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2 Page 72/1,239

검색
  • 11672

    2021.01.31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임상병기 T1-3이면서 겨드랑이 레벨 I 에만 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환자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 시행 후 유방 보존술 및 감시림프절생검을 받은 환자 중 ypN0환자에서 림프절영역 방사선치료 생략 여부에 따른 림프절 영역 재발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 > 1. 대한방사선종양학 임상연구회 (KROG) 심의 통과 (2019년 10월 18일) 2. 연구 참여 기관 모집 (국내 10기관, 국외 1기관) 3. 질병관리본부 iCReaT eCRF 개발 완료 (2020년 10월 13일) 4. 유방 및 림프절영역 방사선치료의 범위 및 기법에 대한 dummy run study 진행한 결과: 2020 GBCC 초록 채택됨. (논문 작성 중) 5. 환자 등재 (67명) < 정성적 성과 > 1. 기관별로 유방 및 림프절영역 방사선치료 범위 및 기법이 다양함을 확인함. 본 연구에서 허용하는 범위 및 기법에 대한 consensus 정립함. 2. 기관별로 림프부종, 어깨관절 구축 관련 측정법이 다양함을 확인함. 림프부종, 어깨관절 구축 관련 측정법에 대한 consensus 정립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본 연구 대상 환자에서 림프절영역 방사선치료 생략한 환자군의 림프절영역 재발률이, 림프절영역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군에 비해 높지 않음을 밝히면, 향후 치료받은 환자들에서 림프절영역 방사선 치료를 생략할 수 있다. 림프절영역 방사선치료를 생략하게 되면, 림프부종, 어깨관절 구축, 방사선폐렴의 발생 가능성이 낮출 수 있다. 이는 환자 개인에 있어 부작용을 낮추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사회의료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출처 : 국문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연주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유방암;방사선치료;림프절영역;재발률;림프부종; 2. Breast cancer;Radiotherapy;Regional nodal area;Regional recurrence rate;Lymphedema;
  • 11671

    2021.01.31

    앞으로 최대 10년 동안 가동할 예정인 총 3기의 중수로와 그 이후에도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소내 사용후핵연료 조장조를 대상으로 (1) 연료채널 노후화에 따른 안전이슈 대비, (2) 종합적인 사고평가기술 확보, (3) 중수로 사용후연료 안전저장관리 기술이라는 3가지 중점추진 분야를 도출하고 국내외 연구현황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연구방향과 추진계획을 도출하였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성열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중수로;안전;연료채널;사고평가;사용후핵연료; 2. CANDU;Safety;Fuel Channel;Safety Assessments;Used Nuclear Fuel;
  • 11670

