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15/1,239

검색
  • 12242

    2023.02.28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Cobalt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 복합체를 이용한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 전체 내용 방사선을 이용하여 안구건조증 동물 모델을 제작하고, 항산화 효과가 있는 Cobalt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 복합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동물 모델에서의 항산화 효과 및 안구건조증에 대한 효능을 확인한다. 연구개발성과 성공적으로 BGn 및 Co-BGn nanoparticle을 제작하여 물리적 특성들을 확인 In vitro & in vivo에서 cellular toxicity &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effect 확인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각막 혼탁, 각막 신생혈관 점수화하여 약제 처리 전후를 확인해보는 정량적인 분석 희생 후 조직학적으로 항산화 효과 관련 마커 분석 가능 다양한 약제를 나노입자에 담침시켜 그 효과를 평가하고 점안제 제작 가능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호석
    • 주관연구기관 : 단국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 12241

    2023.01.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SPMs의 FPR2/ALX 매개로 한 방사선 폐질환 치료 신약 후보 물질 도출 전체 내용 FPR2-SPMs 방사선 폐렴 및 섬유화 억제 신약후보물질 도출 및 FPR2/ALX silencing system 기반 억제 기전 규명 1단계 (해당 시 작성) 목표 SPMs(LXA,RvD1, Protectins, Maresins)의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세포/마우스)에서의 염증종결 및 폐섬유화 억제효과 스크리닝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한 폐염증 종결 인자 발굴 내용 ■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세포/마우스)에서 SPMs으로 염증종결 및 폐섬유화 효능 screening. ■ 방사선유도폐섬유화조직의 유전자 분석을 통한 방사선 치료 후 폐섬유화 예후 및 예측인자 발굴 ■ FPR2 KO mouse 구축 2단계 (해당 시 작성) 목표 in vitro/in vivo FPR2/ALX silencing system을 이용한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에서 염증종결과 퍠섬유화 억제 기전 규명 내용 ■ FPR2 cell-based assay (FPR2 Knock down cell) 제작, FPR2에 의한 방사선폐렴 및 섬유화 억제 기전 연구 ■ Wild type 및 FPR2/ALX KO mouse의 방사선폐렴 및 섬유화 억제 기전 연구 3단계 (해당 시 작성) 목표 방사선 폐섬유화 환자샘플을 이용한 FPR2/ALX발현 및 FPR2-SPMs관련 폐섬유화 조절 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내용 ■ 방사선 폐섬유화 환자샘플을 이용한 FPR2/ALX발현 확인 ■ FPR2-SPMs관련 폐섬유화 조절 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연구개발성과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논문1편, 학술대회 발표 2건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방사선 폐질환 동물모델에서 폐렴 및 폐섬유와 억제 조절인자의 발굴을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폐섬유화 신약개발에 기여할 수 있고, 방사선 치료 부작용 제어 제뿐만 아니라 방사선 피폭과 같은 방사선 피폭 보호제 개발의 기반기술로도 활용되어질 수 있음. · 연구결과는 실제 임상에서 폐암치료 시 고려되는 요인들을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므로 향 후 임상연구 진행에 있어서도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함. · 실제 임상 방사선 치료기법을 반영하는 소동물 모델은 섬유화질환, 특히 방사선유도 섬유화 질환과 관련된 산업 분야 원천기술의 확대로 인한 기술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됨. · 그 외에도 최근 들어 환경오염 및 바이러스 감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세먼지 및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등 사회 환경적 요인에 의한 급격한 폐질환 및 폐섬유증 증가에 대한 사회적 대비책으로도 적응증 확대 가능성 높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현진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 유도 폐질환;폐렴;폐섬유화; 2.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SPMs);Radiation-induced lung injury;Pneumonia;Pulmonary fibrosis;Formyl peptide receptor 2(FPR2/ALX);
  • 12240

