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8 Page 17/1,246

검색
  • 12298

    2023.02.28

    □ 연구개요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어 있는 NQO1은 높은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방사선과 항암제의 독성작용으로부터 암세포를 보호하여 항암요법 저항성을 유도함. NQO1 과발현시 수반되는 내재면역 활성 저해 또한 암세포의 방사선/항암제 저항성을 높이는 원인이라 사료됨. 따라서 본 연구는 1) NQO1의 STING 조절을 통한 면역 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NQO1-STING 매개인자를 발굴하여 2) 발굴인자 조절을 통해 면역 활성과 방사선 저항성 감소를 검증하고 3) 발굴인자 조절시 방사선 감수성 증대를 검증하여 방사선-면역치료효과 최대화를 목표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종양세포에서 NQO1의 STING 활성화 조절 기전 규명 - NQO1의 발현량에 따라 STING signaling을 거치는 면역 활성 반응이 조절되는지 확인한 실험에서 인체 폐암세포주의 NQO1 발현을 siRNA를 이용하여 저해시킨후, 내재면역 활성을 유도하는 p(I:C)를 처리하고 이후 STING 및 하위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NQO1 의 발현이 낮아진 상태일 때 인산화 된 IRF3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NQO1이 STING signaling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함. 발굴인자 조절시 STING 면역활성화 확인 - NQO1과 binding 하는 단백질 IκB-ζ가 STING과의 매개인자임을 확인하고자 종양 세포에 MG132를 처리하여 IκB-ζ를 저해한 조건에서 type I IFN 및 NFκB 활성을 확인하였음. 추가적으로 NQO1 발현 저해시 YAP/TAZ의 핵내 전위를 막아 STING signaling을 활성화 할 수 있는 Ser127 부위 YAP 인산화를 확인하여, 해당 인자 또한 NQO1-STING을 통한 면역활성매개 인자로서 가능성을 시사함. NQO1-STING 조절 면역활성을 통한 방사선 치료효과 확인 - 종양세포의 면역활성 유도물질 type I IFN 분비를 통해 면역세포의 활성이 높아지는지 확인하고자 NQO1 KD 종양세포에 STING 유도를 위한 방사선 처리시 공동배양한 DC에서 면역활성 물질의 발현이 높아짐을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NQO1 조절 STING 활성 매개 신규 인자 제시 - 산화스트레스가 많은 암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암종에서 NQO1이 과발현되어 있으며 방사선/항암제 치료 효과가 미미하며 암의 예후도 좋지 못함. 따라서 해당 암종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면역활성화를 유도하고자함. 현재까지 STING에 의한 면역활성을 일으키는 인자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ROS에 의한 dsDNA 생성이 원인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그러나 ROS 증가에도 STING 활성이 감소하는 연구 결과로 미루어보아 NQO1-STING 사이의 조절인자가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해당 인자를 2종 발굴하여 이를 면역활성을 조절하는 항암면역치료제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임. NQO1-STING 면역활성으로 방사선 저항성을 줄여 저선량 방사선치료 가능성 제시 - 기존에 치료 효과가 있는 방사선량은 3✕8Gy 수준으로 고선량이며, 고선량의 방사선은 치료목적임에도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어 치료 부작용을 유발함. 본 연구의 결과로 면역활성을 조절하는 인자를 발굴하여 면역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인다면 기존에 방사선 치료에 활용되는 선량보다 낮은 선량을 이용하여 같은 치료효율을 낼 수 있을 것이므로 종양 치료의 중요한 기반연구 자료가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효정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STING 신호전달;종양환경;면역활성;방사선치료; 2. NQO1;STING signaling;Tumor environment;Immune activation;Radiotherapy;
  • 12297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신뢰도 있는 우주방사선 계측기 개발 및 검증, 항공기에서 실측 실험 장기 데이터베이스 확보를 통한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고도화 및 현업화 ◼ 전체 내용 ❍ TEPC를 활용한 우주방사선 실측실험 및 실측 데이터베이스 확보 ❍ 실측값 기반 KREAM 모델 검증 및 고도화 ❍ KREAM 모델 현업화 ◼ 1단계[2년] ❏ 목표 ㅇ TEPC를 활용한 항공기 우주방사선 실측실험 ㅇ KREAM 모델 사전 검교정 ㅇ 항공기 실측 실험 및 TEPC 개선 ㅇ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KREAM 개선 ㅇ 실측 자료 기반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고도화 ❏ 내용 ㅇ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방안 선행 연구 조사 ㅇ TEPC, Liulin 관측기 활용 항공기 우주방사선 실측실험 시작 ㅇ KREAM 고도화를 위한 사전 검교정 ㅇ 국제선 항공기에 TEPC 탑재 실험 - 실측 자료 수집 시작 ㅇ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 KREAM 개선 - GK-2A의 KSEM 관측값을 적용한 SCR 스펙트럼 계산 ㅇ 항공기 실측실험 자료 기반 KREAM 모델 고도화 - 실측실험 관측값을 기반으로 한 KREAM 모델 개선 ◼ 2단계[1년] ❏ 목표 ㅇ 항공기 실측 실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ㅇ KREAM 모델 현업 적용 ㅇ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 안전관리 개선 ❏ 내용 ㅇ 항공기 우주방사선 실측 실험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제선 항공기의 TEPC 장기 관측 데이터베이스 확보 - 관측값을 기반으로 한 KREAM 모델 개선 ㅇ KREAM 모델 현업화 - 항공사 및 일반인용 웹서비스 구현 □ 연구개발성과 안전기술보고서 6건, 국내논문 3건, 국내 특허 2건 출원, 국제 특허 1건 등록, 학술대회 발표 6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ㅇ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 의해서 항공기 승무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관리할 때, 신뢰도를 확보한 우주방사선 예측 모델에 기반하여 피폭량을 산출할 수 있음. ㅇ 항공기 고도에서 우주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의 신뢰도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황정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천문연구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우주방사선;실측실험;모델검증;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조직등가비례계수기; 2. Space Radiation;Aircraft Measurement;Model Verification;Safety Management Act on Environment Radiation;Tissue Equivalent Proportional Counter;