    2021.02.28

    국내 금속연료 기술 검증을 위해 BOR-60 연료봉 조사시험의 경우 목표 연소도 7 at.% 달성하였으며 노내 성능 검증자료를 확보함. 또한, BOR-60 피복관 조사시험을 통해서는 목표 조사량 75 dpa 달성하여 노내 크리프와 물성 자료를 확보하고 피복관의 노외 크리프 시험자료와 연계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을 개발함. 국내제조 피복관 크리프 모델 구축에 필요한 참조 자료 생산을 위해 최대 20,000 시간 피복관 노외 크리프-파단 및 노외 크리프-변형시험을 수행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에 필요한 응력-파단 선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률 선도를 도출함. 이와 함께 FCCI를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을 결합한 금속(metal)/세라믹(ceramic) 복합층 코팅개념과 비철 내화금속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예비 평가하였으며 온도구배 약 50 °C/mm를 구현할 수 있는 온도구배 상호반응 시험 장치를 제작하였음. 또한 건전한 U-(15, 20, 25)wt.%Zr 연료심(∅5×L300 mm) 제조를 통하여 전자기 유도가열 성능 및 안전성 검증과 함께 주조법에 의한 고 Zr 함량 금속연료심 제조 타당성을 확인함. 원자로 안전성 및 핵연료 성능 측면에서 TRU 함유 핵연료의 성분 예비 설정 및 연료심 공융온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료봉 피복관 외경 및 플레넘 길이에 따른 피복관 최소 두께, 연료봉 플레넘 최소 길이를 예비 설정함. 또한, TRU 함유 핵연료의 열적 성능 모델 및 기체방출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최적 모델을 선정 후 LIFE-METAL 연료봉 성능분석 코드에 삽입 및 검증하였으며 노심 설계와 연계하여 TRU 함유 핵연료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연료봉 건전성을 확인함. 상기 연구결과는 장수명·고독성 핵종을 효율적으로 핵변환하는 시스템의 TRU 함유 핵연료 개발 시 핵심기술로서 활용할 수 있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6p)
    • 연구책임자 : 김준형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초우라늄;독성저감;BOR-60 원자로;조사시험;연료봉;피복관;크리프;노외 시험;연료심;핵연료 성능모델;핵연료 성능분석 코드;핵연료 피복관;핵연료심; 2. Spent Nuclear Fuel;Transuranic(TRU);Decreasing Radiotoxicity;BOR-60 Reactor;Irradiation Test;Fuel Rod;Cladding;Creep;Out-of-pile Test;Fuel Slug;Fuel Performance Model;Fuel Performance Analysis Code;Fuel cladding;
  • 11669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차세대 신물질로서 태양전지 및 발광다이오드로 그 응용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OHP 물질들의 시편 제작을 통하여, 시편 상에 발생하는 새로운 구조의 표면과 그 표면상에 다양한 추가 박막 증착 (예: 정공 전송 물질, 정공 공급 물질 - 유기물, polymer 등)을 통해 발현되는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를 방사광을 이용한 XPS, GIXD 기법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관찰하고 그 안에 있는 물리적 의미/이해 및 응용 소자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그 최종 목표를 두고 있다. ○ 전체 내용 본 연구는 OHP 기반 박막의 응용 소자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방사광을 이용한 고해상도 측정 기법들을 활용하여 표면과 계면상의 화학적/원자적 구조 연구를 제안한다. ○ 1단계 ● 목표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시편을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하고 박막 상에 발생하는 (1) 재구조화된 표면과 (2) 그 표면 위에 소자 응용을 위한 추가 박막 증착을 통해 형성된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분석을 방사광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정확히 관찰하고 그 안에 있는 물리적 의미를 파악 및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내용 (1) 용액 코팅 증착 및 진공 증착 기반의 OHP 박막 표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연구 (2) AMX3 상의 다양한 물질들을 이용한 시편 형성 및 그 표면과 벌크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차이 연구 (3) 형성된 박막 표면의 후열처리에 따른 화학적/원자적 상태 변화 연구 □ 연구개발성과 차세대 신물질이라 평가받고 있는 OHP 물질들의 연구에 있어 표면 및 계면의 기초 물리적/화학적 접근은 현재 이 물질을 기반으로 한 응용 소자의 가치를 극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연구개발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표면 및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정보 획득을 통하여 OHP 물질내의 유기물 파트와 무기물 파트의 물리적/전기적 역할 등을 이해함으로서 하이브리드 물질의 이해를 높일 수 있어 중요하다. 그리고 얻어지는 정보들을 통하여 OHP 물질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 특히 기본-응용 연구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분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영미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유기금속 할라이드계 혼합 페로브스카이 물질;방사광;분광 및 산란법;전자 구조;화학적 상태; 2. organometal halide hybrid perovskite;synchrotron radiation;spectroscopy and diffraction;electronic structure;chemical state;
  • 11668

