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62/1,239

검색
  • 11772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생체인식 위변조 위협에 대한 원자력시설 출입인증체계평가 방법론 및 규제기준을 개발하고, 이에 필요한 시험평가 환경과 플랫폼, 관련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며, 정량적 평가를 위한 생체인식 5종( 지문, 얼굴, 홍채, 지정맥, 손등정맥)에 대한 평가용 DB 구축 ○ 전체 내용 ◯ 5종 생체인식 위변조 위협에 대한 원자력시설 출입인증체계 평가 방법론 및 규제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보고서 총 9종 작성 ◯ 5종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인식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유사도측정 SW (5종), 성능평가 SW 개발 ◯ 5종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인식성능 및 위변조탐지 기능의 객관적, 정량적 평가를 위한 다중모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인식성능 및 위변조탐지 성능평가 수행에 따라, 타인 허용율, 본인 거부율, 위조위협 식별율 평가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평가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1단계 □ 목표 ◯ 5종 생체인식 기술의 활용 및 위변조 공격과 탐지기술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생체인식 인증설비 관련 인증ㆍ규제사례를 조사함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 설비 구축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미흡한 상황을 분석함 ◯ 원자력시설의 생체정보 DB 유효성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플랫폼 구축 ◯ 생체인식 출입인증 설비 성능평가 테스트베드 구축 및 성능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 고수준 출입인증 생체인식 기술의 기준 및 성능평가에 관한 국내 기술표준 제안 □ 내용 ◯ 물리보안 기술로서 5종 생체인식 기술의 국내외 활용 및 위변조 공격과 탐지기술에 대한 동향을 조사분석하고 기술현황보고서 작성 ◯ 원자력시설의 출입인증 설비 구축 및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운영현황보고서 작성 ◯ 국내외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성능평가와 규제에 관한 ISO/IEC, ITU-T 국제표준기술을 조사분석하고, 이에 따른 국내외 기술표준보고서 작성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에 대한 성능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기존 구축된 생체정보 DB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유사도 측정 플랫폼 구축 ◯ 원자력시설 위변조공격에 대한 탐지성능 평가 및 방어기술 개발용 샘플 (3종의 생체인식 대상) 제작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성능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프로그램 및 테스트베드 설계보고서 작성 ◯ 원자력시설 생체인식 및 위변조공격 탐지 기술을 위한 학습용 및 성능평가용 DB를 구축하고, DB구축/활용 기술보고서 작성 ◯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사회기반시설의 출입인증을 위한 생체인식 기술의 인증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에 적합여부를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내기술표준을 TTA PG505 단체표준으로 제안함. □ 연구개발성과 ◯ 5종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에 대한 성능평가 기술 관련 2종의 기술보고서 작성 ◯ 2종 기술보고서를 기반으로 1건의 방법론 작성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현장적용 - 유사도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상용 SDK를 활용하여, 원자력시설의 기구축된 생체정보 DB의 유효성을 검사하거나 개발된 프로그램의 성능 개선 시 활용 -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인식성능과 위변조공격 탐지성능 검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시 활용 -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취약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원자력시설 출입인증체계 개선방안 수립 및 현장 시범적용 시 활용 - 향후 원자력시설의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 도입 시 적합성 여부를 심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 ◯ 제도개선 - 생체인식 출입인증설비의 설치 시, 사전평가ㆍ설치기준ㆍ사후운영 관련 기술기준 수립 - 생체인식 인식성능 및 위변조공격에 대한 식별율에 대하여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술기준 