    2023.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과제에서는 PD-1/PD-L1를 포함하여 다양한 면역관문 표적 항체를 이용하여, 치료전후 종양의 TIME(tumor immune microenvironment)의 변화를 비침습적으로 또한 반복적으로 영상화하는 플랫폼 및 생화학적 바이오마커의 한계를 극복하는 영상바이오마커를 개발.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성과 > ◼ TIME 변화 영상화 ◼ 세포독성항암제에 의한 TIME 변화 측정 - MEER/CD200 종양마우스모델, Alexa Fluor 680-anti mouse PD-L1, PD-1 imaging - I-125 anti-mouse PD-L1, PD-1 SPECT imaging ◼ 항체-킬레이터 합성 및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 Zr-89 radiolabelling method. ◼ Atexolizumab- alex fluor 680/ I-125 영상법 개발 ◼ Nivolumab -Alex fluor 680/ I-125 영상법 개발 ◼ ssTR2탑재 카티세포 작성 ◼ ssTR2 ligand 영상법 개발 (Ga-68 DOTATOC PET 영상법) ◼ Ga-68 generator installation, Ga-68 DOTATOC synthesis automatic module Manufacture.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1. 면역치료제와 최적의 병용요법의 효과를 치료시작 혹은 치료종료 전에 예측함으로써 암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측함. 2. CD-19를 표적으로 하는 카티치료제의 임상허가 등에 활용할 수 있음. 3. 종양면역환경을 영상화하는 형광영상법은 연구환경에 활용가능하고 핵의학영상법은 임상영상법 플랫폼으로 활용가능함. 4. 플랫폼 기술로 활용함으로써 개발되는 면역치료제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측함. 동반진단기술로 개발되어 산업화기술로 활용되고, 고용창출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측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석기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비침습적 영상화;종양면역미세환경; 2. PD-1;PD-L1;non-invasive imaging;tumor immune microenvironment;VEGF;
  • 12239

    2023.02.28

    □ 연구개요 • 생체 내 전자기 물성인 도전율을 신호화하는 도전율 영상은 방사선조사에 의해 이온화된 물 분자의 신호 변화를 높은 민감도로 감지할 수 있어 방사선 치료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 • 도전율은 물체의 고유물성이고 절태적인 수치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방사선 조사에 따른 조직 변화에 대한 정량화, 표준화 및 범주화가 가능함 • 일상생활의 방사선 노출 혹은 의료방사선에 의한 노출이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방사선 노출에 의한 생물학적인 변화를 영상으로 예측 및 검증하거나 정량화하는 기술은 부족한 현실임 • 본 연구개발은 방사선 노출에 의한 인체 조직의 생물학적 영향을 자기공명영상기반 도전율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손쉽게 방사선에 의한 조직의 손상정도를 평가 가능한 기술임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방사선 노출 생체 변화 반영 고 민감도 도전율 영상기술 개발 - 방사선 노출에 의한 생체 조직의 전도도 변화 반영 도전율 영상기술 개발 - 방사선 노출 생체 전기적 도전율 반영 도전율 영상법 구현 - 고 민감도 도전율 영상기술 확보 • 도전율 영상 기술기반, 방사선 노출 생체 도전율 변화양상 추적 및 메커니즘 규명 - 방사선 노출 도전율 영상화를 위한 영상 재구성 방법 개발 - 방사선 노출에 의한 생체 뇌 대사물질 도전율 변화양상 추적 - 방사선 노출에 의한 생체 도전율 변화 추적 영상 바이오마커 발굴 • 도전율 영상 기술기반, 방사선 노출의 정량화 및 방사선 노출 평가 임상지표 개발 - 고 민감도 도전율 영상을 이용한 종양 성장과정 모니터링 - 방사선 치료 이후 생체 뇌 종양 생체 도전율 변화 정량화 - 방사선 노출에 의한 생체 도전율 영상 임상 지표 개발 및 적응증 확보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성과를 토대로 방사선치료에 의한 종양 생물학적 영향을 도전율 영상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환자 맞춤형 방사선치료법 및 조사량을 계획하는 등의 임상현장에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구축 - 도전율 영상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효과 정량화 연구는 전임상뿐만 아니라, 임상 중개를 통한 방사선 치료과정 모니터링 및 치료 효과 규명을 위한 객관적인 분석 도구로써 활용가능 - 보다효과적인 항암 성적을 유도하기 위하여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암치료법 및 그로 인한 생물학적 영향을 도전율 영상을 이용하여 계획·평가 • 방사선 민감형 도전율 영상을 이용하면 생활 방사선 노출에 의한 손상영향 평가 가능. 이는 방사선 노출 관련 작업종사자 혹은 방사선 피폭 사고 이후 만성 뇌 손상에 의한 인지장해 등의 부작용 극복기술뿐만 아니라, 뇌 질환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애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도전율영상;자기공명영상;방사선 노출;방사선 치료;생체영상; 2. Conductivity Imaging;Magnetic resonance imaging;Radiation exposure;Radiation therapy;In vivo imaging;
  • 12238