  • 12296

    2023.02.28

    □ 연구개요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생물학적 분류, 유전학적 분류에 따른 뇌전이암의 위치 별 발생확률 분석을 통하여 발생확률이 높은 영역의 조사량을 늘려, 전이암 발생확률을 낮추고, 발생확률이 낮은 영역의 조사량을 낮추어, 인지장애, 감정장애, 운동장애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음. 궁극적으로 환자 개인별 맞춤 치료를 실현하여 뇌전이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음. 추가적으로 뇌전이암의 병태생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위의 연구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폐암 뇌전이암의 뇌영역별 확률지도를 구축하였습니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폐암 뇌전이암은 원위 중뇌동맥 (MCA) 끝단과 소뇌영역에서 잘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해마 영역에 뇌전이가 잘 생길 수 있는 임상 요인의 탐색을 실시하였고, 두개외 전이가 있거나 EGFR 수용체 변이가 있는 경우 해마에 전이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추가로 인공지능을 응용하여 뇌전이암의 진단 및 분획 자동화 프로그램을 구축하였습니다. 개발한 뇌전이 진단 및 프로그램 기반 치료반응 평가가 기존 평가 방법과 차이 나지 않음을 확인하여서 임상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이번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뇌전이암 발생확률지도를기반으로 하여 뇌전이암의 발생확률이 높은 영역에는 방사선 조사량을 높여서 뇌전이암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는 뇌전이암 환자의 기대 수명률을 높일수 있습니다. 반대로, 뇌전이암의 발생확률이 낮은 영역에는 방사선 조사량을 줄여서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인지 기능저하, 우울증과 같은 감정 장애, 운동장애 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두번째, 뇌전이암의 치료 평가는 주로 정성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측정자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뇌전이암 분획 알고리즘 구축으로 뇌전이암의 용적을 자동으로 계산이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뇌전이암의 정량적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정확한 뇌전이암의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번째, 소아 임파선종 환자나, 다른 뇌종양 환자들에게도 위치기반 분석법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를 치료에 응용할 수 있고 질환의 병태생리를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안성준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뇌전이암;방사선 치료;폐암;맞춤치료;뇌인지 장애; 2. Brain metastasis;Radiation therapy;Lung cancer;Personalized therapy;Neuro cognitive decline;
  • 12295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산재되어 있는 미세먼지 데이터 수집/정제/분석/적재 - 공공과 민간에 산재된 미세먼지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품질관리를 통해 고해상도·고품질의 미세먼지 관측자료 생산 - 미세먼지 관측 공백 해결을 위한 위성 기반 미세먼지 추정 알고리즘 개발 및 생산 - 미래의 대기질 예측을 위한 하이브리드 예측 시스템 구축 - 수집/분석된 미세먼지 관측/위성/수치모델 데이터의 분석 및 DB 적재 ○ 다양한 사용자에게 공유하기 위한 미세먼지 서비스 통합 플랫폼 구축 - 연구자, 교육현장, 산업군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데이터 제공하기 위한 API 및 사용자 분석도구 개발 - 미세먼지 관측/위성/수치모델 데이터의 다양한 분야 연구자 공유를 통한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 향상 - 지자체, 보건 및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자 분석도구 제공을 통한 서비스 활용도 제고 ○ 리빙랩 운영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의견 수집 및 반영 - 정부와 민간의 공기질 정보 수집체계 연동을 통한 리빙랩 구성 - 사용자 의견 수집/분석/피드백을 통한 서비스 플랫폼 실증환경 구축 및 운영 - 리빙랩을 통해 조사된 다양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플랫폼 보완 ◎ 전체 내용 o 사용자 중심 미세먼지 서비스 통합 플랫폼 개발 -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난 사용자 중심의 양방향 통합 서비스 플랫폼 - 다양한 산업군의 사용자 니즈가 반영된 분석도구 제공 o 사용자·연구개발자·생산자 선순환 체계 정립 - 리빙랩 활동을 통한 사용자·연구개발자·생산자 모두가 주도하는 다방향 소통의 체계 정립 o 고품질 자료 생산을 위한 통계 기반 및 인공지능 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 개발 o 위성기반 고해상도 미세먼지 데이터 추정알고리즘 및 자동생산 프로그램 개발 o 하이브리드 기반의 미세먼지 예측정보 제공 프로그램 개발 o End Product - 사용자 중심 미세먼지 서비스 통합 플랫폼(SYS) - 통계 및 인공지능 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SW) - 위성 미세먼지 생산 알고리즘 및 자동생산 프로그램(SW) - 하이브리드 기반의 미세먼지 예측정보 제공 프로그램(SW) o 