수립 - 정부기관 등에서 기 제정한 “바이오인식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개정에 활용 ◯ 기대효과 - 생체인식 위변조공격에 대한 탐지율을 정량화하여 기존의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인증기술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인증 설비의 취약점 등 개선 가능 - 확산되고 있는 생체인식기술에 편승하여 점점 고도화 되고 있는 위변조 공격에 대응하는 제품을 양산해야 하는 기존 생체인식 관련 제조업체들에게 인식성능과 더불어 위변조 공격의 안정성 여부도 평가 가능함 - 출입인증설비 별 취약성 분석 및 출입인증설비 개선을 통한 원전 출입인증 제도 및 방호체계 강화 - 고난도 보안수준을 요구하는 원자력시설 등, 사회기반시설의 출입인증설비 도입 추진시 정량적 성능 평가 절차 및 플랫폼 활용 가능 - 출입인증 기술 및 위변조 기술에 대한 분석, 출입인증설비 별 성능 데이터베이스와 성능평가 플랫폼, 환경 구축을 통한 물리적 방호규제 전문성 확보 - 국가중요시설 등 국내 유관기관에 참고모델로 제시 및 방호측면에서 국내 유관기관 내 선도적 역할 수행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학일
    • 주관연구기관 : 비젼인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생체인증;위변조 공격;출입통제;시험평가;다중생체인식; 2. Biometric authentication;Presentation attack;Physical access control;Test & Evaluation;Multi-modal biometrics;
  • 11771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태양계 행성 주변의 고에너지 전자 분포 영역, 흔히 방사선대라 부르는 곳은 우주탐사선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지구와 목성 방사선대의 경우 다양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확도 높은 예측모델이 정립되어 있지만, 토성 방사선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임무를 마친 토성 탐사선 Cassini의 방대한 관측 결과로부터 토성 방사선대 생성 및 소멸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기 우주탐사선의 보호에 활용될 토성 주변 방사선대 입자 환경변화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1) 우주탐사선 관측자료 처리 및 분석 2) 세계 최초로 인공신경망 기술을 이용한 방사선대 예측 알고리즘 개발 3) 새로운 토성 방사선대 3차원 물리 모델 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며 이 연구결과는 향후 개발될 우주탐사선의 안정적인 임무 완수를 위한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 연구개발 내용 토성 방사선대 변화 예측모델 개발을 위해 1) 우주탐사선 Cassini의 플라즈마 파동 및 입자 관측자료 처리?분석 기술을 습득하여 입자 관측자료 검?교정 및 플라즈마 파동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2)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공신경망 기술을 이용하여 토성 주변 방사선대 내 파동 및 입자 환경변화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아울러, 개발된 예측모델의 검증을 위해 물리적 이론에 바탕을 둔 토성의 3차원 물리 모델 또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기 다른 플라즈마 파동이 토성 방사선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토성 방사선대 고에너지 전자 생성 및 소멸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토성 방사선대 입자 환경 모델 개발에 있어서 세계 최초로 인공신경망 기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대 생성과 소멸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라즈마 파동-입자 상호작용을 직접 모델에 도입한 새로운 예측모델을 완성하였다. 이는 유사한 환경을 가진 지구 및 목성 방사선대 연구에서도 현재까지 시도해보지 못한 기술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모델 개발 방식은 향후 관련 분야의 새로운 표준화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토성 방사선대와 유사한 환경을 지닌 목성 방사선대 모델 개발에 이바지할 것이며, 이는 유럽우주국에서 2022년에 발사 계획 중인 목성의 거대 위성 탐사선의 기본 개발 툴로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경찬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토성 방사선대;플라즈마 파동;고에너지 대전 입자;플라즈마 파동-입자 상호작용;카시니 탐사선;인공신경망;물리 모델;예측모델; 2. Saturn radiation belts;Plasma wave;High-energy charged particle;Plasma wave-particle interaction;Cassini;Artificial neural network;Physical model;Prediction model;