    2023.02.28

    연구개요 언둘레이터(undulator)는 방사광가속기에서 방사광을 발생시키기위해 사용된다. 언둘레이터의 길이를 줄이기위한 여러 마이크로 언둘레이터들 중 플라즈마 언둘레이터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연구들은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즈마 언둘레이터였으나, 본 과제에서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EUV용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위한 플라즈마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2개의 전자빔을 이용하여 앞서가는 전자빔(드라이버)은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생성하고, 따라오는 전자빔(삽입 전자빔)은 방사광을 만드는 것에 참여한다. 20 nm의 방사광을 만들기 위해 1018cm-3 의 플라즈마 밀도에서 400 MeV의 드라이버와 삽입전자빔이 필요하리라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과 플라즈마간 상호작용을 계산하였고 전자빔의 synchrotron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하는 방사광을 계산하는, 크게 2가지의 서로 다른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또한 실제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여 전자빔 플라즈마 상호작용 계산을 위해 particle-in-cell (PIC) 코드를 이용하되 수치오류가 없는 field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전자빔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방사광은 Lienard-Wiechert Potential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제 플라즈마 채널을 발생하기위한 가스 capillary를 개발, 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가속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PIC 시물레이션에서 얻은 전자빔의 궤적으로부터 synchrotron radiation 계산을 하였다. 실제로 얻은 파라미터는 200 MeV, 100 MeV의 전자빔 에너지와 1017cm-3 의 플라즈마 밀도였고 이는 초기 예상했던 수치와는 많이 낮은 것들이었다. 또한 전자빔의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로 좁아야했으며 전자빔의 에너지 분산이 예상과 다르게 큰 편이었다. 이는 드라이버 전자빔의 에너지 손실에 큰 영향을 줘 수십 cm의 긴 언둘레이터 플라즈마로를 만들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초기에 기대하였던 FEL 효과는 에너지 분산이 커짐에 따라 EUV를 목표로하기에는 어려운 조건이었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PIC에서의 field 알고리즘 개발, PIC 결과를 그대로 이용하여 synchrotron radiation 모듈등을 PIC 코드에 삽입하였다. 개발된 코드는 github를 통해 공개하였다. (https://github.com/scienter/jopic.git)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구현하기위한 일체형 가스 capillary를 개발 실험에 응용하였고 전자빔 가속, 방전 플라즈마 실험 등을 통해 개발된 capillary가 유용함을 보였다.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플라즈마 언둘레이터 주제는 아직 연구단계이며 극복해야할 주제임이 분명하지만 수미터의 언둘레이터길이를 100분의 1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그 효과는 상당하리라 생각된다.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한 플라즈마 소스와 시물레이터는 관련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는 점에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공동연구를 통해 박사과정 학생 3명, 박사후연구원 2명 등 관련 전문 연구원들 육성에도 기여하였다. 본 과제에서 개발한 플라즈마 소스는 IBS 초강력레이저 연구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플라즈마 가속 소스에 기여할 수 있어 추가적으로 공동 실험을 추진중에 있다. 특히 플라즈마 소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렌즈 응용 실험은 포항가속기연구소의 eLabs 시설에서 기획되고 있으며 본 과제를 통해 마련한 실험 챔버를 이용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EUV용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목표로한 본 과제에서 FEL특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이는 EUV가 아닌 THz 영역에서 오히려 가능한 주제가 아닐까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판단되었다. 플라즈마 언둘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전자빔 에너지 분산 증가 이슈는 짧은 파장의 FEL에는 부족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향후 THz에서의 플라즈마 언둘레이터 연구를 이어서 진행할 예정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명훈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플라즈마;언둘레이터;플라즈마 렌즈;전자가속; 2. plasma;undulator;plasma lens;electron accelerator;
  • 12237