주요기능 -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난 사용자 중심의 양방향 통합 서비스 플랫폼 - 리빙랩 수행을 통한 사용자의 미세먼지 데이터에 대한 관심 및 이해도 향상 - 다양한 관측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 데이터를 제거하여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품질관리 시스템 - 공간적 초고해상도 위성관측 자료 및 지상의 조밀한 센서 관측 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PM2.5 알고리즘 및 자동 산출시스템 - 다양한 사용자가 활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기반의 미세먼지 예측 정보 제공 기능 o 적용범위 - 사용자의 의견 수렴을 통한 맞춤형 데이터 지원 및 혁신 플랫폼을 통한 미세먼지 사회문제 해결 연구 활성화 가능 - 보건, 행정, 산업 등 타 분야 데이터와의 융합 분석을 통한 다양한 분야의 미세먼지 관련 사회문제 진단 및 해결 방안 수립 시 활용 가능 □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성과 ○ 산재되어 있는 미세먼지 데이터 수집/정제/분석/적재 - 환경부 에어코리아 대기오염정보, 서울시 S-DoT 환경정보, KT Airmap 관측정보, Observer 관측정보의 과거자료와, 환경부 에어코리아 대기오염정보, 서울시 S-DoT 환경정보의 실시간자료 확보 - 미세먼지 고해상도 격자 관측 데이터 생산 : 미세먼지 관측자료를 이용한 격자데이터 생성은 기존 관측자료의 시공간적 불균일성을 해소하여 보건환경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 수집/분석된 미세먼지 관측/위성/수치모델 데이터의 분석 및 DB 적재 ○ 통계 및 인공지능 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개발 - 고품질 자료 생산을 위한 통계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 개발 - 기존에 IoT 미세먼지 데이터는 공간적 튐값을 제대로 탐지 및 제거하려면 전문인력이 직접 모니터링해야 하는 한계가 있어 실시간 처리 및 서비스에 한계가 있었는데, 이번에 개발한 품질관리 알고리즘은 이러한 부분을 해결해 고품질의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우수성을 확보 - 특허출원 및 소프트웨어 등록 ○ 위성 미세먼지 생산 알고리즘 및 자동생산 프로그램 개발 - 위성 AOD기반 고해상도(0.5kmx0.5 km) 미세먼지 데이터 추정 알고리즘 및 자동생산 프로그램 개발 - 공간적 초고해상도 위성관측 자료 및 지상의 조밀한 센서 관측자료의 구축 및 고해상도 PM2.5 추정을 위한 머신러닝 시스템 구축 - 부산 지역 지표 관측망 250-300여개 자료 구축 및 머신러닝 적용 시스템 구축 - 고해상도 AOD (2 km 격자) 자료 준비 및 활용 - 머신러닝 (Random forest) 기반 PM2.5 추정 초기 결과 목표로 삼았던 기준 (관측값 대비 R^2 = 0.5) 상회 확인 - 부산 지역 행정 구,동별 미세먼지(PM2.5) 분포 특성 (2019년) 및 부산 지역 동별,학교별 미세먼지(PM2.5) 분포 특성 (2019년) 보고서 작성 및 배포 ○ 하이브리드 기반의 미세먼지 예측정보 제공 프로그램 개발 - 하이브리드 고해상도 미세먼지 에측 모델 및 소프트웨어 개발 - CMAQ, 통계모델, AI모델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 - 특허 출원 및 소프트웨어 등록 ○ 다양한 사용자 중심 미세먼지 서비스 통합 플랫폼 개발 - 미세먼지 통합 서비스 플랫폼 설계 : 현장검증단 및 전문가 자문 내용을 반영하여 시나리오 구체화(어디서, 누구에게, 무엇을) - 미세먼지 서비스 통합 플랫폼에 현장검증단 및 전문가 자문 내용을 적극 반영하여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으로 개발 - 다양한 미세먼지 관측정보, 예측정보(CMAQ, 통계모델, AI모델, 에어코리아 예보)를 데이터 및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미세먼지 통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 연구자, 교육현장, 산업군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데이터 제공하기 위한 API 개발 - 지자체, 보건 및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자 분석도구 개발 및 제공 : 분석도구 기획설계 및 개발 후 현장검증단 및 리빙랩 의견을 보완하여 고도화 ○ 리빙랩 운영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의견 수집 및 반영 - 현장검증단 운영을 통한 성과물 품질 향상, 서비스 보완 사항 피드백 수집/분석, 서비스 고도화 - 미세먼지 연구 정보 교류 심포지움, 미세먼지 예측연구 기술회의 및 기술협의회 세미나를 통한 범부처 미세먼지 과제와의 협력 - 큰 리빙랩 운영 : 전문가 자문위원(연구자, 공공기관, 민간 산업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1차년도에 통합 서비스 플랫폼 내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고, 2차년도에 통합 서비스 플랫폼 개방 후 데이터 신뢰도, 기술적 제안 등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여 플랫폼 개선에 반영 - 작은 리빙랩(PNU 리빙랩) 운영 : 1차년도에 부산대학교 미세먼지 관련학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및 미세먼지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 사전 파악, 2차년도에 교내 미세먼지 관측 수행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 분석 도구 사용 실습을 통해 잠재적 플랫폼 사용자 육성 ○ 연구개발 결과물 실질 활용 - 대전광역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미세먼지 조밀측정망 구축 자문 - 충청남도 마을대기 측정망 품질관리 알고리즘 활용 - 국립기상과학원 국내 황사 감시 및 예보 활용 -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미세먼지 현황 모니터링과 관련 연구 활용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환경 빅데이터 플랫폼 개방 기상기후 민간데이터 유통 활용 - 대전광역시 미세먼지 통합 서비스 플랫폼 활용 및 데이터 연계 협의 - 추가 활용 협의 추진 · 부산광역시 미세먼지 통합 서비스 플랫폼 활용 · 국립수산과학원 해양 미세먼지 관측망 확대 및 대기-해양 미세먼지 상호작용 연구 추진 2. 