  • 11770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분류체계와 명명체계가 혼란스러운 산형과 식물 중 약용가치가 우수한 약용작물에 대한 유전체/대사체 정보기반 명확한 분류체계 정립 및 대규모 종판별 기술을 확립하고 우리나라 고유자원식물인 식방풍의 작물로서의 개발을 위해 우수 계통을 육성하고 유전체/대사체 기반 분자육종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연구개발성과 1차년도에 생산한 산형과 20종에 신규 NGS 분석 데이터에서 나머지 15종에 대해 엽록체 유전체를 완성하였다. 기등록된 산형과 엽록체 유전체를 포함하여 유연관계도를 구축하였고, 종특이 변이지역을 다수 발굴하였다. 식방풍 수집자원들의 형질 조사를 통해 우수 계통(2년생 85계통, 1년생 84계통)을 선발, 재배 및 평가하였으며, 식방풍 인공자가수분 방법을 확립하였다. 엽록체 기반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원내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며 10개 계통의 잎과 뿌리의 항염활성, 세포독성, 자외선 차단효과 정도의 다양성을 Bio assay 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대사물질 관련 후보유전자들의 발굴과 식방풍 핵내에 존재하는 유전자 추정 부위에서 다양성을 확인 할 수 있는 SNP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산형과 식물들의 NGS 및 대사체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산형과 종 분류 체계를 확립하고, SNP Chip을 이용한 대규모 종판별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기술 이전한다. 이는 한약재 및 건강기능식품, 나아가 천연물 의약품 원소재의 품질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한약재 유통 체계 확립 기반 구축 및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다양한 식방풍 유전자원들에 대한 주요 질적/양적 형질 평가결과 및 유전적/대사체 다양성 분석은 향후 식방풍 우수 품종을 육성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출처 : 국문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양태진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산형과;대사체;식방풍; 2. Apiaceae;NGS;Metabolite;SNP chip;Peucedanum japonicum;
  • 11769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정상 수명이 기대되는 한국인에서 전산화단층촬영 (CT, computed tomography) 피폭 여부에 따른 발암 위험도를 측정 ❍ 전체 내용 (1) 1차년도 (2018) ■ 연구 목표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한 대규모 환자 코호트 구축 ■ 연구 내용 및 범위 - 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에서 암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정의(definition) 확립에서 암진단 코드와 산정특례 코드, 치료 약물 청구코드를 이용함. - 역인과성(reverse causation)을 통제하기 위해 정상 기대수명의 충수염 환자로 연구 대상군을 한정하여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함. (2) 2차년도 (2019) ■ 연구 목표 CT 방사선 피폭에 따른 발암 위험도 비교 측정 ■ 연구 내용 및 범위 - 구축된 코호트를 이용하여 심층 통계 분석을 시행함. - Clinicaltrials.gov 에 연구를 등록함 (등록번호: NCT03776435). - Primary outcome measure: Age - and sex-standardized incidence rate ratio for hematologic malignancies 측정함. - 민감도 분석: CT 노출 후 암 발생 잠복기를 고려하여 CT 방사선 피폭 후 이후 다양한 lag period 기간을 고려함. - 하위그룹 분석: 연령, 성별, 충수절제술 시행 년도, 의료기관 종별, 보험료, 차후 CT 검사 시행 유무를 보정한 incidence rate ratio를 측정함. (3) 3차년도 (2020) ■ 연구 목표 CT 방사선 노출 관련 심층 분석 ■ 연구 내용 및 범위 - 연간 단위로 age - and sex-standardized incidence rate ratio for hematologic malignancies를 측정함. - 혈액암과 관계가 큰 골수 피폭 선량에 중점을 두어 피폭량을 정량화함. - 충수절제술 당시의 CT 피폭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CT 검사를 횟수를 세어 CT 검사 횟수와 발암간의 용량-반응 관계를 규명함. - 나이 및 성별 이외에 추가 교란 변수를 보정한 incidence rate ratio를 측정함. - CT 방사선 노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주 인용되는 5가지 clinical scoring system을 사용하여 환자 분류(patient triaging)시 CT 검사 감소율 및 진단 정확도를 측정함. □ 연구개발성과 ■ CT 방사선량 진단참고기준 설정에 활용 실증적 발암확률 제시함으로써 방사선량 진단참고기준의 참조치로 활용함. ■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연구의 결과를 JAMA Surgery (Impact Factor 13.625) [2021년 1월 JAMA Surgery Editor's choice로 선정]와 Radiology (Impact Factor 7.931)에 출판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민 건강 