    2023.02.28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표는 저선량 흉부CT검사 방법을 적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노출되는 방사선량의 노출 정도와 방사선 조사량과 검진결과의 정확도 간의 상관성을 체계적문헌 고찰 내용을 통해 저선량 CT검사에 따른 노출량과 건강영향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CT 검사에서 조사되는 방서선량은 질량당 흡수된 방사선 에너지의 양인 흡수선량(Gy)으로 평가되고 있고 인체조직에 노출되는 유효선량(Sv)으로는 평가를 하지 않고 있음. - 10회의 CT 촬영, 혹은 최대 20회까지는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음 - CT 스캔을 받을 경우 특히 45세 이하의 여성에서 갑상선암 및 백혈병 발병 위험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유년기에 CT검사 경험으로 방사선에 노출된 경우, 추후 암발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됨으로 추가연구가 필요함. - CT방사선으로 인한 암의 위험은 무시할수 없음 여러 접근방식으로 선량을 줄여 나가야 함 - 청소년에게 저선량 전리방사선을 사용할 시 선량을 최대한 낮게 제한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일반 CT 및 저선량 CT 검사는 흡수선량(Gy)을 인체 흡수되는 유효선량(Sv)이라고 가정하고 수검자를 대상으로 방사선량이 조사되기 때문에 수검자에 대한 직접적이고 정확하게 노출되는 유효선량(Sv)에 대한 측정자료가 없었지만 본 연구수행을 통해 수검자가 노출되는 방사선량을 평가할 수 있어 수검자에게 보다 정확한 알권리 제공. - 일반 CT 및 저선량 CT를 이용하는 의료진 및 검진기간들과 방사선량에 따른 암검진결과간의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어느 정도의 방사선량이 폐암결과 분석에 가장 정확한 방사선량인지를 평가하여 표준화된 조사 선량의 기준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 - CT를 이용하여 암검진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노출되는 방사선량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자료로 활용.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성호
    • 주관연구기관 : 디엔씨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저선량;방사선;노출평가; 2. Low dose;Radiation;Exposure assessment;
  • 12236

    2023.02.28

    □ 연구개요 제안 과제에서는 특정 원편광에 대해 높은 광자상태밀도를 갖는 카이랄 거울을 설계하고, 설계된 카이랄 거울과 발광물질을 근접장 결합함으로써 발생 초기부터 원편광된 자발방출광을 실현하고자 함. 나아가 특이 유효유전율을 갖는 메타필름을 매개로하여, 고전적 성능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연구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책임자 그룹은 중견연구자지원사업(총 연구비: 3억, 2022년 2월 종료)을 통해 (i) 복사광, (ii) 태양광, (iii) LED 등을 포함한 자발방출광 및 (iv) 산란광의 편광, 파면, 흡수 등을 극적으로 제어하는 비정상 분산 물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파장 250 nm 극자외선부터 30 mm 중적외선까지 각 스펙트럼의 광학 물성을 조절하는 광학 구조를 설계·제작·평가하였음. 아울러 연구 수행을 통해 규명한 물리적 원리를 기반으로 연구 결과물을 태양전지, 열광전소자, LED, 3차원 프린팅 등의 응용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산업적 기대효과를 증명하였음. 본 과제의 수행기간 중 총 23편(교신저자 참여 18편)의 SCI 논문을 게재하고, 총 3건의 특허를 국외(US) 출원·등록하였음. 교신저자로 참여한 논문 다수가 명망있는 나노과학 저널(Light Science & Applications, Nano Letters, Advanced Energy Material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dvanced Science, ACS Photonic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Nano Energy, Matter, Optics Letters, Optics Express)에 게재됨으로써 연구책임자 그룹의 연구역량을 인정받았음. 모든 논문은 연구책임자가 교신저자, 연구실의 학생이 제1저자로 등재되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학문적 측면 (1)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특이 물질분산의 매질과 빛의 상호작용을 탐구함. 특히, 원편광 자발방출 광원과 소용돌이 파면을 유도하는 광학구조의 근접장 결합은 양자역학의 스핀궤도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음. (2) 원편광 자발방출광 발생과 관련된 광자선택률을 규명하여 자발방출광의 광물성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물리적 원리를 제시함. (3) 유전율 텐서를 포함하는 일반화된 전자기학 시뮬레이션 기법을 구축하고, 다양한 원편광 이색성 메타물질 연구에 확대 적용함. (4) 유효유전율이 변조된 평면을 설계하여 다양한 기하광학 효과를 모사함. (5) 기하광학과 파동광학을 통합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하여 회절광학계를 포함하는 기하광학 구조의 성능을 예측함. (6) 표면플라즈몬 모드에 의한 광손실 및 산란을 억제하는 설계법칙을 확립함. (7) 틈새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중적외선 표면플라즈몬 분야를 개척함. 2. 실용적 측면 (1) 원편광 자발방출 광원: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경우 외광 차단을 위해 원편광자가 도입되므로 원리상 50% 이상의 광손실이 발생함. 원편광 자발광원은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휘도 감소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기술임. (2) 대면적, 저비용 초집속 메타렌즈: 개인용 AR/VR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시야각 내에 도달하는 유효광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함. 일반적인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LED 상부에 직접 제작되므로 대면적, 저비용 공정이 가능함. (3) 무손실, 반사형 메타편광자: 양자점 디스플레이에서 양자점 필름은 최종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색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함. 따라서 양자점 필름 직전에 배치된 편광자를 흡수형에서 반사형으로 대체하면 광원의 휘도 개선이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선경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카이랄 구조;자발방출광;분산물질;중적외선 복사;쌍곡선메타물질; 2. Chiral Structure;Spontaneous Emission Light;Dispersive Material;Mid-Infrared Radiation;Hyperbolic Metamaterial;
  • 12235