    2020.12.31

    원자력 안전법에 따른 방사선발생장치( RG )와 방사성동위원소( RI ) 사용 및 생산 시설인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는 방사선에 의한 재해 방지와 공공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사선 장해 방어 의무 사항을 이행하여야 한다. 또한 방사선 안전 관리를 위한 방사선 안전 시설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유지 보수가 필요하며, 방사선발생장치( RG )와 방사성동위원소( RI )에 사용 등에 의한 시설 주변 환경의 방사선/능 영향을 감시하기 위한 측정을 수행한다. 방사선안전관리의 목적은 원자력 이용시설의 운영에 따라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방사선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결정적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확률적 영향을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최소화하는 것에 있다. 또, 주변에 대한 방사선환경을 조사하여 원자력이용시설의 운영으로 인한 주변 영향을 평가하고 시설로부터 예기치 못한 방사성물질의 배출에 의한 주변 환경 변화의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에 있다. 본 과제의 수행은 방사선발생장치 사용, 방사선발생장치 생산, 방사성동위원소 사용분야에 대해 국가 원자력 관계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의무 요건이다. 이를 위해 방사선안전관리과제에서는 ① ( 방사선관리구역 내부 ) 방사선작업환경 안전성확보, ② ( 방사선 관리구역 외부 )시설주변방사선감시, ③ ( 센터 외부 )환경방사능분석실 구축 운영, ④ 각종 원자력 인허가 법적 요건을 사전 검토하여 충족 시키고, ⑤ 방사선안전관리 시스템의 보완 및 기능 유지에 힘쓰고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05p)
    • 연구책임자 : 민의섭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방사능;안전관리;인허가;방사선발생장치; 2. radiation;radioactivity;radiation generator;Radiation Safety Control;
  • 11667

    2021.08.31

    □ 연구개요 본 연구는 혈관내피세포 산화질소합성효소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etase, eNOS) 및 산화질소 (NO) 활성 억제가 주요 기전으로 밝혀진 폐동맥고혈압에서도 심혈관계 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의 활성 유지, 교감신경의 과활성화억제 및 산화스트레스 억제효과가 있는 dexmedetomidine (DEX)이 동일한 기전으로 폐동맥고혈압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와 Human pulmonary artery smooth muscle cells (HPASMC)에서 monocrotaline(MCT)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 발생에 있어서 자가포식의 활성화가 얼마나 중요하게 작용하고 그 기전을 확인하고자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혈관내피세포 (bEND.3, mouse brain endothelial cells)를 이용하여 MCT (0, 1, 2, 3, 4, 5 mM), dexmedetomidine (0, 1, 5, 10, 20 nM)을 처리하여 세포활성에 미치는영향과 세포사멸,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결과 : bEND.3 세포에서 MCT의 처리에 의한 세포분열 및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 mM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적으로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DEX를 처리했을 때, 세포 성장에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onocrotaline의 처리가 세포의 성장억제와 G2/M의 arrest를 일으키고, LC3B의 발현 변화를 보이고, 이는 PERK와 ERK의 signal이 autophagy와의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2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MCT에 의해 HUVEC세포와 PASMC세포에 세포성장 및 세포활성에 미치는영향과 세포사멸,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autophagy가 일어나는 정확한 신호전달을 알아보기 위해, 연관된 신호전달의 억제제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결과 : HUVEC이나 HPASMC세포에서 MCT를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세포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Autophagy마커인 