증진 효과 - 암은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실제적 위험일 뿐 아니라 의료비 국민 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임. -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에서의 과도한 CT 남용을 제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 ■ 임상 진료에 활용 - CT는 높은 진단능으로 임상진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정상 수명이 기대되는 환자에서 방사선량이 일정치를 초과할 경우, MRI와 같은 다른 진단기법의 사용을 권장할 수 있음. ■ CT 방사선량 설정 가이드라인 제정 - 발암 확률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적정 방사선량을 설정 및 권장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지훈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전산화단층촬영;인구 집단 연구;발암 위험도;방사선 피폭;빅데이터; 2. Computed tomography;Population based study;Carcinogenic risk;Radiation exposure;Big data;
  • 11768

    2021.11.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남정현
    • 주관연구기관 : 센소허브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시간지연적분;영상 검출기;영상 소자;화소;우주급;내방사선 보증;세라믹 패키지;신뢰성 시험; 2. TDI;Image Detector;Image Sensor;Pixel;Space Class;Radiation Hardness Assurance;Ceramic Package;Reliability Test;
  • 11767

    2021.11.30

    Ⅳ. 연구개발결과 1. 화강암 평가인자 DB구축 ◦ 기존 사업에서 선정한 부지선정 일반평가인자 100여개 중에서 중요성에 따라서 화강암의 분야별 주요평가인자 선정 완료 ◦ 원주, 춘천 시추공과 시추코어를 이용하여 지질분야, 역학분야, 물리탐사분야, 지화학분야, 수리지질분야, 지열분야 별 화강암 주요평가인자 DB 구축 완료 2. 화강암 조사·분석 표준절차서 작성 ◦ 주요평가인자에 대한 이론, 실험장비, 실험절차, 평가방법 등을 정리 완료 ◦ 주요평가인자의 평가를 위해서 화강암 심부시추조사 시에 필요한 현장실험, 실내실험 조사·분석 표준절차서를 6개 분야별로 기술 완료 3. 화강암 핵심평가인자 분포범위 기술보고서 작성 ◦ 화강암 암종에 대한 핵심평가인자로 암종, 단열밀도, 일축압축강도, 원위치 응력, 절리분포, 암반분류, 물리검층, 지화학인자, 수리전도도 등을 선정 ◦ 핵심평가인자에 대한 처분 선도국의 연구현황, 기존 국내 연구 결과, 현 사업의 시추공을 이용하여 획득한 자료 등의 분포범위 기술 완료 4. 화강암과 퇴적암 750 m 급 시추공 2공 확보 ◦ 원주 KSRS, 춘천 강원대 화강암 부지에 각각 757.3 m, 751.2 m 시추조사 완료 ◦ 진주 경상대, 대구 경북대 퇴적암 부지에 각각 754.3 m, 750.9 m 시추조사 완료 5. 화강암반 대상의 국제 프로젝트 참여와 모델링 수행 ◦ MaCoTe 국제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국내 화강암 암종의 지화학적 장기안정성 평가를 위한 키감 모듈 1 제작 ◦ 고정밀도 핵종 물질 수지 계산을 위한 새로운 포트란 알고리즘을 완성 ◦ 심부 지하수-지열 연동 개념 모델 개발을 위한 단열대 시추자료 통계분석에 근거한 단열망 모델링 수행 (출처 : 요약문 8p)
    • 연구책임자 : 김유홍
    • 주관연구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고준위방사성폐기물;심층처분;암종;심부시추연구;핵심평가인자; 2. high-level radioactive waste;deep geological disposal;rock type;deep drilling research;key evaluation parameters;
  • 11766

    2020.12.31

    Ⅰ. 해당 연도 추진 현황 Ⅰ-1 기술개발 추진 내용 ○ 정상 조직의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은 각각 고유한 세포핵 크기를 유지한다. 환경변화나 세포분열 등에도 불구하고 세포핵 크기의 항상성이 유지된다. 세포핵 크기 설정 기전, 크기 감지장치, 크기변화 이펙터 등의 존재는 필연적이다. 세포핵 크기를 변환 시키는 이펙터로 분류될 몇 가지 단백질들은 이미 발견되었다. 하지만 아직 세포핵 크기 설정과 감지를 담당하는 단백질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세포핵의 크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단백질 혹은 단백질 복합체를 발굴하고, 크기 감지시스템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세포핵 크기감지 단백질이 인지하는 세포핵 크기 설정점 정보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규명한다. ○ 연차별 연구 추진 내용은 아래와 같다. (출처 : 본문 : Ⅰ. 해당 연도 추진 현황 2p)
    • 연구책임자 : 김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 11765

    2021.05.31