정량적 성과 ○ 특허 출원 3건 -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예측하는 서버 및 방법 - IoT센서 오류 탐지 장치 및 방법 - 학습모델을 이용한 센서의 데이터 이상을 탐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S/W등록 8건 - 미세먼지 고해상도 하이브리드 예측 시스템 - 미세먼지 고해상도 격자 관측 데이터 생산 소프트웨어 - 미세먼지 예측정보 생산시스템 - 미세먼지 데이터 관리 시스템 - 통계기반 미세먼지 데이터 이강삼지 SW - 인공지능 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 - 위성 기반 미세먼지 생산 시스템 - 인공지능 기반 공기질 예측 프로그램 ○ 논문(SCIE) 게재 1건 - Comparison of PM2.5 in Seoul, Korea estimated from the various ground-based and satellite AOD ○ 국내 및 국제 학회발표 9회 -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년 제64회 정기 학술대회 - 2022년 한국기상학회 관측 및 예보/대기물리분과 봄학술대회 - 2022년 한국기상학회 봄 분과 학술대회 - AMS 16th Conference on Atmospheric Radiation - AMS 16th Conference on Cloud Physics - 제3회 한국지구과학연합회 연례학술대회 - 2022년 한국기상학회 정기학술대회 - 2022년 한국기상학회 정기총회 및 가을학술대회 - 2022년 한국대기환경학회 정기학술대회 ○ 성과홍보 20건 - 신문뉴스기사 20건 ○ 사회문제해결 연구성과에 따른 서비스 3건 - 미세먼지 통합 서비스 플랫폼 개발 - 미세먼지 이상감지 및 품질관리 솔루션 - 미세먼지 통합 서비스 플랫폼 활용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방안 (1) 통계 및 인공지능 기반 품질관리 시스템 솔루션화 - 사용자 플랫폼의 수집 단계와 분석 단계 사이에 솔루션을 탑재하여 오류 데이터로 인한 분석 영향을 최소화하고 유의미한 분석결과 도출을 가능케 함 (2) 국책 연구원과의 기술 제휴 - 연구소와의 연구 사업 또는 기술제휴를 통해 본 사업에서 확보한 머신러닝 기반 PM2.5 표출 시스템을 정책 활용 기반으로 적용하는 방법 모색 - 자치단체 지역 미세먼지 환경 대책을 마련하는데 중요하게 활용 (3) 양방향 소통형태의 리빙랩 플랫폼 현장 적용 - 사용자 참여형·개방형 혁신 플랫폼으로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 협력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 혁신활동을 사용자 주도 상향식(bottom-up) 방식의 R&D 프로세스로 사용자 참여 확대 - 사용자가 체감하는 수요 발굴과 기술개발을 통하여 사용자 주체의 역량 및 참여도 제고 ○ 기대효과 (1) 기술적 측면 - 한반도에서 지상 및 위성 자료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법 활용 중 현재까지 가장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대상으로 수행한 결과를 확보. - 연구자 간 편리한 자료공유 및 사용자와 생산자와의 양방향 소통 - 다양한 종류의 관측자료를 융합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연구결과 도출 (2) 경제적, 산업적 측면 - 대기환경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위성 사업 추진 및 관련 위성자료 정보 활용 시장의 확대 - 미세먼지 오염이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업종별로 보다 상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시금석 마련 - 연구개발과정에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므로, 최종 플랫폼 제공 후 발생하는 서비스 개선 비용 절감 (3) 사회적 측면 -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보건 분야에서 코호트 연구 등에 본격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 발생시 미세먼지 오염도 변화 진단을 구별 행정단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 제시 - 발전된 미세먼지 데이터 융합플랫폼 서비스 제공으로 국가 미세먼지 정책 신뢰도 향상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영도
    • 주관연구기관 : (주)웨더아이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미세먼지;서비스 플랫폼;사회문제해결;예보정확도; 2. Particulate Matter;Service Platform;Social Problem Solving;Forecast Accuracy;
  • 12294

    2023.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최근 내시경 기술의 발전과 screening 내시경 영향으로 표재성 식도암의 발견 빈도가 늘고 있으나 시술 전 평가를 통해 종양의 침범 깊이를 예측하기가 어려워 불필요하게 수술을 받기도 하고 내시경적 절제 후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함. 하지만 아직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방침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는 내시경적 절제 후 완치에 도달하지 못한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 가이드라인 근거 창출을 위해 추가 수술과 방사선항암치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함. ◼ 전체 내용 1. 림프절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를 시행 후 최종 병리 결과 T1b(점막하 침범) 또는 lympho-vascular 침범이 있는 경우를 연구 대상으로 함. 2. 흉부 식도 또는 위식도접합부 편평상피암을 선정 기준으로 하고 재발성 식도암이거나 기저질환이나 임신 등의 이유로 방사선항암치료나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 기준으로 하여 최종 연구 참여자를 무작위 배정한 뒤 수술(Ivor-Lewis 수술 또는 McKeown 수술) 또는 방사선항암치료(5-FU 4000mg/m2/day on days 1-4 and 22-25 and CDDP 60mg/m2/day on day 1 and 22, radiation dose 50Gy/25Fr, 5days/week) 시행. 3. 각 군 당 목표 대상자 수는 94명이며 3년 생존율을 일차목표로 하여 Kaplan-Meier curve를 구하고 log-rank test로 비교. 