    2023.02.28

    □ 연구개요 ● NFAT5(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5)는 Ton EBP라고도 알려져 있는 전사인자로, 최근에는 염증반응의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음. 본 연구자는 신손상을 유도하는 동물 모델의 사구체에서 NFAT5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NFAT5가 다양한 사구체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가정하였음. 현재까지 관련 보고가 없는 바, NFAT5가 사구체 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표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함. ● 한편, Nano particle은 합성된 물성에 따라 조직-특이적인 전달이 가능하고, 특히, 신장 질환의 치료법으로써 매우 유용한 약물 전달체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사구체 내 NFTA5 제어를 목표로 신약후보 물질 발굴 및 Nano particle 합성을 통한 신장-선택적 약물 전달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DOCA/salt-induced hypertensive mouse, Col4a3-/- mouse, I/R injury model,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model 등의 신장질환 모델을 확립하였으며, NFAT5의 발현을 확인함. ● Pdgfrb-CreERT2, Yap flox, Taz flox, Lats1/2 flox, Rpl22-HA, Cx3cr1gfp/gfp, Col4a3-/- 등의 Mouse를 Jackson Lab.에서 구입하여, 가설검증에 필요한 분자생물학적인 준비를 완료함. ● Loss-of-function study로써, Cx3cr1+/gfp vs. Cx3cr1gfp/gfp mouse에서의 급성기 Phenotype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여, I/R injury mouse model의 급성기 손상에 있어 Cx3cr1 유전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발견함. ● Nanomicelle의 일종인 Hydrophobically-modified glycol chitosan (HGC)을 이용하여 신장-특이적 약물 전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Col4a3-/- mouse에서 치료적 효과를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NFAT5를 표적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법은 연구된 바가 전무하기 때문에, 본연구가 진행되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수많은 후속 연구들이 파생되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신약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특허 비용이 국외로 유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NFAT5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약개발을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Nano particle을 약물 전달체로 이용하여 의약품으로 개발한다면 임상으로의 실용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본 연구과제의 성과가 단지 기초연구에 그치지 않고 사업화를 통해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됨. 또한, 본연구에 사용된 모델을 이용하거나 추가 개발하여 다른 유전자와 약재 관련된 연구 및 다른 장기의 질환 연구에 응용할 수 있어 다른 후속 연구로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만성 신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생각됨. 본 연구과제 성과에 기반한 치료기술의 개발을 통해 만성 신질환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어, 국민보건복지 수준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상헌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사구체;신장질환;신약개발;나노 입자; 2. NFAT5;Glomerulus;Kidney disease;Drug discovery;Nano particle;
  • 12234