    ◆ 연구 목표 ♦ 2015년 미국 및 유럽에서 항암 바이러스(Oncolytic virus)의 상업화 성공 이후, 이 분야의 많은 투자와 다국적 제약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종양면역 및 면역독성 조절을 할 수 있는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후보 물질군 제작 및 최적화, 비임상 연구 진행, 공정개발, 임상시험 승인 획득 후 초기 임상시험에 진입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개념증명 임상시험을 통해 종양면역의 패턴을 파악하여 세포독성 항암제, 표적 치료제 중 면역조절이 가능한 물질을 탐색해서 항암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함. ▶ 항암 바이러스의 작용기전 중 종양면역 증가는 생존율 증가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지만, 바이러스 자체의 면역 활성으로 체내 보상적인 억제성 면역이 발생하여 임상적 유효성을 제한할 수 있음. ▶ 본 연구책임자는 제작된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종양 면역반응의 질적, 양적변화 분석 및 면역조절제를 탐색하여 항암 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시험에 적용하기 위한 중개연구 및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과 1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고자 함. ◆ 연구방법 ♦ 바이러스 엔지니어링 ♦ in vitro : 역가시험, 세포독성시험, Flow cytometry, Immunohistochemistry, qPCR,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icroarray, Co-culture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동종 종양 동물 모델, 토끼 종양 모델, 토끼 독성 모델 ♦ 경동맥화학색전술 ◆ 연구결과 1) 암세포 특이적 항암 바이러스 제작 및 최적화 •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바이러스 증식 조절 유전자 및 종양 면역 활성인자를 도입하여 다수의 항암 바이러스 제작 완료(OTS-412, OTS-C412, WOTS-418, WOTS-408) • 항암 바이러스 제어기능 검증 및 제어시스템에 의한 추가 항암 효과 확인 완료 • 항암 바이러스 감염 시 면역 조절의 중요성 확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mOTS-412)에 의한 항암 효과 증가 확인 - in vitro / in vivo - 인간 종양 동물 모델 / 동종 종양 동물 모델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의 항암 효과 작용기전 연구 및 후천성 면역 조절 기전 연구 •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조절제 병용 투여(mOTS-412)와 면역관문억제제 추가 투여에 의한 항암 효과 증대 확인 • 다양한 항암 바이러스(OTS-C412, WOTS-418)와 면역조절제(m) 병용 투여에 의한 항암효과 증가 확인 • Herpes simplex virus, Measles virus, Adenovirus와 면역조절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항암효과 확인 • 바이러스 제조 공정 개발 완료 • 항암 바이러스 대량 생산 Process Development 기술이전 및 임상시험물질(CTM I, CTM II) 제조 완료 • CMC 분석법개발(identification – PCR based, 역가측정법, chemosensitization shift assay, 바이러스 정량 – PCR based) 및 밸리데이션 • 임상시험물질(CTM) 품질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안정성 연구 • 임상시험물질(CTM I) 출하승인 완료 및 IND packaging 작성 완료 2) 항암 바이러스 유도 면역반응 연구 • 간암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치료에 따른 종양 면역반응의 분석 완료 • 종양 모델 생쥐에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 완료 • 토끼의 간동맥 투여를 통한 고용량 OTS-412 독성 연구(non-GLP) 완료 • 토끼 모델에서의 mOTS-412에 대한 GLP 독성 시험 시행 완료 • 원숭이에서 mOTS-412 독성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생체 분포 시험 완료 • 항암 바이러스 효율 증가를 위한 특정 마커 분석 탐색 • 임상 시료 분석법 개발 • 임상시험 프로토콜 개발 완료 ◆ 기대효과 • 임상시험 진입을 위한 서류 준비 완료(IND packaging) - 비임상 약리, 비임상 독성, GMP 제조 • 기술이전 혹은 창업 : 1단계 종료 전 30억 이상의 민간자본 투자 •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 기반 면역치료제의 신약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신약개발을 위한 국제적 수준의 새로운 시스템의 기반 설립 및 세계적인 연구 성과 도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의 종양면역 반응 분석법을 개발함으로써 암종에 따른 개인별 맞춤치료 근거 확보 ▶ 다양한 암의 표준치료 방법 (수술, 경간동맥화학색전술, 고주파 치료, 방사선 치료, 항암제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보조치료 확보 및 맞춤치료 개발 ▶ 항암 바이러스 치료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면역반응 조절제 개발의 기반 마련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황태호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항암 바이러스;고형성 종양;임상시험;면역치료제;종양면역; 2. Oncolytic virus;Caner immunology;Clinical study;Immunotherapeutics;Solid tumor;