이차목표로 1년/2년 생존율, 1년/2년/3년 무재 발생존율, 1년/2년/3년 삶의 질(SF-36, EQ-5D), 시술관련 합병증평가를 시행하고 log-rank test, unpaired t-test 또는 Mann-Whitn ◼ 1단계 ❏ 목표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인프라 구축 및 연구 개시 - 다기관 IRB 승인 및 프로토콜 관리 - eCRF 개발 (eVelos system) -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의 대상자 선별 및 등록 flow 수립 - 무작위 배정 결과에 따라 시행항 수술 또는 방사선항암치료의 기관별 표준화 - 연구 참여자의 의학적 관리와 정기적 추적관찰을 통한 연구대상자 안전성 관리와 질관리 ❏ 내용 - 다기관 다학제 컨소시엄 구축 - 프로토콜 개발 및 eCRF 개발 - 프로토콜 다기관 협의, clinical practice 의 다기관 표준화 -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의 연구 대상자 선별 및 등록 - 무작위배정 결과에 따른 치료 수행과 의학적 관리 - 연구대상자 추적관찰 및 Safefy 관리 - 연구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목표 등록환자수 상향조정, ESD 활성화와 등록 활성화를 위한 노력, 참여기관 확대) ◼ 2단계 ❏ 목표 다기관 무작위대조연구(RCT)의 대상자 등록 완료 및 임상시험의 안정적 수행 - 다기관 표준화 - 다기관 다학제 진료체계 유지 및 관리를 통한 프로토콜 관리 - 다기관 임상시험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SAE, 프로토콜 위반 등의 질 관리 - eCRF 개발 및 자료 이관 (MyTrial) ❏ 내용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수행 - 다기관 다학제 무작위배정 대조실험연구(RCT) 의 대상자 선별 및 등록 (95% 등록 완료) - 무작위 배정 결과에 따른 치료 수행과 의학적 관리 - 연구대상자 추적관찰 및 Safefy 관리 - 연구대상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다기관 다학제 협의체 운영 - 국립암센터의 eVelos 계약종료에 따라 eCRF 를 MyTrial 로 다시 개발 및 자료 이관 - 연구의 질 향상위한 노력(ESD 활성화와 등록 활성화를 위한 노력, 참여기관 확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림프절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을 시행한 뒤 점막하 침범 또는 lymphovascular 침범이 있어서 추가 치료가 필요할 때, 방사선항암치료가 생존율 측면에서 수술에 비해 비열등 함을 확인하여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수 있음. 2. 수술이 필요한 표재성 식도암 환자에서 방사선항암치료를 시행하고 수술과 비교 분석하여 그 치료 성적을 확인함으로써 대표적 비수술적 치료법인 방사선항암치료의 예후를 결정할 수 있음. 3. 방사선항암치료를 받은 표재성 식도암 환자의 불량한 치료 성적과 연관되는 요인을 찾아내어 수술적 치료의 필수 적응증으로 활용할 수 있겠음. 4. 한국형 다기관 다학제 연구의 모델 제시 1. 표재성 식도암에서의 치료 가이드라인을 정립할 수 있는 근거창출. 2.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표재성 식도암 환자에게 비수술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마련 및 예후예측 가능. 3. 방사선항암치료 후 재발한 경우 요인분석을 통해 표재성 식도암에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대한 근거마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김홍관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30400
    • Keyword : 1. 표재성 식도암;내시경적 절제;식도절제술;방사선항암치료;무작위대조연구; 2.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Endoscopic resection;Chemoradiotherapy;Esophagectomy;Randomized controlled trial;
  • 12293

    2023.01.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SPMs의 FPR2/ALX 매개로 한 방사선 폐질환 치료 신약 후보 물질 도출 전체 내용 FPR2-SPMs 방사선 폐렴 및 섬유화 억제 신약후보물질 도출 및 FPR2/ALX silencing system 기반 억제 기전 규명 1단계 (해당 시 작성) 목표 SPMs(LXA,RvD1, Protectins, Maresins)의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세포/마우스)에서의 염증종결 및 폐섬유화 억제효과 스크리닝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한 폐염증 종결 인자 발굴 내용 ■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세포/마우스)에서 SPMs으로 염증종결 및 폐섬유화 효능 screening. ■ 방사선유도폐섬유화조직의 유전자 분석을 통한 방사선 치료 후 폐섬유화 예후 및 예측인자 발굴 ■ FPR2 KO mouse 구축 2단계 (해당 시 작성) 목표 in vitro/in vivo FPR2/ALX silencing system을 이용한 방사선폐섬유화 모델에서 염증종결과 퍠섬유화 억제 기전 규명 내용 ■ FPR2 cell-based assay (FPR2 Knock down cell) 제작, FPR2에 의한 방사선폐렴 및 섬유화 억제 기전 연구 ■ Wild type 및 FPR2/ALX KO mouse의 방사선폐렴 및 섬유화 억제 기전 연구 3단계 (해당 시 작성) 목표 방사선 폐섬유화 환자샘플을 이용한 FPR2/ALX발현 및 FPR2-SPMs관련 폐섬유화 조절 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내용 ■ 방사선 폐섬유화 환자샘플을 이용한 FPR2/ALX발현 확인 ■ FPR2-SPMs관련 폐섬유화 조절 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연구개발성과 전문학술지 논문게재 논문1편, 학술대회 발표 2건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방사선 폐질환 동물모델에서 폐렴 및 폐섬유와 억제 조절인자의 발굴을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폐섬유화 신약개발에 기여할 수 있고, 방사선 치료 부작용 제어 제뿐만 아니라 방사선 피폭과 같은 방사선 피폭 보호제 개발의 기반기술로도 활용되어질 수 있음. · 연구결과는 실제 임상에서 폐암치료 시 고려되는 요인들을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므로 향 후 임상연구 진행에 있어서도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함. · 실제 임상 방사선 치료기법을 반영하는 소동물 모델은 섬유화질환, 특히 방사선유도 섬유화 질환과 관련된 산업 분야 원천기술의 확대로 인한 기술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됨. · 그 외에도 최근 들어 환경오염 및 바이러스 감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세먼지 및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등 사회 환경적 요인에 의한 급격한 폐질환 및 폐섬유증 증가에 대한 사회적 대비책으로도 적응증 확대 가능성 높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현진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 유도 폐질환;폐렴;폐섬유화; 2.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SPMs);Radiation-induced lung injury;Pneumonia;Pulmonary fibrosis;Formyl peptide receptor 2(FPR2/ALX);
