 규병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법 연구 ◼ 전체 내용 세포 밖 exosome 상태로 분비된 RPC5가 어떻게 세포 사멸과 방사선 저항성에 관여하는지 그 매커니즘을 규명하고, 과연 어떤 암세포가 이러한 RPC5와 관련된 방사선 저항성을 가지는지 확인한다. 또한 RPC5의 damage 저항성이 다양한 외부 damage source: r-Ray(방사능), UV(자외선), Heat-Shock (열충격), Chemial hazard(화학 위험) 에도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질병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 1단계 ❏ 목표 상동 ❏ 내용 상동 □ 연구개발성과 국제 학술 대회 논문 발표 2건 (미국, 싱가포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방사선 저항성은 현재 암 환자 치료의 1/2 이상 담당하는 강력하고 일반적인 암치료 방법의 걸림돌로서 많은 환자들이 방사선 저항에 의한 암 재발을 경험한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의 기본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방사선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세포 사멸과 같은 기초 연구 분야만이 아니라 암이나 질병 치료 분야에서도 매우 가치가 있는 연구이며, 특히 RPC5에 의해서 세포에서 개체 레벨까지 모두 방사선 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는 매우 특이적이며 의미하는 바가 크다. 무엇보다도 전 세계적으로 아직까지도 Pol III subunit의 하나인 RPC5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미미하여 정확한 기능이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이번 연구를 계기로 하여 초파리에서부터 사람에 이르기까지 RPC5의 기능에 대해 최초로 밝혔다. 또한 최근 exosome 연구 자체가 이슈화되고 여러 생명과학 분야에서 집중하고 있는 시점에서 치료제로서 exosome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추출 및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학적 치료 기술 개발에 직접적인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또한 RPC5의 세포 사멸 저항성은 자외선이나 열손상과 같은 damage에도 비슷한 성질을 보이며, 이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 피부암이나 화상과 같은 질병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의학적 분야 치료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원종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세포 사멸;방사선저항성;엑소좀; 2. apoptosis;radiation resistance;exosome;RPC5;
  • 12130

    2023.02.28

    □ 연구개요 제안 과제에서는 특정 원편광에 대해 높은 광자상태밀도를 갖는 카이랄 거울을 설계하고, 설계된 카이랄 거울과 발광물질을 근접장 결합함으로써 발생 초기부터 원편광된 자발방출광을 실현하고자 함. 나아가 특이 유효유전율을 갖는 메타필름을 매개로하여, 고전적 성능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연구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책임자 그룹은 중견연구자지원사업(총 연구비: 3억, 2022년 2월 종료)을 통해 (i) 복사광, (ii) 태양광, (iii) LED 등을 포함한 자발방출광 및 (iv) 산란광의 편광, 파면, 흡수 등을 극적으로 제어하는 비정상 분산 물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파장 250 nm 극자외선부터 30 mm 중적외선까지 각 스펙트럼의 광학 물성을 조절하는 광학 구조를 설계·제작·평가하였음. 아울러 연구 수행을 통해 규명한 물리적 원리를 기반으로 연구 결과물을 태양전지, 열광전소자, LED, 3차원 프린팅 등의 응용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산업적 기대효과를 증명하였음. 본 과제의 수행기간 중 총 23편(교신저자 참여 18편)의 SCI 논문을 게재하고, 총 3건의 특허를 국외(US) 출원·등록하였음.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 다수가 명망있는 나노과학 저널(Light Science & Applications, Nano Letters, Advanced Energy Material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dvanced Science, ACS Photonic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Nano Energy, Matter, Optics Letters, Optics Express)에 게재됨으로써 연구책임자 그룹의 연구역량을 인정받았음. 모든 논문은 연구책임자가 교신저자, 연구실의 학생이 제1저자로 등재되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측면 (1)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특이 물질분산의 매질과 빛의 상호작용을 탐구함. 특히, 원편광 자발방출 광원과 소용돌이 파면을 유도하는 광학구조의 근접장 결합은 양자역학의 스핀궤도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음. (2) 원편광 자발방출광 발생과 관련된 광자선택률을 규명하여 자발방출광의 광물성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물리적 원리를 제시함. (3) 유전율 텐서를 포함하는 일반화된 전자기학 시뮬레이션 기법을 구축하고, 다양한 원편광 이색성 메타물질 연구에 확대 적용함. (4) 유효유전율이 변조된 평면을 설계하여 다양한 기하광학 효과를 모사함. (5) 기하광학과 파동광학을 통합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하여 회절광학계를 포함하는 기하광학 구조의 성능을 예측함. (6) 표면플라즈몬 모드에 의한 광손실 및 산란을 억제하는 설계법칙을 확립함. (7) 틈새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중적외선 표면플라즈몬 분야를 개척함. 2. 실용적 측면 (1) 원편광 자발방출 광원: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외광 차단을 위해 원편광자가 도입되므로 원리상 50% 이상의 광손실이 발생함. 원편광 자발광원은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휘도 감소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기술임. (2) 대면적, 저비용 초집속 메타렌즈: 개인용 AR/VR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시야각 내에 도달하는 유효광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함. 일반적인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LED 상부에 직접 제작되므로 대면적, 저비용 공정이 가능함. (3) 무손실, 반사형 메타편광자: 양자점 디스플레이에서 양자점 필름은 최종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색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함. 따라서 양자점 필름 직전에 배치된 편광자를 흡수형에서 반사형으로 대체하면 광원의 휘도 개선이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선경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카이랄 구조;자발방출광;분산물질;중적외선 복사;쌍곡선메타물질; 2. Chiral Structure;Spontaneous Emission Light;Dispersive Material;Mid-Infrared Radiation;Hyperbolic Metamaterial;
  • 12129

    2023.01.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Development of large size Zr-based scintillators for radiation detection and double beta decay measurement ■ 전체 내용 Single crystal growth Zr-based scintillation crystal and chloride contained crystals for dual mode gamma/neutron detectors. ■ 1단계 - 목표 Development of large size Zr-based scintillators for radiation detection and double beta decay measurement - 내용 Single crystal growth Zr-based scintillation crystal and chloride contained crystals for dual mode gamma/neutron detectors. □ 연구개발성과 Single crystal growth Zr-based scintillation crystal and chloride contained crystals for dual mode gamma/neutron detectors.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The detector can be used for neutrinoless double beta decay search of Zr-96 isotope. Pure LaCl3 will be used to measure both gamma and neutron on the Lunar surface by KASI as well as monitoring neutron beam, nuclear physics experiments, nuclear medicine etc.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PHAN QUOC VUONG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Scintillator;Pulse shape discrimination;neutron spectroscopy;double beta decay;Cryst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