  • 11764

    2021.10.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국악 전용 공연장의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전체 내용 : 국악기와 국악의 음향특성 조사 및 이를 활용한 국악 전용 공연장의 최적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1단계 ● 목표 : 측정 및 녹음기술 개발, 악기편성 및 배치 연구, 건축음향 설계 지표 도출 ● 내용 악기의 주파수 대역별 방사특성과 음향적 특성 측정, 연주법에 의한 악기군 별 앙상블, 국악기에 대응하는 마이크 시스템 개발, 합주와 병주시 mode 별 소리의 밸런스 측정, 오케스트레이션의 청감테스트, 공간의 음장특성 등을 고려한 악기 배치방식과 편성 방법을 제안, 기존 국악 공간의 물리적 음향 특성 평가, VR 환경에서의 가청화를 통한 주관평가 반응 조사, 국악 공간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연구개발성과 가. 국악기의 주파수 대역별 방사특성·음향특성 측정 나. 국악기 오케스트레이션 다. 국악기 전용 마이크로폰 개발 라. 합주/병주 모드에 따른 소리 밸런스 측정 마. 국악기 음향특성 및 공간 음장특성을 고려한 악기 배치 방식과 편성 방안 조사 바. 기존 국악 공연장의 물리적 음향특성 평가 사. 국악전용 공연장의 무대용적에 따른 음향 특성 조사 아. 국악 공연장의 객석 간 음향편차 및 건축음향지표 변화에 따른 청감인식 평가 자. 국악 공연장의 건축음향 설계 기준 제안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개발의 성과는 현재 존재하는 모든 국악 전용 홀들의 음향환경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하며 동시에 앞으로 설계될 국악 전용 공연장의 음향환경 설계 방향성을 제시한다. 또한 청감평가를 통한 국악 오케스트라 편성/배치 방안의 제시는 기존의 배치방식을 수정하여 관객의 입장을 더욱 대변할 수 있는 관객친화적 국악 공연을 가능케 한다. 국악기 전용 마이크로폰 시스템의 개발은 서양의 비슷한 악기군 전용 마이크를 국악기에 병행 사용하던 기존의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국악기 본연의 소리를 더 정확하게 입력/녹음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국악의 대중화, 세계화, 또한 다른 장르와의 결합적인 측면에서 기여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춘기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국악기;소리 방사특성;오케스트라 편성;가청화;주관평가; 2.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ound radiation;Orchestration arrangement;Auralization;Subjective evaluation;
  • 11763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CRISPR/Cas9 RNP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만추대성 및 초형개선 청경채 육종소재 개발 ◯ CRISPR/Cas9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한 초형개선 및 다수확성 토마토 육종소재 개발 ◯ MTL/ZmPLA1/NLD 및 CENH3 유전자 편집에 의한 반수체 유기 원예작물 육종소재 개발 ○ 전체 내용 (제1세부: 전북대) ○ 청경채 원형질체를 활용한 CRISPR/Cas9 RNP 기술 확립 연구 ○ 원형질체로부터 세포분열 및 plant regeneration을 통한 plantlet 배양 조건 확립연구 ○ 소포자배양 기술 확립을 통한 청경채 계통 육성 기간 단축 연구 ○ CRISPR/Cas9 RNP 및 아그로박테리움 유전자편집 기술을 통한 만추대성 및 초형개선 청경채 교정체 선발 (제1협동: 원광대) ○ SlER 프로모터 편집체 집단개발 및 줄기마디 길이 최적화 연구 ○ S 프로모터 편집체 집단개발 및 꽃대가지수 최적화 연구 ○ 토마토 줄기마디와 꽃대가지 수 최적화로 재배공간 활용성 및 수확성 증진계통 선발 (제2협동: 전남대) ○ 토마토, 청경채 및 콩 특이적 pPLA 계열 및 CENH3 유전자 분리 및 편집 CRISPR/Cas9 construct 구축 ○ 토마토, 청경채 및 콩에서 자성 및 웅성 생식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pPLA 유전자기반 신육종기술에 의한 반수체 라인 획득 ○ CENH3 기능과 차별화된 pPLA 유전자의 반수체 유기기작 규명 □ 연구개발성과 (제1세부: 전북대) ○ 논문 (총 2건) - Young-Cheon Kim, Yeeun Kang, Eun-Young Yang, Myeong-Cheoul Cho, Ronald Schafleitner, Jeong Hwan Lee, Seonghoe Jang. (2021). Applications and major achievements of genome editing in vegetable crops: a review. Frontiers in Plant Science (IF: 5.753, JCR 상위 7.02%). 12(688980): 1-18. - Eun-Jin Wang, Young-Cheon Kim, Jeong Hwan Lee, Jeong-Kook Kim. (2021). Identification of a nuclear localization signal mediating the nuclear import of Arabidopsis splicing factor1. Plant Biotechnology Reports (IF: 2.010, JCR 상위 37.25%). 