LC3B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고, DEX와 ERK inhibitor를 처리했을때 감소된 것으로 볼 때, 이는 MCT에 의한 autophagy가 ERK의 활성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MCT에 의한 ERK의 활성화와, inhibitor인 3-MA와 Bafilomycin A1을 처리했을 때, LC3-II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HUVEC세포에서 MCT는 강력한 autophagy inducer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HUVEC셀에서 강력한 autophagy inducer로 작용하고 있는 MCT에 의한 autophagy와 연관된 gene screening을 통하여 DEX에 의한 억제효과와 연관된 특정한 signaling을 찾아 DEX처리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의 억제 기전을 확립하고자 한다. 결과 : Western blot과 immunofluorescence를 통해 MCT 처리에 의해 cytoplasm에 LC3B의 발현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고, control에서는 lamp1이 핵에서 아주 약하게 관찰되었으나, MCT 처리했을 때, 세포질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DEX처리에 의해 그 현상이 완화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merge에서 보면 발현되는 위치가 거의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ERK inhibitor처리에 의해서도 완화됨을 보였지만 DEX의 효과가 더 좋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nuclear와 cyroplasmic fraction에서의 western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LC3B-I의 경우 cytosol에서 관찰되었고, LC3B-II의 경우는 control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MCT처리했을 때, 약하게 핵에서 관찰되었다. 4차년도 연구내용 및 결과 내용 : HUVEC세포에서 MCT처리에 의한 endogeneous LC3B 단백질의 세포질로의 이동을 확인하고 DEX에 의한 억제효과가 있는지 확인한다. 세포를 안정화 시킨 후, DEX(10ug/mL)를 한시간 전처리 하고, MCT 5 mM을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Confocal을 이용해 LC3B punta와 autophagic flux, LC3B translocation을 확인한다. 결과 : HUVEC세포에 MCT를 처리했을 때, 세포질 부분에서 LC3B의 발현이 강하게 증가하고, DEX를 처리했을 때, 그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mRNA의 발현을 확인한결과, TP53, p62, LC3B, GABARAPL1에서는 MCT처리한 세포에서는 발현이 증가했고, DEX를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CTSD와 HSP90AA1은 MCT에의해 증가했지만, DEX에 의한 유의적인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HUVEC세포에서 MCT에 의해 유도된 autophagy가 DEX처리에 의해 완화되는 세포내의 신호전달과 LC3B의 발현 증가도 중요하지만,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MCT에 의해 유도된 폐동맥 고혈압 세포 모델인 HUVEC 세포에서 autophagy가 강하게 진행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DEX의 처리에 완화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autophagy의 마터인 LC3B가 MCR처리에 의해 해 안에서 세포질로의 tranalocation이 일어남을 확인하였고, DEX에 의해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dexmedetomidine의 경우 실제 임상에서 진정 및 진통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바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DEX가 자가포식의 항상성을 유지시킴으로써 폐동맥고혈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밝혀진다면 DEX의 임상적 사용을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까지 확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생기전이 유사한 다른 다양한 만성 심혈관질환들(심부전증, 뇌혈관질환, 심근경색, 심부정맥, 뇌졸중, 심혈관계노화) 에도 적용해 볼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남오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덱스메데토미딘;모노크로탈린;폐동맥고혈압;자가포식;항상성; 2. dexmedetomidine;monocrotaline;pulmonary artery hypertension;autophagy;homeostasis;
  • 11666