    2023.02.28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SHiP (Search for Hidden Particles) 실험과 Compact Moun Solenoid(CMS) 실험에 활용될 기능이 개선된 입자선별 및 궤적측정(particle trigger and tracking) 비저항검출기 (resistive plate chamber; RPC)를 개발하고 이 방사선 기술을 응용하여 뮤온 래디오그래피와 입자선 치료에 적용할 방사선계측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CERN SHiP 실험 입자선별 및 궤적측정 비저항검출기 연구 1) CERN EP-DT 검출기 기체 연구의 일환으로 친환경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이태리바리 대학교 그룹에 실측 규모 RPC 3대를 제공. 연구 성과는 J. Instrumentation 18 P02022 (2023년 2월)에 게재함. 2) 소형 prototype 검출기를 제작 시험하여 2차원 tracking 기능을 검증함. 연구 성과는 국제 저명학회인 2020 RPC conference에서 발표하였으며 K. S. Lee, JINST 15 C11001 (2020년 11월)에 게재함. 3) 기능이 개선된 소형 SHiP RPC을 대상으로 친환경 검출기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JKPS 80 1 (2022년 1월)에 게재함. 비저항 검출기 활용 우주선 뮤온 래디오그래피 기술 연구 핵반응로 연료 대상 뮤온 레디오그래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단위 검출기 설계/제작/시험 결과는 2020년 11월과 2021년 11월 한국물리학회에 발표함. 비저항 검출기 활용 입자선 치료빔 검증 기술 연구 Biological tissue 대상 GEANT4 시뮬레이션과 다중겹 비저항 검출기를 설계/제작/시험하고 그 연구 성과를 2022년 CERN에서 개최된 9월 국제전문학회인 2022 RPC Conference와 2022년 4월 한국물리학회에서 그 연구 성과를 발표함. CERN Phase-2 LHC CMS 실험 iRPC에 대한 성능 검증 및 내방사선 특성 연구 CMS iRPC에 대한 quality Control protocol 완성하고 1차 제작된 iRPC gas gap에 대한 QC 검증과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 본 연구진이 보유한 감마선 조사장치 활용 1차 내방사선 시험을 완료하였고 그 성과는 한국물리학회에서 수 차례 발표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성과: 1) CERN SHiP 실험 뮤온 궤적 맞춤 RPC 연구: SHiP 실험뿐만 아니라 유사한 뮤온 검출 기능을 요구하는 대형 입자물리학 실험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판단함. 2) CERN Phase-2 LHC CMS 실험 iRPC에 대한 성능 검증 연구: 제작된 RPC 검출기 성능 검사와 내방사선 특성을 검증하는 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여함. 3) RPC 기술 적용 뮤온 레디오그래피와 입자선 치료 검증 연구: 본 연구는 단순한 검출기 R&D 단계 연구가 아니라 입자물리학 분야의 새로운 물리학을 여는 첨단 실험을 위해 국내 검출기 기술을 적용하여 검출기 시스템을 완성하고 국내외 많은 연구진과 함께 당면한 입자물리학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데 기여한 판단함. 활용계획: 1) CERN SHiP 실험 뮤온 궤적 맞춤 RPC 연구: 2025년 ~ 2028년 계획하고 있는 SHiP beam dump 실험에 활용 예정. 3) 비저항 검출기 활용 입자선 치료빔 검증 연구: 이태리 바리 대학교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추진하여 양성자 치료빔 검증 실험과 BNCT 연구에도 활용 예정. 4) CERN Phase-2 LHC CMS 실험 iRPC에 대한 성능 검증 연구: 향후 2년간 연구를 지속하여 2025년까지 iRPC 설치를 완료하는데 활용 예정.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경세
    •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비저항 검출기;중성미자 실험;하드론 치료;뮤온 래디오그래피;암흑물질; 2. Resistive Plate Chambers;Neutrino experiment;Hardron therapy;Muon radiography;Dark matters;
  • 12233