  • 12292

    2022.12.3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20세기 말에 발견된 chirped pulse amplification 덕분에, 레이저의 세기는 지금까지 비약적으로 상승해왔다. 이 추세라면 10년 후에는 레이저가 Schwinger limit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땐 우주에서나 볼법한 초에너지 현상들을 실험실에서도 관측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그 중 radiation reaction(RR)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1~2년 뒤의 레이저 세기로도 관측될 가능성이 있어서, 많은 실험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문제는, 실험 장비의 발전에 비해 RR 이론의 발전이 많이 더디다는 것이다. 심지어, 그나마 있는 이론모델들은 모순적이거나 혹은 너무 복잡해서 실험에 적용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 이대로면 정작 실험에서 RR이 관측되더라도, 그 결과가 제대로 분석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곧 있을 RR 실험에 적용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좀 더 일반화된 무모순적인 RR 이론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처음에는 한 입자에 대한 RR 이론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다입자의 경우로 확장시킬 것이다. 그럼으로써 실제 플라즈마와 초강력 레이저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전체 내용 Radiation reaction(RR)이란 입자가 광자를 방출하면서 느끼는 반작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선 한 하전입자가 임의의 상황에서 느끼는 RR을 이론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첫번째 단계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맥스웰 방정식을 통해 '로렌츠 수축이 일어나는 하전입자'의 전자기장을 계산하고, 결과적으로 그 입자가 느끼는 로렌츠 힘을 계산한다. 로렌츠 수축을 고려하는 것은 기존의 RR 연구와는 매우 다른 차별점으로써, 이 때문에 입자의 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운동방정식에 추가되게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 추가된 항은 마치 입자의 유효질량이 더 커진 것처럼 보이게 하며, 결과적으로 이는 입자의 가속을 더욱 힘들게 만든다. 이러한 질량 증가는 RR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기존의 RR이론에선 한번도 예측된 적이 없는 현상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오직 등가속 운동하는 입자의 경우만 연구했으나, 이번 창의도전에서는 일반화된 운동을 하는 (수축된) 입자가 어떤 RR을 느끼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해보았다. 특히 로렌츠 수축하는 입자 모델을 정확하게 수학적으로 정의했고, 이 입자의 일반적인 운동에 대한 RR을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얻어진 RR이 적용된 새로운 운동방정식은 기존의 이론이 제시했던 방정식보다도 무모순적이고 덜 복잡하다. 따라서 이번 과제의 목표였던, RR 실험을 위한 적절한 운동방정식이 얻어졌다. 연구개발성과 이 연구를 시작할 땐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되었던 ‘로렌츠 수축하는 입자 모델’의 이론적인 정립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일반적인 운동을 하는 수축하는 입자의 RR을 계산하는게 가능해졌고, 실제로 엄밀한 수학을 통해 이를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원래는 몇몇 특수한 운동에 대해서만 RR을 계산한 후 일반적인 RR을 추측하는 게 연구계획이었다.). 이렇게 계산된 RR을 운동량 보존식에 대입하여, 새로운 운동방정식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일단 이렇게 얻어진 새로운 방정식은 기존의 이론과 조금 다르며, 이러한 차이에 의해서 기존의 이론이 내포했던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되었다. 기존의 이론은 입자가 외부 필드 없이도 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했고, 또한 재규격화라는 추가적인 가정이 있어야만 입자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 얻어진 방정식은 위의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고, 더욱이 기존의 이론보다도 더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된다. 즉, 이번 과제의 연구목표인 ‘실험에 사용될 수 있는 무모순적이고 더 간단한 운동방정식’을 얻어졌다.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만약 완성된 이론이 RR 실험 결과를 제대로 설명한다면, 이는 100년 이상 이어진 고전전자기학의 RR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된다. 그 외의 부수적인 결과로써, 로렌츠 팩터(γ) 외에도 입자의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또다른 팩터가 발견되었다. 로렌츠 팩터가 속도의 함수인 것과 달리, 새로운 팩터는 가속도의 함수로 나타났다. 이는 입자의 질량(관성)에 대한 개념을 확장시켜줄 것이다. 또한, 한 입자에 대한 이론 정립이 마무리되었으므로, 다입자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확장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실의 RR 실험에서 한 입자만 다루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다입자 시스템에 대한 RR 이론 정립이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다입자 시스템에서의 RR 모델에 대한 뚜렷한 시작점을 제시하므로, 추후 있을 다입자 RR이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욱이,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맥스웰 방정식에서 특수한 입자모델을 고려한 후 전자기파의 RR을 계산)을 잘 활용하면,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통해 중력파에 대한 RR도 계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는 우주에서 나타나는 매우 강력한 radiation을 설명하는 새로운 도구가 될지도 모른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태연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 12291