15: 775-781. ○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총 7건) ○ 청경채 유전자편집개체 개발 - 3건 유전자 CRISPR/Cas9 RNP 유전자편집 실시 (싱싱골드, 킹덤, 임팩트) - 4건 유전자 Agrobacterium 및 청경채 explant를 이용한 유전자편집 실시 (싱싱골드, 킹덤, 임팩트) ○ 청경채 타겟 유전자 기능 분석 (총 11개) - CRISPR/Cas9 RNP 유전자편집 실시 - Agrobacterium 및 청경채 explant를 이용한 유전자편집 실시 - 이를 통해 shooting되고 있는 4개의 BcPIF4 및 2개의 BcFT 유전자편집개체 확보 (제1협동: 원광대) ○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총 6건) ○ 유전자교정 작물개발 (총 15건) - ERACTA유전자 프로모터 편집 형질전환체 개발 총 8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S 유전자 프로모터 편집 형질전환체 개발 총 6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IDD유전자 유전자 편집 형질전환체 개발 총 1개체 (제2협동: 전남대) ○ 논문 (총 2건) - Jang JH, Nguyen NQ Légeret B, Beisson F, Kim YJ, Sim HJ, Lee OR. (2020). Phospholipase pPLAIIIα increases germination rate and resistance to turnip crinkle virus when overexpressed. Plant physiology 184: 1482-1498. (IF: 6.902, JCR 상위 4.27%) - Jang JH, Seo HS, Lee OR. (2021). The Reduced Longitudinal Growth Induced by Overexpression of pPLAIIIγ Is Regulated by Genes Encoding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s. Plants-Basel. 10:2615. (IF: 3.935) ○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총 21건) ○ 유전자교정 작물개발 (총 145건) - GmMTL 및 GmpPLAII 유전자 교정 콩 (광안콩): 총 109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OspPLAII 유전자 교정 벼 (동진벼): 총 8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SolycCENH3 유전자 교정 토마토 (Sweet-100): 총 26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AtPLAII 유전자 교정 애기장대 (Col-0): 총 2개체 유전자교정 확인 ○ 언론홍보성과 (총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CRISPR/Cas9 RNP 기술은 기존의 GMO 논란을 어느 정도 회피하여 non-GMO 작물 개발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원예작물에 적용하는데 제한적임.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일부 결과들은 여러 유용 원예작물에 CRISPR/Cas9 RNP 기술 도입 시 유용하게 적용 가능 ○ 국내 및 국외 마켓에서 소비자 수요가 높은 청경채를 포함한 팍초이류의 유용 농업형질을 개선하는 데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타겟 유전자의 sgRNA 및 기능 연구는 향후 유전자편집기술을 포함한 분자 육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줄기마디길이 개선으로 수확성이 증진된 계통 및 품종으로 활용 ○ 토마토 꽃대가지수의 최적화로 식물체당 수확성이 증진된 계통 및 품종으로 활용 ○ 미래농업 적합 식물공장형 토마토 및 청경채 품종 생산 ○ 현재 수입 일본 종자가 장악하는 청경채 종자 시장에서 수입 종자를 대체할 수 있는 기회제공 ○ 기능성 청경채 및 토마토에 해당 기술을 접목하여 국내외 신시장 개척, 다양화 및 농업기술 수출 ○ 유전자 편집기술의 정확성과 유전형질 활용으로 원예 신품종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유전자원을 제공하여 종자회사에 기술이전 가능 ○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토마토, 콩 유전자 편집개체를 활용한 추가연구를 통해 PLAII 유전자가 벼, 애기장대 이외에 작물에서도 반수체 유도에 관여하는지 검증 필요 ○ 이후 확보된 반수체 작물을 활용하여 육종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형질을 가진 계통들을 대상으로 형질 고정 등 품종 육성에 걸리는 시간 단축과 더불어서 아주 우수한 품종 생산 가능 ○ 본 연구진들이 확보한 연구 결과들은 새로운 기존의 육종기술로 해결이 어려웠던 농업 문제들 (작물 생산성 증가, 기능성 향상 품종 개발, 품종 개발기간 단축 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는 고부가가치 농산업의 수요 확대로 이어져 미래 농산업 변화를 주도할 선진국형 첨단 실용화 농업기술 국가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환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유전자교정;농업형질 개선;토마토;청경채;반수체 유기; 2. Genome editing;Agronomic trait improvement;Tomato;Bok Choy;Haploid in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