    2021.10.31

    □ 기업의 애로사항 ○ 방폭모터의 발열 문제 ○ 방폭모터용 펌프헤드 설계 □ 지원(해결) 내용 ○ 유도전동기 등가회로 정수 도출을 통한 손실추정 ○ CFD를 통한 열전도 해석 ○ 열전달 개선을 위한 방법제시 ○ 모터펌프 3D 설계를 통한 설계기술 확보 □ 지원 성과 ○ 정성적 성과 - 열전도 에폭시 및 구리스를 적용한 방열효과 개선 ○ 추가 성과 - 오픈소스(Openfoam)를 통한 CFD해석 기술 획득 - 모터등가회로 해석을 통한 모터 정수추정 기술 획득 ○ 기술스펙 달성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방폭모터의 방열해석 및 구조개선 - 방열모터의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손실 해석 - 오픈소스(Openfoam)을 활용한 CFD열전달 해석 수행 - 열전달 개선을 통한 방폭모터의 안정성 향상 □ 성과활용 ○ 신규 방폭모터 개발에 방열구조 개선 활용 ○ 제품 방열 안전성에 관한 해석 자료로 활용 (출처 : 지원 사례 요약 4p)
    • 연구책임자 : 신진옥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방폭모터;펌프;방열;열전달;시뮬레이션;다이아프램; 2. Explosion proof;Pump;Heat radiation;Heat transfer;Simulation;Diaphragm;
  • 11665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태양계 행성 주변의 고에너지 전자 분포 영역, 흔히 방사선대라 부르는 곳은 우주탐사선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지구와 목성 방사선대의 경우 다양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확도 높은 예측모델이 정립되어 있지만, 토성 방사선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임무를 마친 토성 탐사선 Cassini의 방대한 관측 결과로부터 토성 방사선대 생성 및 소멸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기 우주탐사선의 보호에 활용될 토성 주변 방사선대 입자 환경변화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1) 우주탐사선 관측자료 처리 및 분석 2) 세계 최초로 인공신경망 기술을 이용한 방사선대 예측 알고리즘 개발 3) 새로운 토성 방사선대 3차원 물리 모델 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며 이 연구결과는 향후 개발될 우주탐사선의 안정적인 임무 완수를 위한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 연구개발 내용 토성 방사선대 변화 예측모델 개발을 위해 1) 우주탐사선 Cassini의 플라즈마 파동 및 입자 관측자료 처리?분석 기술을 습득하여 입자 관측자료 검?교정 및 플라즈마 파동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2)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공신경망 기술을 이용하여 토성 주변 방사선대 내 파동 및 입자 환경변화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아울러, 개발된 예측모델의 검증을 위해 물리적 이론에 바탕을 둔 토성의 3차원 물리 모델 또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기 다른 플라즈마 파동이 토성 방사선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토성 방사선대 고에너지 전자 생성 및 소멸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토성 방사선대 입자 환경 모델 개발에 있어서 세계 최초로 인공신경망 기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대 생성과 소멸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라즈마 파동-입자 상호작용을 직접 모델에 도입한 새로운 예측모델을 완성하였다. 이는 유사한 환경을 가진 지구 및 목성 방사선대 연구에서도 현재까지 시도해보지 못한 기술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모델 개발 방식은 향후 관련 분야의 새로운 표준화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토성 방사선대와 유사한 환경을 지닌 목성 방사선대 모델 개발에 이바지할 것이며, 이는 유럽우주국에서 2022년에 발사 계획 중인 목성의 거대 위성 탐사선의 기본 개발 툴로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경찬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토성 방사선대;플라즈마 파동;고에너지 대전 입자;플라즈마 파동-입자 상호작용;카시니 탐사선;인공신경망;물리 모델;예측모델; 2. Saturn radiation belts;Plasma wave;High-energy charged particle;Plasma wave-particle interaction;Cassini;Artificial neural network;Physical model;Prediction model;
  • 11664

    2021.01.31

    GIF 국제공동연구 참여계획 및 전략 마련, GIF회원국으로서의 의무사항 이행, GIF 국제공동연구의 효율적 참여 지원 및 성과확산 등을 통하여 GIF 국제공동연구의 체계적 지원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안명숙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GIF 국제공동연구;협력활성화; 2. Generation IV Nuclear System;GIF Joint Researches;Cooperation promotion;
  • 11663

    2020.12.31

    • 충돌, 지진, 유체, 압력, 화재 등 원전 격납건물의 내·외부에서 작용하는 복합하중을 견딜 수 있는 원전 격납건물의 내력평가 및 설계방법에 대한 강구 • 강풍, 쓰나미 등 자연재해, 항공기 충돌 등 인위적 재해로 인한 중량 비상체, 비산물의 충돌에 대한 원전 격납건물의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자연/인위적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 충돌 사고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포스트텐션 원전 격납건물의 충돌저항/파괴 거동에 대한 실험적/해석적 연구 데이터 확보 • 기존 철근콘크리트(RC) 부재에 대한 충돌저항 성능평가/설계 기법을 넘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격납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성능평가/설계 방법 개발 • 지진, 유체, 압력, 화재 등 격납건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복합하중에 대한 해석기법 연구, 전산유체역학(CFD), 유한요소해석(FEA)을 이용한 복합하중에 대한 격납건물 및 부재 거동 연구 • 포스트텐션 구조의 역학적 특성을 반영한 격납건물 해석 및 극한/복합하중에 대한 설계 절차 및 최적 설계방향에 대한 연구 • 복합하중을 받는 원전 격납건물의 실험적/해석적 연구 데이터 축적을 통한 격납건물 설계 및 안전성 평가방법 제안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강현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원전 격납건물;포스트텐션;콘크리트;복합하중;충돌; 2. Nuclear Containment;Post-Tension;Concrete;Complex Loads;Collision;