    2023.02.28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생활 속 방사선 노출 위험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독성발현경로 (AOP) 응용 방사선 위험 정밀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백혈병 모델동물 혈액, 조직, 세포외분비 나노입자체 변화 등 방사선 노출 주요 현상(KE, key event)과 백혈병 발생 악영향 (AO, adverse outcome)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방사선 노출 인체 혈액 시료를 활용한 방사선 분자독성표지자 (molecular bioindicator) 선도물질의 유효성 검증 등을 수행하여 개인 방사선 노출 잠재적 위험 판별 기술개발 원천지식을 제공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본 연구과제 제안 당시의 목표에 대해 아래와 같이 모두 달성하였음 ◦모델 동물을 이용한 방사선 피폭 백혈병 위험성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방사선 피폭 독성발현경로 선도그룹 조사정보 바탕의 방사선 피폭 백혈병 위험 평가 모델시스템을 구축 운영하였으며, 계획보다 많이 위험성 평가를 시행하였음 - 백혈병 진단 및 추적 검사에 필요한 혈액 및 조직 시료 분석을 독성발현경로 (AOP) 플랫폼 기준으로 분자 (DNA 손상), 세포 (혈구 세포, 세포소기관 변화), 조직 및 기관 (혈액, 비장, 흉선, 림프절 등 백혈병 관련 기관), 동물 개체 (체중, 생존율)에서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음 - 최초 계획에 없던 신규 분석 실험 (이미지 유세포 분석, 전자현미경 분석, 나노 입자체 추적분석 등)을 도입하여 백혈병 진단 및 검증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였음 ◦혈액 세포외분비 나노입자체를 이용한 방사선 피폭 흡수선량평가 생체지표 발굴 - 모델동물 혈액에서 확인한 세포외분비 나노입자체의 방사선 반응성 (doseresponse relationship)을 인체 혈액에서 검증하였으며, 100 mSv 이하 매우 낮은 수준의 방사선 흡수선량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 원천지식을 확보하였음 ◦BBDR (Biologically based dose response) 기반 피폭 위험 질환 평가 함수 모델 개발 - 방사선 피폭 백혈병 위험성 평가 모델 마우스에서 수집한 생물학적 시료 데이터를 근거로 방사선 노출 이후 백혈병 주요 진단 인자인 smudge cells 발생에 대한 함수 모델을 제시하였음 ◦분자독성표지자 활용 방사선 피폭 백혈병 위험 진단 실용화 가능 기술 검토 - 방사선 신호전달 매개체인 나노입자체 성분 분석을 통해 확보한 후보 miRNA의 희소성을 고려하여 검출 수용력 확대 마이크로 닷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칩 생산 기술을 제안하여 실용화 가능 기술 검토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개발성과 주요 결과는 OECD AOP-wiki DB (AOP432, Deposition of Energy by Ionizing Radiation leading to Acute Myeloid Leukemia)에 제공되어 종합적인 피폭 질환 위험성 평가에 활용될 것이며, UNSCEAR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 보고서에 등재되도록 추진하여 전 세계 연구자와 공유될 것임 - 동료 심사 논문 성과 발표 이후 후속 사업추진을 통해 도출된 선도물질의 질병 예측 유효성을 심화검토하고, 본 과제에서 제시한 검출역량 확장 마이크로칩 기술을 통해 피폭 질환 예측 진단 키트 상용화를 기대할 수 있음 - 혈액암 대상 방사선 피폭 위험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암 이외의 질환(심혈관 질환, 면역질환, 백내장, 내분비계 질환 등)에 대해서도 방사선 피폭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방사선 피폭에 대한 사회적 불안 경감과 안전한 방사선 이용의 목적에 이바지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성기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방사선;위험성 평가;독성발현경로;세포신호전달;분자독성지표; 2. radiation;risk assessment;AOP;signal transduction;bio-marker;
  • 12290

    2022.12.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습식저장-운반-건식저장을 아우르는 처분전 사용후핵연료의 관리단계별 핵심 안전위협 요소를 평가하여 규제허용치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후핵연료의 종합 구조안전성에 대한 안전규제체계를 개발 ◼ 전체 내용 ① 수소화물 장입 총량 및 석출량에 따른 정량적 습식저장 피복관의 연성평가 - 피복관에 수소를 장입시켜 연소도 효과를 모사 - 온도조절을 통하여 피복관내에 석출되는 수소량을 제어하며 고리압축 연성평가 - 허용가능 수소장입총량(연소도) 도출 ② 사용후핵연료 피복관 충격파괴 평가 - 사용후 핵연료 모사 충격파괴 실험장치를 설계 및 구축 - 피복관 시편 내부를 가압하고 온도를 제어하며 충격파괴실험 수행 - 수소장입총량(연소도) 에 따른 허용가능 연료봉 온도 및 충격량 도출 ③ 다축응력 사용후핵연료 피복관의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수소 장입량 및 응력분포에 따른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치를 실험적으로 평가 - 고해상도 화상관련법 (DIC) 장치를 활용하여 국부적으로 측정된 인장응력에 기인한 수소화물의 재배열 관측 - 수소장입총량(연소도)에 따른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 피복관 응력 및 온도 도출 ④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안전규제 체계개발 - ①-③에서 도출된 개별인자들을 종합하여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안전규제체계를 구축하고 규제인자를 제안 ◼ 1단계 ❏ 목표 ○ 기초 실험장치 구축 및 기초실험 수행 ❏ 내용 ○ 습식저장 피복관의 연성평가 - 수소장입 및 석출량(온도)에 따른 고리압축 실험 수행 - 경수로 정상상태 부식모사 Autoclave 실험장치 구축 ○ 피복관 충격인성 평가 - 충격파괴 실험 장치 설계 및 구축 ○ 단축응력 및 다축응력에 의한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단축응력 수소화물 재배열 실험장치 설계 및 구축, 수행 - 피복관 다축응력 실험장치 설계 및 구축 ◼ 2차년도 ❏ 목표 ○ 1차년도 기초실험결과 분석 및 보완, 심층연구 수행 ❏ 내용 ○ 습식저장 피복관의 연성평가 - 허용가능 최대 