    2023.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최근 내시경 기술의 발전과 screening 내시경 영향으로 표재성 식도암의 발견 빈도가 늘고 있으나 시술 전 평가를 통해 종양의 침범 깊이를 예측하기가 어려워 불필요하게 수술을 받기도 하고 내시경적 절제 후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함. 하지만 아직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방침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는 내시경적 절제 후 완치에 도달하지 못한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 가이드라인 근거 창출을 위해 추가 수술과 방사선항암치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함. ◼ 전체 내용 1. 림프절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를 시행 후 최종 병리 결과 T1b(점막하 침범) 또는 lympho-vascular 침범이 있는 경우를 연구 대상으로 함. 2. 흉부 식도 또는 위식도접합부 편평상피암을 선정 기준으로 하고 재발성 식도암이거나 기저질환이나 임신 등의 이유로 방사선항암치료나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 기준으로 하여 최종 연구 참여자를 무작위 배정한 뒤 수술(Ivor-Lewis 수술 또는 McKeown 수술) 또는 방사선항암치료(5-FU 4000mg/m2/day on days 1-4 and 22-25 and CDDP 60mg/m2/day on day 1 and 22, radiation dose 50Gy/25Fr, 5days/week) 시행. 3. 각 군 당 목표 대상자 수는 94명이며 3년 생존율을 일차목표로 하여 Kaplan-Meier curve를 구하고 log-rank test로 비교. 이차목표로 1년/2년 생존율, 1년/2년/3년 무재 발생존율, 1년/2년/3년 삶의 질(SF-36, EQ-5D), 시술관련 합병증평가를 시행하고 log-rank test, unpaired t-test 또는 Mann-Whitn ◼ 1단계 ❏ 목표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인프라 구축 및 연구 개시 - 다기관 IRB 승인 및 프로토콜 관리 - eCRF 개발 (eVelos system) -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의 대상자 선별 및 등록 flow 수립 - 무작위 배정 결과에 따라 시행항 수술 또는 방사선항암치료의 기관별 표준화 - 연구 참여자의 의학적 관리와 정기적 추적관찰을 통한 연구대상자 안전성 관리와 질관리 ❏ 내용 - 다기관 다학제 컨소시엄 구축 - 프로토콜 개발 및 eCRF 개발 - 프로토콜 다기관 협의, clinical practice 의 다기관 표준화 -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의 연구 대상자 선별 및 등록 - 무작위배정 결과에 따른 치료 수행과 의학적 관리 - 연구대상자 추적관찰 및 Safefy 관리 - 연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목표 등록환자수 상향조정, ESD 활성화와 등록 활성화를 위한 노력, 참여기관 확대) ◼ 2단계 ❏ 목표 다기관 무작위대조연구(RCT)의 대상자 등록 완료 및 임상시험의 안정적 수행 - 다기관 표준화 - 다기관 다학제 진료체계 유지 및 관리를 통한 프로토콜 관리 - 다기관 임상시험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SAE, 프로토콜 위반 등의 질 관리 - eCRF 개발 및 자료 이관 (MyTrial) ❏ 내용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수행 -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의 대상자 선별 및 등록 (95% 등록 완료) - 무작위 배정 결과에 따른 치료 수행과 의학적 관리 - 연구대상자 추적관찰 및 Safefy 관리 - 연구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다기관 다학제 협의체 운영 - 국립암센터의 eVelos 계약종료에 따라 eCRF 를 MyTrial 로 다시 개발 및 자료 이관 - 연구의 질 향상위한 노력(ESD 활성화와 등록 활성화를 위한 노력, 참여기관 확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림프절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을 시행한 뒤 점막하 침범 또는 lymphovascular 침범이 있어서 추가 치료가 필요할 때, 방사선항암치료가 생존율 측면에서 수술에 비해 비열등 함을 확인하여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수 있음. 2. 수술이 필요한 표재성 식도암 환자에서 방사선항암치료를 시행하고 수술과 비교 분석하여 그 치료 성적을 확인함으로써 대표적 비수술적 치료법인 방사선항암치료의 예후를 결정할 수 있음. 3. 방사선항암치료를 받은 표재성 식도암 환자의 불량한 치료 성적과 연관되는 요인을 찾아내어 수술적 치료의 필수 적응증으로 활용할 수 있겠음. 4. 한국형 다기관 다학제 연구의 모델 제시 1.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수 있는 근거창출. 2.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표재성 식도암 환자에게 비수술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마련 및 예후예측 가능. 3. 방사선항암치료 후 재발한 경우 요인분석을 통해 표재성 식도암에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대한 근거마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홍관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30400
    • Keyword : 1. 표재성 식도암;내시경적 절제;식도절제술;방사선항암치료;무작위대조연구; 2.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Endoscopic resection;Chemoradiotherapy;Esophagectomy;Randomized controlled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