연소도 (수소장입총량) 및 피복관 온도 도출 ○ 피복관 충격인성 평가 - 연료봉내압과 수소 장입 및 석출량에 따른 최대허용 충격량 평가수행 ○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수소 장입량 및 다축 응력분포에 따른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치 탐사 ◼ 3차년도 ❏ 목표 ○ 기초 및 심층연구결과 종합분석을 통한 안전규제체계 발전방안 제안 ❏ 내용 ○ 피복관 충격인성 평가 - 연소도에 따른 허용가능 연료봉 최대온도 및 충격량 도출 ○ 수소화물 재배열 조건 평가 - 수소화물 재배열 문턱 피복관응력/봉내압 및 온도 도출 ○ 1~3차년도 수행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사용후핵연료 전주기적 (영구처분전까지) 안전체계 및 규제인자 제안 - 습식저장-운반-장기 건식저장의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제안 - 사용후핵연료 안전규제 관점에서 정상상태 운전 평가 및 제안 □ 연구개발성과 ○ 본 과제의 연구개발 성과는 다음과 같음: - 수소화물 장입 총량 및 석출량에 따른 정량적 습식저장 안전규제 허용치 - 다축응력 수소화물 재배열 실험을 통한 봉내압 기반 건식저장 안전규제 허용치 - 종합적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핵심 안전위협요소 안전규제 허용치 - 다축응력 수소화물 재배열, 핵연료 충격파괴 실험장치, 경수로환경 모사부식 실험장치 구축 ○ 본 과제의 정량적 연구개발 목표 성과는 다음과 같음: - SCI 논문 6편, 비SCI 논문 7편, 안전기술보고서 5편, 국내외 학회발표 15회 - 석사급이상 인력 배출 2명, 학사급 인력 배출 5명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핵심 안전위협요소 허용치의 활용방안: - 안전규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국산화 - 국내외 사용후핵연료의 습식, 운반, 건식저장 안전기준 선진화 ○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전 안전규제체계의 활용방안: - 습식-운반-건식저장의 규제 합리화 - 경수로 건식저장 도입의 종합적 구조안전성 평가 및 규제 국산화 지원 ○ 핵연료 충격파괴 및 경수로환경 모사부식 실험장치의 활용방안: - 핵연료 구조안전성 평가 사업에 지속적 활용 - 규제 연구인력 교육 및 배출에 활용 ○ 기대효과 - 증진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국내 사용후핵연료 규제선진화에 즉각적 기여 - 건식저장 안전규제 현안해결을 위한 국산 실험데이터 확보 - 선진국의 기술이전 기피현상 극복 -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 - 전주기 원자력안전규제 기술 증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유호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건식저장;습식저장;사용후핵연료 운반;수소화물 재배열; 2. Spent nuclear fuel;Dry storage;Wet storage;Spent fuel Transportation;Hydride reorientation;
  • 12289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의 기대효과 1. 현재 난치성 폐암의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표준 치료인 세포 독성 항암 치료보다 우월한 치료법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면, 치료 성적의 향상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부작용 감소에 따른 치료비용의 절감,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비용 효과 등 사회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 가능한 원천물질 발굴 및 작용 기전 규명을 통하여 새로운 신약개발의 기초자료 data를 얻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관으로는 특허 출원 등이 가능하며, 타 장기 암으로의 연구 확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폐경 전 유방암 환자 연구 및 2차암 예후 연구를 통하여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른 치료방향 결정을 위한 임상 연구의 기초자료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 전임상 시험모델로서 3D 오가노이드 배양 기반 플랫폼은, 약물 스크리닝, 환자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킹과 이를 기반으로 한 환자별 맞춤형 약물 스크리닝, 환자의 생명 정보 분석과 연계한 정밀의학의 플랫폼, 유전체 교정 기술과 연계한 재생 의학 분야의 적용 가능하다. 5.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임상정보 통합 플랫폼을 통한 방사선 치료분야의 정밀의료 프로토콜을 확립하고 임상연구기반 강화 및 치료효과 증진에 이바지한다. 6. 기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오가노이드 기반 비임상 연구기반을 확립하여 약물 및 방사선 치료 분야 연구를 활성화하고 방사선 민감성 조절관련 신규약물들을 발굴하여 신약개발 및 유효성 검증 패널을 개발한다. 7.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구축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대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사업 모델의 발굴하고 협력연구를 활성화한다. 8. 난치성 암종의 세포 내 신호 전달 인자 및 관련 변화 분석을 통한 방사선 치료 효율을 증진시킨다. 9. 방사선의학연구에 특화된 인체자원 인프라 구축으로 방사선의학 기초 및 임상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10. 암의학 관련 분야의 연구에 지원함으로써 신약개발, 정밀의료 등 차세대 보건의료연구의 발전에 기여한다. 11. 연구자 니즈를 충족한 인체자원의 체계적 수집을 통해 인체자원 활용도 제고 12. KOLAS 공인생물자원은행 인정 유지를 통한 인체자원 질 향상과 고객 만족 기여 13. 인체자원 분양을 통한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제고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송강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임상시험;오가노이드;방사선치료;유방암;정밀의료;표적 항암제;유전체분석;바이오뱅크;인체자원;육종;바이오마커;알파핵종; 2. Radiology;Clinical Precision Medicine;Organoid;Investigator-Initiated Trial;Clinical Research;Bio-marker;Breast Cancer;Genomics;Biobank;Human bio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